-
-
나를 천재로 만드는 독서법
서상훈 지음 / 지상사 / 200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은 어찌 보면 행복하고 어찌 보면 불행 할 수 있다 하겠다.
그 이유는 미디어의 발달로 너무나 볼거리가 풍부하다는 것이다.
텔레비젼,컴퓨터,라디오,극장,연극,등 나열하기 힘들 정도로 보고 듣는 게 많다.
옛날 사람에 비하면 행복하다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로 인해 인간의 가장 오래된 볼거리인 책이 멀어져 버렸다.
우리들은 잘 알고 있다.
책이 주는 이로움에 대해서 말이다.
미디어는 일단 우리의 상상력을 뺏어간다.
주인공의 모습이나 상황,환경 모든 것이 상상으로 이루어지는 책과 달리
미디어는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고 그로 인해 상상력을 뺏어 버린다.
주위에 책 읽는 사람이 많다는 건 행복한 일이다.
하지만 요즘 시대 사람들은 정말 책을 읽지 않는다.
일년에 한 권도 읽지 않는 사람이 정말 많다.
오히려 텔레비젼 앞에서 울고 웃고 하는 것이다.
하지만, 책을 읽는다고 무조건 이로운 것은 아니다.
책에는 좋은 책과 나쁜 책이 존재하며 그 기준의 잣대는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다.
내가 소설책을 좋아 한다면 내게는 소설책이 가장 이로울 것이다.
다른 사람이 폄하는 책이라고 해서 나도 같이 폄하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책을 읽는 이유를 일일이 생각해 보자면 너무나 이야기가 길어지고 머리가 아프다.
하지만 항상 느끼는 것이 있다 다독이 좋은가? 정독이 좋은가?
이 문제에 대해선 개인의 견해에 맡기기로 한다.
나는 다독도 정독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언제가 읽은 책 "선비답게 산다는 것"이라는 책이 생각난다.
왜냐하면 이 책에서 백곡 김득신을 소개하기 때문이다.
바로 만 번 읽기의 주인공인 김득신이다.
그는 남보다 떨어지는 재능으로 인해서 한 권의 책을 만 번씩 읽기로 한다.
과연 지금의 사람들에게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하는가?
다독을 하게 되면 보통은 두 번 다시 같은 책을 읽지 않는다.
재미를 못 느끼는 책은 속독으로 대충 읽어 버리기도 하고 말이다.
하지만, 헤르만 헷세의 "독서의 기술"에 대한 책을 보면 다독도 좋고 좋은 서재를 가지는 것도 좋다.
하지만 평생 머리맡에 둘 수 있는 책 한,두 권이면 내 인생은 만족한다.
그렇다. 내가 다독을 하는 이유는 그런 책 한,두 권을 만나기 위해서다.
일단 이 책에서는 내가 생각했던 독서법과는 좀 다른 견해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책을 처음 읽기 시작한 10대들에게 매우 유용한 책이 될듯하다.
왜 올바른 독서법을 해야 하는지,
옛 천재들의 독서법을 소개하면서 그 동기를 부여한다.
그리고 혼자 읽는 독서가 아닌 토론에 의한 독서를 주장한다.
이는 바로 한번 보고 잊어버리는 독서가 아니라 나에게 피가 되고 살이 되게 하는 방법인 것이다.
그리고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베껴 쓰는 독서이다.
안정효씨의 "글쓰기 만보"에 보면 글 쓰기의 첫 걸음은 바로 습작이라고 했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의 글을 읽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글을 베껴보는 것이다.
그리하면 그 작가의 감정과 문체를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글을 잘 쓰고 독서를 잘 하는 사람은 없다.
바로 올바른 습관을 들이는 것이다.
글 쓰기를 잘 하고 싶습니다~
라고 물어 보는 사람이 있다.
(물론 내가 글을 잘 쓰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과감히 이야기를 해 줄 수 있다.
올바른 방법으로 독서를 하고 또 그 글에서 작가의 감정과 문체를 느껴보고 싶다면 글을 베끼거나
또는 같은 주제로 습작을 해 보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글 쓰기가 늘어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글 쓰기의 첫 출발은 바로 독서다.
천재가 되지 않아도 좋다.
하지만, 올바른 방법으로 독서하는 나 자신이 되었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