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씨 비가
쑤퉁 지음, 허유영 옮김 / 비채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이 작품은 그의 소설 『성북지대(城北地帶)』와 시대적, 공간적 배경이 거의 동일한데, ‘펑황’이란 이름의 여인이나, 마을의 중심축이 되는‘참죽나무길’까지 두 작품의 강한 유대감을 지니고 기댈 곳 없는 서민들의 삶의 소묘에서 우러나는 닮은 감성을 느끼게 한다.
그럼에도『화씨 비가』는 반전이 없어서 더욱 쓸쓸하고 울적하다. 맹랑하고 허황되게 삶의 긍정을 그려내야 한다는 도식에 충실한 쓰레기처럼 쏟아지는 대다수의 소설들에 이봐라! 하며 소시민의 대물림되는 가난과 절망을 처절하게 각인시켜준다. 순박함이 곧 무지함으로 인식되는 오늘에야 말할 것이 뭐 있겠는가마는 쑤퉁이 일관되게 귀를 기울이고 시선을 맞추는 배우지 못한 서민들의 목소리와 지친 몸뚱이들이 뿜어내는 삶의 해학은 그 어떤 숭고한 철학적 사유를 능가하는 가공되지 않은 진실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소설의 도입부는 그야말로 우문현답의 향연이다. 아내 펑황이 그녀의 근무 장소인 유류창고에서 목매 자살한 채 발견되자 감정의 혼란을 이겨내지 못하고 그 창고에 불을 지른 뒤 심문을 받는 남편,‘화진더우(화씨)’와 재판장과의 대화인데, 이름을 묻는 답변에 출신성분까지 곁들여 “지주 집안이 아니고 아주 떳떳한 하층 빈농이랍니다.”라고 부연 설명하는가하면, 방화의 이유를 대라는 질문에 “그걸 진짜 모르겠다는 거 아닙니까요. (...)정신이 홱 나가버린 겁니다.(...)누가 내 머릿속에 매듭을 꽁꽁 묶어놓은 것 같기도 하고, 숨이 목구멍에 턱 걸려서는 들이쉴 수도 내쉴 수도 없는 겁니다.”라는 정말의 대답이 형식적이고 거만한 제도의 사회에서는 이해할 수 없으며 요구되는 대답이 되지 못하는 것에서 그 소통의 단절이 얼마나 깊은가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게다가 이성을 잠시 잃고 길길이 날뛰다보니 자신을 피하지 않고 눈에 들어오는 것이 하필 석유통이었고, 더구나 석유통에 불조심이라고 훈계하는 문자가 방화의 결정적이고 직접적 동기였다는 진술 또한 거짓 없는 사실이었을 것이다. 우린 여기서 피식하고 웃게 되지만 그 이상의 진실을 요구하는 사법제도가 오히려 진실을 벗어난 황당함이라 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은 예정된 판결결과에 대한 좌절과 절망으로 자살하고 마는 화진더우는 여동생과 네 딸, 그리고 아들 두후(獨虎)에 대한 걱정으로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이승과 저승사이인 구천에서 떠도는 궁상맞은 원혼이 된다. 어린 나이부터 생업을 위해 열심이었던 남자, 갓 스물에는 처자식이 있는 가장이 되어 혼자 세 사람 몫의 일을 해 댈 정도로 마소처럼 일한 사나이였지만 졸지에 고아가 된 다섯 남매의 아비로서 도움을 주지 못하는 혼령으로서의 그 애틋한 마음은 아이들을 떠나지 못하고 참죽나무길을 맴돈다.

“남들은 머리굴려 잘 먹고 사는데”, 그렇지 못한, 아니 배움이 없어 그럴 수 없는 사람의 푸념이 육두문자를 피할 길이 있을까? “여기가 어디라고 감히”라는 문장은 계급과 권위를 내포하는 말이다. 재판관이 하는 ‘여기가’하는 말은 웃기는 얘기가 아닌가. 여기가 뭐긴, 인민이 세금내서 지은 법정이고, 인민이 낸 세금으로 월급 받고 사는 인간들이 하찮은 권력을 왈가왈부하는 것이 더 웃기는 것 아닌가! 말이다. 그러나 세상이 어디 그런가. 배운 놈, 가진 놈이 행세하도록 짜여있는 세상에서 화진더우나 그의 자식들, 벽촌에 사는 일가들에게는 아득히 먼 세계인 것을. 시집도 안 간 둘째 딸‘신란’이 덜컥 애를 배서 돌아오자, 알량하게 남은 체면을 지키려고 뱃속의 시한폭탄을 지우다가 사망하는 장면이 있는데 무산계급혁명을 부르짖으며 처단 되었던 부르주아 지주의 여식이 오히려 의사가 되어 화씨 집안에 대한 복수로서 낙태수술 중 절명시키는 것이다. 이데올로기, 체제라는 것도 인간사회의 오래되고 끈질긴 탐욕의 본성과는 무관한 하물며 변할 수 있겠는가 하는 말이기도 하다.

이웃들은 고아가 되어버린 화씨 남매에 대한 보살핌은커녕 회피하고 학대당하는 대상들이 되어 천덕꾸러기로 자란다. 특히 아들 두후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내려다보는 망자인 화진더우의 기대와는 달리 탈선과 무위도식으로 누이들과 고모를 고통스럽게 하고 급기야는 동성애자로 화씨의 손을 잇는 사내와는 멀어지는가 하면, 신메이, 신주, 신쥐, 세 딸에 대한 걱정을 떨치지 못하고 안타까움에 겨워 따라다니지만 혼령이란 아무런 것도 그들에게 줄 수 없음을 자책하는 망령의 옹잘거림은 그 애절함을 증폭시키기만 한다. 성인이 되고 짝들을 찾아 혼인하고 또 아이들을 낳는 자식들의 세월과 함께, 화진더우와 펑황을 대신해 아이들을 어미처럼 돌본 진더우의 누이인 고모의 애처로운 죽음에 이르면 이들 화씨에 떠나지 않는 불행이 더해 그 쓸쓸함이 더욱 애달프고, 소시민의 삶이란 이런 것인가? 하고 괜스레 가슴이 아려온다. 세습되는 가난과 소외, 도움을 주지 못하는 어버이의 쓰라린 심정이 구천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화진더우와 그의 전용 하늘 당나귀의 눈물이 되어 뿌려지는 듯하다. 외롭고 희망 없는 삶, 그러한 인생을 바라 볼 수밖에 없다는 것, 어찌 해 볼 도리가 없다는 것, 어쩜 그것이 사람의 숙명인지도...작가의 말처럼 운명의 질긴 애증과 고독이 이 보다 절절하게 표현 될 수는 없을 것이다. 처량하고 구슬픈 노래다. 그럼에도 아름답다. 부모의 사랑이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