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신 - 신은 과연 인간을 창조했는가?
리처드 도킨스 지음, 이한음 옮김 / 김영사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교는 평민들에게는 진실로 여겨지고 현자(賢者)들에게는 거짓으로 여겨지며 통치자들에게는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세네카(Lucious Anneaeus Seneca)

도킨스는 “이 책은 내 평생에 걸친 과학과의 사랑을 담은 개인적인 저술이다.”라고 밝히고 있듯이 전 인류에 대한 오늘과 미래에 대한 평화로움과 행복 추구에 깊은 애정과 애석함이 저술 전체에 깊이 내재되어 있음을 보게 된다. 진화론자(다윈주의자)로서 인류에게 복종과 망상등 끊임없는 해악(害惡)을 제공하는 종교주의자(기독교, 이슬람교의 근본주의자들)와 이들 종교에 대한 냉엄하고 실증적이며 박애(博愛)적인 비판 논서라 할 수 있겠다.

특히, 인류와 인류를 지탱하는 지구와 우주에 대한 창조론자들인 아브라함을 시조로하는 3개 일신교(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의 배타적이고 기이하며 악의적인 행위에 대한 고발이자 신(God)의 부존재에 대한 과학적인 거증(擧證)이다. 도킨스는 제8장에서 “내가 종교에 적대적인 이유”에서 맹목적인 근본주의 종교가 “과학을 전복시키고 지성을 부패시키는”인류에 대한 적대적이고 악의적 집단이기에 그렇다고 확신한다. 도덕적 기준도 없고 과학적이지도 못하고 이타적 사랑도 존재치 않는 종교적 절대론을 숭배하는 일신교 종교인들의 위험하고 위선적인 믿음으로 희생되는 인류에 대한 보호자로서의 역할에 기꺼이 나섰다.

도킨스는 섬세하고도 친절하게 신(God)이라고 우리들이 지칭하는 의미의 혼동에 대한 명료하고도 적확(的確)한 정의로 자칫 왜곡된 논쟁으로의 꼬투리를 차단해버린다. 초자연적이고 권능과 인격을 갖추었으며 인간의 옮음과 그릇됨을 일일이 단죄하는 우주에 유일한 자를 신이라 하며 그 유일한 자를 섬기는 집단이 종교이다. 이들 종교로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가 중심적으로 거론되며, 이들이 종교로서 인류에게 끼친 그 해악과 기이함과 모순과 거짓에 대해 저자는 분노와 꾸짖음과 학자로서의 설명을 늦추지 않는다.

독자들은 저술 내용에서 ‘신이란 존재하지 않는다’에 대한 무궁무진한 과학적 근거와 논리와 증거들을 흥미진진하게 볼 수 있다. 우리가 이 탁월한 진화론자와 같은 시대에 살게 됨으로써 괴이하고 사기에 급급한 탐욕스런 성직자들의 무시무시한 권위를 회피 할 수 있는 준거를 갖게 됨이 너무도 다행스럽지 않을 수 없다.

청동기시대에 쓰여지고 수세기에서 10여세기에 걸쳐 조작되고 조합되고 짜깁기된 성서란 것의 시대착오적이고 허무맹랑한 이야기들이 오늘의 우리에게 무지막지하게 적용되는 그 낙후성과 무지함에 아연샐색케 될 것이다. 딸자식을 강간과 겁탈의 대상으로 내어주는 아비와 아들을 끓는 가마솥에 넣는 자를 사랑하는 신은 누구를 위한 신인가? 하나의 민족을 남김없이 쳐 죽이라는 그리고 처녀만을 노획하라고 명령하는 자가 그들이 섬기는 신이다. 이교도는 무조건 죽여 버리라는 것도 그 신의 명령이다.

“종교는 분명히 분열을 조장하는 힘이다.”미국은 이미 신정주의(神政主義)국가의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이미 아프가니스탄,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이 종교가 정치인 이슬람 근본주의가 다스리는 국가들이 있다. 이들은 낡아빠진 30세기전의 구약성서라는 일개 문학소설만도 못한 잡글에 목을 메달고 있다. ‘나 아닌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이렇듯 배타적인 그들의 성전은 서로 상대방을 죽이기에 바쁘다. 미국은 이슬람국가를 이슬람교도들은 미국을 비롯한 일부 유럽국가들을 수시로 살상하고 파괴하고 있다. “종교는 늘 그랬듯이 피에 든 독이다”라는 ‘살만 루시디’의 말은 기막히게 적절하게 들어맞는다.

이 대단한 걸작의 다채롭고 정연한 수없는 이론과 논증들을 모두 풀어헤치기가 버거울 정도이다. 기독교도들이 주장하는 종교가 없다면 인간은 도덕을 상실할 것이라는 해괴망칙 하고 한심한 논리나 생명의 존엄성에 이율배반적이고 비논리적이며 기만적인 종교인들의 행태들에 대해서까지 일일이 증거하고 예를 들고 설명하는 수고를 하고 있다.

이 한권의 책은 풍요로운 지식여행을 하려는 독자들,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저자의 신념과 기저에 흐르는 다위니즘의 해석, 종교가 가지는 허위성과 그 한계에 대한 증거들, 미래의 불편한 종교 근본주의자들의 움직임과 그 우려등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정신적 쾌락을 제공 할 것이다. 물론 무신론자이거나 불가지론자이거나 유신론자 저마다 불편함과 분노, 혹은 기쁨과 카타르시등 다양한 신념의 변화를 느끼겠지만 책 속의 그 뛰어난 지식의 향연만큼은 찬탄치 않을 수 없을 것 같다.

“종교는 인간의 존엄성을 모독한다”,“선한 사람이 악행을 한다면 그것은 종교 때문이다”이와 같은 인용된 명제들의 본리를 보려면 바로‘리처드 도킨스’의 “THE GOD DELUSION"으로 당장 뛰어들라!

서로 질시하고 파괴하고 살인하는 배타적이고 도덕심도 없으며 파렴치하고 탐욕스러운 근본주의 종교인들과 그 종교는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도 인간 개인의 도덕심과 이성에 자리를 내주어야 할 것 같다.
“무신론적인 관점은 삶을 지지하고 삶을 고양시키는 한편,
삶이 그들에게 빚지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자기환멸,
안이한 생각, 은근히 스며드는 자기연민에 결코 오염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