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영화포스터 커버 특별판)
줄리언 반스 지음, 최세희 옮김 / 다산책방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소설 속 화자의 미덥지 못한 기억의 편린들을 좇는 내내, 내 인생의 한 페이지들도 더듬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한 여자와의 이별에 대한 회한의 기억, 절망을 외치던 친구를 위해 썼던 편지, 그리고 기록되지 않은 것이 태반인 단편적인 기억들을 더듬는 나를.

결코 그리 현명한 삶이었음을 인정하기 어려운 역사라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나 역시 육십의 노년 남자인 ‘토니 웹스터’처럼 삶의 본질과 그 삶에 딸린 조건 모두를 시험할 철학적 의무를 수행한 적이 없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저 인생의 뚜렷한 방향도 없이 피동적으로 떠밀려왔다는 자괴감이 엄습한다. ‘토니 웹스터’의 “인생을 흘려보내는 무가치한 수동성”의 역사를 확인하는 우울함, 거북함이라 할까?...

 

한 개인의 사적 인생을 역사에 대유(代喩)하여 인생의 목적, 인생에 대한 어떤 믿음들, 즉 인생의 가치에 대한 사유의 기록이랄 수 있는 이 소설은 이렇듯 비록 사소하지만 역사적 사건으로서 내 삶의 기록들을 들춰보게 한다. “시간 속에 살고, 그것은 우리를 제한하고 규정하며 그것을 통해” 역사를 측량하고, 설혹 소소하고 사적이고 기록되지 않는 단편들의 기억임에도 불구하고 행위를 근거로 정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역사라는 이해를 통해서 말이다. 또한 화자의 인생전반을 지배했던, 소년과 청년기의 정신적 우상이었던 친구‘에이드리언’의 준열한 기질을 입증하듯 “부정확한 기억이 불충분한 문서와 만나는 지점에서 빚어지는 확신”이 바로 역사라는 주장의 관점에서.

 

그렇다. 소설은 우리들의 부정확한 기억과 불충분한 문서가 충돌해서 빚어내는 삶의 역사를 규명하는 작업이다. 한 때 연인이었던‘베로니카’와의 열등감에 휩싸인 만남과 그녀의 가족에 대한 결코 우호적이지 못했던 기억들, 그리고 이별과 친구 에이드리언으로부터 날아든 베로니카와의 만남을 알리는 편지, 답장, 이후 에이드리언의 자살 소식에 반응했던 기억의 편린들이 친구의 일기 한 쪽과 그에게 보낸 편지의 실체가 부딪혀 역사로서의 한 인간의 인생의 진실을 드러낸다.

 

자기 삶의 주도자였던 적이 있었던가? 라는 문장이 불현듯 마음속에 떠오른다. 연애에서도, 결혼생활에서도, 그 밖의 무수한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이 내 삶의 지향점이라는 본질과 연결되는 것이었던가 하는 의문이다. 원칙이 이끄는 것에 행동하지 않았었다는 느낌에 지배된다. 수동성의 삶, 그것이었을 것이다. 회한이 밀려든다.

 

토니는 베로니카의 엄마가 죽으면서 남긴 의외의 유증, 오백 파운드의 돈과 에이드리언의 일기장을 그에게 남겼음을 전달 받는다. 그러나 일기장은 베로니카가 지니고 전달되지 않는다. 이메일을 통한 집요한 요구 끝에 인수된 일기장중 한 쪽에 불과한 정수와 등식으로 이루어진 논리식을 포함한 사본은 에이드리언이 자살을 하게 된 이성적 논거처럼 보인다. 하물며‘피 묻은 돈’이라는 짤막한 베로니카의 회신은 물론, 토니는 이 문서의 의미를 해독하지 못한 채 오히려 베로니카에 대한 향수와 만남의 기대를 키워나간다. 그리고 짧은 만남에서 베로니카는 한 통의 편지를 건네준다. 베로니카와의 사귐을 통지했던 에이드리언의 편지에 대한 토니의 답신인데, 그것은 그의 기억과는 달리 저주와 적의의 문장으로 가득하다. 현재의 정신 상태를 근거로 과거의 행위를 판단하는 우리들 기억의 기만성은 토니의 주장처럼 자기보존 본능의 한 발로일 것이다.

 

이것은 에이드리언의 자살이 토니 자신의 편지가 담고 있는 저주, 그 예감의 실현이었음을 의미한다. 행위를 근거로 정신 상태를 판단할 수 있음을 입증하듯 에이드리언의 인생이란 거대한 기만에 대한 저항적, 자기 주도적 행동성의 귀결이랄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토니의 삶이란 우연성과 수동성에 깃댄 평범함, 삶의 본연적 예감을 인식조차 하지 못하는 것, 그저 생존하고자 하는 모종의 본능에 의지하는 것이다. 조잡하게 윤색된 자기 보존적 기억의 허위에 에워싸인 채.

 

내 삶이라고 토니의 그것과 그리 다를 것이 있을까? 그저 꾸역꾸역 “환희와 절망이라는 말은 소설에서나 구경한 게 전부인 인간으로 살아”온 것이 아닌가 하는 자문을 하게 된다. 이 지리멸렬함. “자살이 단 하나의 진실한 철학적 문제”라고 했던‘카뮈’의 말이 새삼 선명한 의미가 되어 다가온다. 인간의 조건에 거부할 권리로서의 자기 죽음에 대한 당당한 진실을 말이다. 아마 나는 삶의 귀결이란, 주어짐에 대한 맹목의 수용이 아니라 철저한 자기 책임과 주도라는 것을 이해조차 못하고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어쩐지 토니처럼 내 묘비명도 “아무개, 전혀 감을 잡지 못하다. ”가 되어야 했으리라는 생각조차 깃든다. “기억의 묵은 폐쇄회로”가 노년의 토니처럼 터지지 않는 아직은 급급한 일상에 치여 고작 최근의 기억들에서 맴돌지만 이 자기 반성적 인생 성찰의 역사적 기록은 이렇게 삶의 본연에 대해 정말의 생각을 하게 한다. 사유를 인생에 적용할 수 있다는 믿음을, 원칙이 행동을 이끌어야 한다는 것을, 인생의 수동성에 적극 개입하는 행동성을, 그리고 기억과 인생이란 운명의 기만성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