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코맥 매카시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렬하게 신을 말하던 사람들이 이 길에는 이제 없다. 그들은 사라졌고 나는 남았다. 그들은 사라지면서 세계도 가져갔다.”지구의 종말이 훑고 지나갔고 죽음의 재와 잿빛 눈, 짙게 깔린 어둠만이 남아있는 황량한 겨울의 대지위에 떨고 있는 두 짐승이 여기 생존의 길을 걷고 있을 따름이다.

남자와 아이는 삶의 숨결이 멎은, 그리고 오직 생존의 본능만 남은 사람들을 피해, 양식을 찾아, 남쪽이란 존재치 않는 이상향의 행로를 걷는다.

‘앨런 와이즈먼’의『인간 없는 세상』에서의 마지막 질문인“인간이 만들어낸 것 중 가장 놀라운 존재인‘아이’가 다시 푸른 대지에서 뛰놀 수 없게 된다면 과연 무엇이 우리 뒤에 남을 것인가?”에 대한 답변처럼만 보인다.

작품은 끝없는 생존의 걸음과 마지막 인간이 뱉어내는 회의와 불완전성, 그리고 구원에 대한 사색이 이어진다. 그리고 사랑, 아름다움, 선(善)과 악(惡)에 대한 배반적인 사유와 신의 실체에 대한 구체적 탐험을 지속한다.

남자와 아이, 아버지와 아들, 두 사람은 더 이상 “할 일의 목록은 없다. 그 자체로 섭리가 되는 날. 시간.”만이 존재한다. 아니 존재하지 않는 것인지도, 꿈 일지도.

“때가 오면? 때가 오면 시간이 없을 거야. 지금이 그때야. 신을 저주하며 죽는 거야.”그럼 두 사람에게 남아있는 것은 무엇일까? “유일한 희망은 무(無)야. 난 온 마음으로 그걸 바라.”“유언 없는 지구의 차갑고 무자비한 회전. 사정없는 어둠. 눈먼 개들처럼 달려가는 태양. 모든 것을 빨아들여 소멸시키는 시커먼 우주 ~ 省略 ~”에서 ‘없음’,‘부존재’이외에 무엇을 선택 할 수 있을까?

아이는 인간을 먹어야 하는 생존한 인간들의 눈에 띄지 않기 위해 아비와 인간들을 피해 걷는다. ‘나쁜 사람들’을 피해서, 그러나 도움을 주어야 할, 서로 위로해주어야 할 인간일 수도 있다. 그러나 마주칠 그들이 누구인지 알 수 없다. 그들은 “우리는 지금도 좋은 사람들인가요?”하고 반문한다. 작가는 우리에게 이야기 한다. “사람들은 늘 내일을 준비했지. 하지만 난 그런 건 안 믿었소.~ 中略 ~ 아무도 여기 있고 싶어 하지 않고 또 아무도 떠나고 싶어 하지 않소.”그러나 우린 종말을 향해 달음박질을 치고 있다. 결코 “수의에 덮인 지구, 황량한 지구”가 우리 앞에 다가오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것처럼 말이다.

아이는 앨런와이즈먼의 ‘푸른 대지위에 뛰노는 아이’처럼 인류의 빛, 그리고 신(神)의 현현으로 비유되고 있다. 마치 창세기의 한 구절이 묘사된 듯이 “소년 주위가 온통 빛이었다. ~ 中略 ~ 주위를 둘러봐라.~ 中略 ~ 지구의 오랜 연대기에 나오는 모든 예언자를 오늘 여기서 기린다. 네가 어떤 형식을 이야기했건 네가 옳았다.”그리고 남자의 죽음 뒤에 찾아온 사람과 그의 가족, 아비의 유언처럼, “신의 숨이 그의 숨이고 그 숨은 세세토록 사람에서 삶에게로 건네진다고."

“죽음처럼 고요하고 더 깊은 죽음처럼 검은 밤.”에 죽음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보여주는 ‘아이’에 대한 이기적 보호와 사랑에서 우린 남자의 독백처럼 “아마 아름다움이나 선 때문일 거라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다.

인간이 살 수 없는 곳에 신이 존재 할까? 마침내 우리가 지구에서 종적을 감추면 무엇이 남아 있을까? 마침내 “어쩌면 세상의 파괴에서 비로소 세상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볼 수 있는 것인지도 몰랐다.”고 무(無)의 낭만적 논리성을 강변한다. 결국 이 작품은 죽음을 기다리는 인간의 한계성에 대한 애달픈 연민일 수 도 있고, 종말을 치닫는 인간의 악과 오만에 대한 경종일 수도 있다. 음울한 두 사람의 행로에서 고귀함, 아름다움, 희망의 울림이 배제되지 않고 전해져 옴을 느낄 수 있다. 노 작가에게서 우린 다소의 위로를 받는다. “슬픔과 재속의 탄생. 나한테는 네가 있는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