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없는 나날
안윤 지음 / 시절 / 2025년 6월
평점 :

[본문 36쪽에서]
이 산문집의 글들인 나날의 기록에는 제목이 없다. 책의 마지막 글 속 “단 한번뿐인 미지의 삶을/ 어떤 말로 대표할 수 있나/ 대표될 수나 있나”라는 반문이 곧 제목 없음의 응답일 것이다. 그리고 여기 주어진 삶을 살아내는 나날의 기록들에는 “누군가에게 보이기 위해 애쓰지 않으려고 오래도록 찬찬히 들여다보는”시선이 있다. 장식 또는 수식과 같은 작위가 혹여 끼어들었을까 하는 주의 깊은, 아니 <글을 쓰겠다고 앉아있노라면>이라는 글에서 자기 폭로의 압박에 저항하듯,
“잊지마.
가진 것 모두를 제하고 남은
모든 수식어를 지운
텅 비어 있는
고요한
진짜
나를.” (144쪽)
이라는 구절처럼 “더는 뺄 것이 없는, 내려놓겠다는 꿈을 꾸는 것조차 욕심만 같아 낯부끄러워하는 사람(35쪽)”이 있다. 그것이야말로 진실이라 이름 할 수 있을 것이다. 산책자의 몽상을 썼던 루소의 표현을 빌면 ‘어떠한 허구도 스스로에게 허용하지 않고, 어떤 정황도 윤색하지 않고, 아무것도 과장하지 않으려고 애를 다 쓰는’ 것이 곧 진실성이라는 말처럼. 우리들은 그러한 글들에서 진실을 느끼며, 평온한 공감으로 마음이 활짝 열린다.
외할머니의 장례와 화장, 그리고 수목장을 마치고 돌아가며 엄마와 마주하고 받아놓은 큼직한 고기가 든 갈비탕에 뒤늦게 입맛이 당겨오는 것이 죄스럽게 느껴지고, 후루룩 삼키는 엄마 얼굴을 바라보며 “엄마 잘 가”라며 목 놓아 울던, 엄마를 떠나보낸 엄마를 건너보는 작가를 나는 또한 본다. 어느 날의 이러한 순간들, 시간의 겹이라고 불러도 되나? 이 순간으로 겹겹이 쌓인 시간, 기억은 우리들 삶의 실존인 몸의 감각으로 되살아나, 새로운 시선과 이해가 되어 또다른 시간의 겹이 되고 몸의 기억이 되는가보다. 어쩌면 이 산문집 전체를 관류하는 제목 없는 나날의 기록들은 이처럼 시간이고 몸이며, 생의 실존에 대한 감각이고, 그래서 더욱 안쓰럽고 쓸쓸한 사랑과 그리움, 타인을 향한 헌정의 마음일 것이다.
「세 번의 부고 소식」이라는 글에는 장례식에 나서기 전 검은색 단화의 구두코를 닦으면 매끄러운 어둠이 반짝반짝 윤이 난다는 문장이 있다. 그것이 “찰나 같은 / 생 같은” 것이듯, 죽음은 어쩌면 준비되는 것일 수 없는 것일지도 모른다. 제대로 장만해야지 하면서 마냥 미루는 검은 색 정장 한 벌처럼. 나는 「본가를 다녀오는 길」이라는 산문에 조금 긴 감정의 시간을 가졌던 것 같다. 명절을 본가에서 보내고 집으로 돌아 온 날, 작가는 “남겨두고 오면 안 되는 무언가를 남겨두고 와버린 것 같은 감각”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고 몸을 뒤척인다.
