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톱
김종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등골에 소름과 전율이 좌르륵 흘러내리는 진저리를 몇 번인가 치다보면 어느덧 작품의 말미에 이르러있을 정도로 이야기의 재미에서 시선을 뗄 수 없게 한다. 기시감이란 그 음험한 느낌의 언어에서 적나라한 살인의 묘사와 죽음 앞에 몸서리쳐대는 추악한 인간의 양면성이 그 형태를 달리하며 반복될 때 마다 내 몸 어딘가가 파헤쳐지는 듯 고통스러움에 머리채를 흔들게 된다.

꿈을 꿀 때마다 피살자로 빙의되고 살해자를 확인하는 거듭되는 악몽과 피살되는 인간의 수만큼 사라지는 나의 손톱, 약지에서 검지, 중지, 그리곤 어느 날은 세 개씩,...생 손톱이 사라진 곳의 통증과 선홍색 피, 꿈과 실재의 혼란이 착란처럼 다가온다. 빙의되었던 피살자인 나를 죽였던 인간이 실재한다.

‘라만고(Ramango)’, 악몽을 꿀 때마다 내 손톱을 먹어치우는, 인간본연의 영혼을 지옥으로 내치고 그 육신에 깃들어 원소유자로 살아가는 심판자! 이 괴물의 본질은 무엇인가? 이 작품의 중요한 단서이자 핵심 소재로서 라만고는 인간에 내재하는 악의 정화자로서의 영적 존재임을 알려준다.

무참하게 살해된 자신의 여섯 살 아이에 대한 상실의 고통, 그리곤 이혼한 남편의 사망, 주변의 화냥년이라는 비난이 도무지 이해되지 않는 32세의 여인, 홍지인의 악몽은 이렇게 지속되고 악몽을 현실 속에서 또렷이 찾아 헤맨다. 점점 가까이 엄습해오는 알지 못하는 죽음의 그림자, 네일아트의 공동 운영자인 친구 민경과 연인 세준까지 악몽의 주인공이 되어 모습을 나타낸다.

선택적 기억상실증, 우리 인간의 뇌는 자아의 생존 확률을 높이도록 진화되어왔다. 내 일상의 안위와 즐거움, 내 욕구의 실현을 위해 방해되는 고통의 기억을 지우는 이기적 기능을 멋지게 수행해낸다. 내가 믿는 나의 기억은 온전히 올바른 것일까? 이 작품이 인간의 원죄적 악(惡)을 말하지는 않지만 인간에 내재하는 악을 내몰고 자신을 정화하여 재생(再生)하는 고통의 본질을 처절하게 표현하고 있음에는 틀림없다.


가슴에서 흘러나오는 뜨끈한 피가 팔목을 흘러내린다...머리의 뒤, 페부, 내장 깊숙이 파고드는 손톱의 난자, 쏟아지는 내장을 움켜쥐고..., 공포와 전율이 흐르는 그야말로 공포스릴러의 진수를 보여 준다. 젊은 작가의 상상력 넘치는 대단한 스토리와 야무진 구성이 돋보인다. 뛰어난 장르소설로서 또한 그 내재하는 인간 숙원의 선과 악의 본질을 탐험하는 악몽의 여행은 우리들이 자행하는 왜곡된 진실에 대한 어두운 이면을 재생의 밝음으로 견인하는 역량으로까지 나아간다. 많은 독자들이 새롭게 형성될 것처럼 보인다. 다만, 부분적으로 작가의 다듬어지지 않은 중복되는 어휘의 사용이 독서를 이따금 방해하지만, 작품의 치밀성과 구성의 정교함, 신선감 넘치는 이야기의 전개는 수준 높은 장르문학의 가능성을 기대케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