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인식과 진리의 세계, 그 상상력의 시공(時空) 속으로
우린 이 세계를 온전하게 말 할 줄 모를뿐더러, 사실 아는 것도 별로 없다. 더구나 우리 인간들이 이성이란 것으로 합의한 논리나 법칙, 제도는 이 세계의 지배 질서가 은닉하거나 배제시키고 있는 근원을 표현하지 못하거나 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린 허구의 소설, 문학의 세계가 펼쳐내는 상상력에서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 본질, 대상에 도달하려는 욕구에 시달리고, 현실에서 부재하지만 상상 속에서 실재하는 인식 가능한 세계로 그 결핍을 충족한다.
언어라는 기호가 우리의 생각을 얼마나 편협하게 묘사할 뿐인지 우린 잘 알지만 그 배제와 불완전함을 넘어서는데 미숙하다. 이러한 언어의 불완전성에 활기를 불어넣고 원래적 지시세계, 기의(記意)의 세계로 가는 동력이 바로 상상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상, 환상의 낯선 시간적 공간적 세계, 현실과 전혀 다른 새로운 질서의 세계를 재구축하는 하는 것은 이 세계가 정말의 실재이며 진실이고 본질인가 하는 점에 대한 반발이기도 할 것이다.
이러한 사고에서 출발한 것, 즉 단절의 세계인식이나 언어가 확보한 독단론을 거부하고, 직선적 시간성의 교란이나 인식의 파편화, 현실과 가상을 전복하여 독자적인 세계를, 모든 사물의 존재 방식을 재질서화 하고자 하는 것은 분명 보다 풍부한 세계의 인식에 대한 당위적 관점을 제시해 준다.
이러한 작품 세계를 구축한 중남미작가 계열의 작품들을 바로‘마술적 사실주의’라 하는데, 이는“환상, 동시성, 파편성, 인과관계의 파괴 등과 같은 시간형식과 더불어 소설 행동 공간을 영화의 콜라주 기법과 같이 여러 층위를 중첩 사용”하여 세계의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특히 “환상과 현실, 심리적 실재와 현실성, 역사와 허구 등의 경계 해체를 통해 상호 교환되는 특성을 공유”하는 특징을 지닌다고 한다. 이들의 대표적인 작가로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나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께스’,‘이탈로 칼비노’를 떠올리면 자연법칙이나 논리, 합리성의 지배와 완전히 결별하고 새롭게 창조된 세계의 인식론적 망설임의 순간을 기억 할 수 있을 것이다.
나 역시 이들의 작품을 접하면서 초현실주의와 혼동하곤 했는데, 초현실주의는 경이적, 아름다움을 인간 정신의 순수한 상상력에서 찾는 반면에, 마법적 사실주의는 우리들이 몸담고 있는 일상적 현실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자연적, 사회적, 역사적, 심리적 현실에서 출발하여 창조적 상상을 통해 환상에 이르도록 가공되는 것이 마법적 사실주의라는 것이다. 새로운 것은 이미 존재하는 것들을 조합하거나 그 모든 것을 총합한다고 하더라도 결코 설명될 수 없다. 그러니 인간의 감관이 지각하고 통합할 수 있는 한계를 초월한 상상이 창조한 세계, 그 가공의 미학적 현실은 우리의 미숙함, 불완전함, 부조리함에 대한 비판이요, 반성의 자극제며, 겸허한 인류의 새판짜기이다.
1950년대부터 비평가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조명되기 시작한 이러한 계열의 작품은 이후 걸출한 작가들에 의해 폭넓게 수용되어 현대 문학의 중요한 방법론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계열에 포함되고 있는 작가들로는 보르헤스나 마르께스, 칼비노는 물론‘코르타사르’‘토니 모리슨’, ‘이사벨 아옌데’, ‘밀란 쿤데라’, ‘파트릭 쥐스킨트’, ‘오사리오 끼로가’, ‘실비아 오깜뽀’, ‘존 업 다이크’, ‘살만 루시디’등이 거론 되는데, 아마 이들의 작품을 읽어본 독자들은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이들처럼 우리가 합의한 논리의 바깥에는 어떤 세계가 있는지를 이해하려는 작업은 감성과 이성의 더없는 균형과 조화를 만들어 주고 풍부하고 열정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을 줄 것 이다. 마법적 사실주의, 환상의 문학에 다가가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