나는 거의 매주 노부모가 사시는 1시간 30분 남짓한 곳을 감시병처럼 오가고 있다. 그때마다 두 분을 남겨두고 돌아올 때면 마음 한 구석이 편치 못하다. 작가를 매번 버스 정류장까지 배웅하며 다섯 손가락 사이에 깍지를 끼고 손을 잡는 엄마의 손길을 “언젠가는 놓아야만 한다는, 아니 놓치고 말거라는 선명한 예감“ 그것과 유사한 것일 게다. 만남은 이별을 전제하듯, 시작이 있으니 끝이 있음을 알기에 그 안타까움은 슬그머니 마음을 아프게 한다. 안다고 마음이 준비되는 것은 아닐 게다. 그저 다가오는 운명, 생의 순환을 그대로 수긍할 뿐이다. 생에 대한 뭐 별난 겸허함이 아니다. 다만 나눌 수 없는 고통이지만 누군가 곁에 있다는 생각을 그분들이 마지막까지 지니기만을, 결코 혼자 감당하는 것이 아니라고 여기기를 그저 바랄 따름이다.

<눈 쓰는 사람, 글 쓰는 사람>을 비롯, <소설 쓰며 배운 것>, <글을 쓰겠다고 앉아있노라면>, <소설 쓰기의 두 가지 곤란한 점>이라는 글들에는 작가의 글쓰기 지향이나, 다짐이라 할 수 있는 어떤 원칙들, 소명을 엿볼 수 있다. 눈을 쓰는 일은 “자신의 움직임과 온기, 시간을 바쳐 길을 지나다닐 사람들의 안녕을 기원하는 헌정의 마음”임을 작가는 읽어낸다. 눈을 쓰는 마음이 글을 쓰는 몸과 다르지 않음을 보는 것. 그리고 “글을 쓰며 살게 된 나는/ 잠시 가지게 된 / 아주 잠깐 맡아 둔/ 누군가를 대신하는 목소리, 쓰임일 뿐.”임을 잊지 않으려는 애씀은 그 때문에 겨우겨우 “(글쓰기를) 밀고 나갈 때 떠오르는 누군가들, 독자들에 닿아보려는” 작가 고유의 의지를 확인하게도 된다.
책의 후반부에 있는 <쑥 뜯는 엄마>에는 공원이나 산길에서 쑥을 뜯는 엄마가 창피해서 “이제 가자, 그만 뜯어, 응?”하고 쏘아붙이는 목소리가 있다. 어쩌면 서로 다른 세계를 사는 딸이 엄마에 가지는 내면화된 수치심일지도 모른다. 그때면 “못 먹고 자라 그래”라는 엄마의 답변은 작가를 매번 주눅들게 하였다고 쓴다. 아마 시간의 새로운 겹에 새로운 해석, 자기화해의 다름아닌 연민과 사랑의 시선이 필요했는지도 모른다. 엄마를 닮은 듯한 빛바랜 어느 시골 소녀의 사진을 통해 엄마의 소녀 시절, 그 시간 속 자그마한 아이의 등을 가려주고 싶은 마음, 맘 놓고 뜯으라고 말해주고 싶은 마음을 발견한다. 우리들은 그러면서 생의 사랑을 배우게 되고, 삶의 그러해야 함을 받아들임으로써 자기 자리, 자기 확인이라는 생을 버텨낼 힘을 얻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작가의 <소설 쓰기의 두 가지 곤란한 점> 중 한 가지로 “소설은 누군가에게 읽히기 전까지는 마치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이야기로, 쓰는 사람만이 간직한 비밀의 상태로 존재한다는 것”임을 말하듯, 소설 뿐 아니라 모든 글쓰기는 <쑥 뜯는 엄마>의 이야기처럼 써짐으로써 비로소 누군가에게 닿아 공감과 감정과 생각의 미세한 변화를 은연히 촉발한다. 이 산문집은 “모든 무제의 날들에”, “그 평범 앞에 내내 겸허”한 단 한번 뿐인 말할 수 있는 생의 전부인지도 모른다. “모든 걸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더는 뺄 것이 없는 삶”을 살아내는 것, 그러한 나날의 기록들이다. 작가의 소설 작품이 기다려진다. 아직 존재하지 않는 충만한 그 어떤 이야기를, 작가의 온기와 몸의 움직임이 온통 바쳐진 삶의 이야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