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새 1
장 크리스토프 그랑제 지음, 이재형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죽음의 냄새, 악의 냄새, 어둠이 분비하는 즙의 냄새” 가 옅은 안개처럼 낮게 드리운 채 작품 전체를 아우른다. 외교관 부부의 양자로 하릴없이 젊은 삶을 지탱하는 ‘루이 앙티오슈’와 조류학자 ‘막스 뵘’의 만남은 이례적이다. 작품은 처음부터 복선과 암시, 그리고 독자를 긴장으로 안내한다. 역겨운 인간의 잔인성이란 극한적 치부를 드러내며 숨까지 멎게 할 지경으로 몰입을 재촉하고 두 권짜리 이 스릴러물을 단시간에 읽어내게 한다.
스위스 국적의 황새 전문 조류학자 ‘막스 뵘’은 쇠고리를 황새의 다리에 매달아 이동경로와 습성 등 생태 연구를 하던 중 유럽에서 터어키, 근동(이스라엘,요르단등)지역을 거쳐 중앙아프리카를 왕래하던 그의 황새들이 돌아오지 않는 상황에 직면한다. 주인공 ‘루이’는 막스 뵘의 의뢰를 받아 황새들이 사라진 이유를 찾기 위해 이동경로를 따르는 여정을 시작하려 한다. 그러나 막스뵘은 황새들의 부리에 심하게 손상된 사체로 발견되고, 스위스 경찰 ‘뒤마’의 석연찮은 수사와 의문을 시작으로 황새의 이동경로를 쫓게 된다.
경로를 쫓는 여정에서 의문의 미행자들을 만나게 되고, 황새의 경유지를 안내하던 자들이 무참히 살해당하는 상황에 처한다. 예리한 메스에 잘려나간 신체의 부위들과 장기들, 그리고 숲속에 버려져 동물들에 손상된 채 발견되는 막스뵘의 지역별 조력자들, 사악함의 냄새가 스멀스멀 기어 나온다. 루이는 어느덧 이유도 모른 채 쫓기는 인물이 되고, 막스뵘의 죽음에 석연찮은 비밀이 도사리고 있음을 감지한다. 사건의 추적과 이동은 더욱 빠른 속도로 전개되고, 알 수 없는 두려움과 소스라침을 던지며 척추를 오르내리는 전율을 느끼게 한다.
이 미지(未知)의 두려움과 무서움은 바로 루이 앙티오슈의 앞에 펼쳐지는 끔직한 폭력과 흥건히 흐르는 피의 강과 황새의 관련성을 찾아내지 못하는 공포이다. 잔인하게 도살된 사람들과 황새는 무슨 연관이 있는 것일까? 그리곤 느닷없는 다이아몬드의 출현은 작품의 내용을 정교하고 풍부하게 해준다.
스릴러물들이 한결같이 진부하게 사용하는 작의적인 음울한 소재로서의 배경 등은 일체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음습한 악의 냄새가 뇌에 각인된다. 작가의 의지와 강요되지 않는 주제의식이 독자의 적극적 의지와 무관하게 혈관에 흐르는 것 같다.
그리고 풍부하고 일관된 작가의 고발의식은 이렇듯 욕지기가 터져 나올듯한 서스펜스와 스릴에 내재되어 ‘세계는 하나’라는 의료구호단체의 도덕적 허위성 위에선 인간사회의 위선, 빗나간 부정이란 착란적이기 까지 한 인간 근원의 이기적 잔인성, 집시와 아프리카 흑인에 대한 인간적 질시 등 백인서구사회의 뿌리 깊은 인종차별 의식, 근동(近東)지역에서의 무차별적 복수와 반목 등 끊임없는 긴장과 종교적 악의성에 이르기 까지 끝없이 우리의 본성을 자극해댄다. 이러한 요소는 바로 우리의 지적 욕구를 진정시키고 작품의 높은 역량에 감동을 느끼게 한다.
“이 사건은 혼란과 감정과 폭력으로 점철된 하나의 사랑 얘기라고 말 할 수도 있습니다.”라는 주인공 루이의 열정적 선언과 같이 ‘사랑 이야기’이기도 하다.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본원적이고 필사적이기까지 한 사랑에서, 삶의 언저리에서 방황하는 두 남녀의 열정적 사랑, 재화에 대한 무궁한 탐욕, 왜곡된 의술의 사악한 자선(慈善)까지 그 이기성과 이타성의 얼룩진 혼합물로 사랑이 그려지고 있다.
또한 극적(劇的)요소들의 적절한 배치와 반전의 반전, 크라이맥스의 가파른 고지로의 걷잡을 수 없는 속도감은 문자대로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재미와 지적흥분, 스릴러의 책임감, 가식과 위선의 폭로로 이어지는 카타르시스까지 완벽한 구성을 갖춘 걸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