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대의 풍경 ㅣ 창비시선 135
심호택 지음 / 창비 / 1995년 5월
평점 :
시집의 내용이 다채롭다기보다는 어수선하다.
1부에서 5부의 일상과 생의 여정들이 흩어져 있는데, 3부의 광주와 생드니에 관련된 시편들 말고는 딱히 뭣 때문에 부가 나뉘었는지 알 수 없이 산만하다.
구수한 입말로 고향을 읊는 5부가 이전 시집이면서 첫 시집인 <하늘밥도둑>과 유사한 정조의 시들이 묶여 있다. 거기에 ‘사람다움’이 많다.
“도대체 어디로 날아갔나
그 기쁨의 순간들은
/살구철이 지난 어느날
우거진 잎새 사이에서
얼핏 ! 샛노란 살구 하나 찾아냈을 때
/고구마 캐낸 빈 밭에서
무심코 쟁기질 뒤따르는데
덜렁 ! 고구마 한 덩이 뒤집혀 나올 때
/사정없이 가슴이 콩당거리던
그만큼은 아닐지라도
그만큼은 아닐지라도” -113쪽, 그 기쁨의 순간들은
이렇게 소박하고 따뜻한 기쁨이 있다니.
“무엇인가
쓰러지고서야 봄이 온다
나는 그 순환을 응시한다” 11쪽, 자세히 보아라
이런 의미심장보다는
아래와 같은 눙침과 여운이 좋았다.
장마
그해 여름은 그 뭐이냐 비가 억수로 와서 막 홍수가 나서 막 온 동네가 물속에 철푸더엉 쟁겨버링게 막 황소 돼지 염생이 퇴깽이 오리 괭이 때꺼우 달구새끼 헐 것 읎이 막 나 살리라고 꽥꽥거림서 떠나려가는 판인디 아 그런디 가마아니 보고 있을라닝게 어디서 막 큰 구렝이 한 마리가 기어나오더니 막 저도 죽게 생겼응게 막 뽁대기만 간신히 나온 초가지붕으로 막 나 죽겄다고 막 기어올라가더라 이거여 — 아 그런디 그 뭐이냐 - P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