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작과 빈병 - 글쓰기 실력이 눈에 띄게 달라지는 100가지 노하우
배상문 지음 / 북포스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책 제목이 왠지 낯익다. 「창작과 비평」이란 문예 비평지를 떠 올렸다는 것은 저자도 본문에서 언급하고 있지만 ‘제목’이 독자에게 주는 호감의 중요성이란 측면에서 한 수 알려 주려는 이중의 의미였던 듯하다. 이 책을 읽고자 한 이유인 창작, 특히 글쓰기에 대해 한 수 배우고자 한 동기는 이것만으로도 성취한 것이리라.
그런데 이처럼 제목 하나 선정하는 데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는 언젠가는 작가가 되어보겠다는 의지의 다름이 아닐 것이다. 독자들에게 읽히는 글을, 그리고 공감과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글을 쓰고 싶다는 소망에서 일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 책은 거의 완전히 기대에 보답한다. 작가 지망생들이 의례히 겪고 있는, 또한 겪게 될 장애에 대한 정곡을 찔러대고 그것에 대한 일종의 체험적 해법을 들려준다.
막상 어떤 아이디어나 주제를 가지고 글을 쓰려다보면 어느 순간 진부하기 그지없는 글을 쓰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고, 혹은 더 이상 몇 줄 쓰지 못하고 막혀 버리기가 일쑤이다. 저자도 말하고 있지만 수 천 권에 이르는 독서의 경험이 절로 묻어나겠거니 하는 자신감을 믿고 이젠 나도 써 낼 수 있겠다는 마음에서인데, 읽는 것과 쓰는 것은 결코 연결되지 않는다. 그렇다보니 어떤 완결된 글을 쓰는데 이르지 못하고 머릿속에 구상만 해대곤 한다. 완벽하게 구상만 해 내면 글을 잘 쓸 수 있을 거야라고 위안하면서 말이다. 문제가 뭘까? 아니, 작가 지망생이라면 이미 등단한 동료들이나 주변의 글쟁이들로부터 받은 무수한 조언들 때문에 알고 있음에도 실천하지 않는 것이 있을 터이다.
바로 많이 써 보야 한다는 것이다. 오랜 습작의 누적으로 훈련되어야 한다는 말인데, 한 편의 습작도 완결해 보지 못하고서 고작 세상 많이 살았다는 연륜, 책 많이 읽었다는 잡다한 지식의 양이 절로 글이 되겠거니 하는 안일함에 의존했으니 글을 완성시킬 능력이 있을 턱이 없었을 것이다. “많이 써 본 놈이 결국 작가가 된다.”는 이 말의 무게를 창작 메커니즘의 본질은 “글은‘몸’으로 쓰는 것”이라는 부연 설명과 함께 새삼 귀중한 가치로 느껴지게 된다.
“다독은 작가 지망생의 세련된 인테리어 감각은 길러주지만 건축술까지 가르쳐 주지 않는다. (중략)안목이 높은 것과 손목이 야문 것은 다르다.”
그럼 어떻게 쓰기 시작해야 할까? 사실 막상 쓰고 싶다는 소망과는 달리 소설 한 줄을 시작하려하면 막연함에 부딪혀 자괴감에 시달린 경험이 있을 것이다. 아이디어도 변변찮고 스토리 구상도 만만치 않다고 고민하지 말 것을 조언하고 있다. 우선 인물 몇 명을 만들고 그들의 이력에 대해 써보라는 것이다. 외양, 성격, 신상정보, 버릇 등등을. 처음부터 굉장한 작품을 쓰겠다는 강박관념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그리고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을 필사해보고, 소설들의 인물 묘사만을 정리도 해보고 하면서 자신만의 글을 무던히 쓰는 것이다. 이외에도 작가의 눈, 작가의 본능이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글의 내용과 포장, 형식미에서부터 모방과 절제의 태도에 이르는 조언들은 어느 하나 놓칠 수 없는 글쟁이로서의 중대한 토대가 되어준다.
특히 작가라면 빈번하게 마주하게 되는‘상투성’과의 싸움을 이겨나가는 방법, 그리고 언어 예술가로서 단어의 사용과 문장, 문체에 대한 글 다루기에 대한 지식의 전수는 글을 쓴다는 실전(實戰)면에서 작가의 자의식과 관련하여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물론 비판적으로 이해되어야 할 대목도 있다. 언어순결주의와 나쁜 언어를 설명하면서 한글 사용과 개념어의 사용에 대한 다소 편협한 관점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여전히 지망생에 불과한 이들로서는 참조로 이해하면 족할 것이다. “듣기 좋은 글은 읽기도 좋다”는 퇴고의 방법론에 공감하면서 이 책은 그동안 경험과 읽기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들이 언제가 있을 수 도 있는 출력의 즐거움을 기대하는 작가 지망생들에게 아주 긴요하고 날카로운 조언이 되어 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