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핍의 힘 - 사유하는 어른을 위한 인문 에세이
최준영 지음 / 북바이북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리의 인문학자라는 말에 끌려 읽게 된 책. 결핍이 흠이 아닌 세상과 사람들을 바라보는 시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핍의 힘 - 사유하는 어른을 위한 인문 에세이
최준영 지음 / 북바이북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핍의 힘>이라는 제목만 봤을때는, 

"잔에 물이 반이나 있네~" 하는 긍정적인 마음으로 살라는 

말랑한 힐링책 혹은 자기계발서인가? 싶었고

'거리의 인문학자'라는 저자의 소개를 읽었을 때에는 

'거리'라는 말이 '결핍'과 또다른 공명을 일으켜서 사회의 비열함에 지지 말고

선비같은 고야한 마음으로 살아가자는 에세이인가? 싶었다.


<결핍의 힘>의 저자 박준영은 

교도소와 노숙인 쉼터, 미혼모 복지시설, 공공도서관, 지역 자활센터에서 강연을 하고, 인문학 강의에서 만난 사람들과 인문독서공동체를 꾸리며 즐겁고 행복하다고 하는

소박하지만 깊은 내공의 소유자이다. 


노동이나 연대, 같은 단어가 이젠 낡아버린 포스터같게 느껴지고

SNS로 활발하게 교류하지만 팬데믹으로 사람간의 사이는 멀어진 탓인지

보여주는 것이 전부가 아님을 모두가 알며 연극을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종이 신문은 안 본지 오래되었고, 포털이나 동영상 사이트에서

지루하지 않고 먹을 만하게 잘 잘려진 사회의 조각조각들을 조금씩 맛보며

마트의 시식코너를 돌며 어느새 배를 채워버리듯, 

사회와 사회 속에 살아가는 인간들의 관계에 대해 제대로 음미하기도 전에

질려버린 기분이 들었었는데, <결핍의 힘>은 단 물같은 시원함을 안겨주었다.


그가 다루는 주제는 낯설지 않다.

그리고 모든 것이 '인문학'으로 연결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이야기를 이루고, 이야기를 통해 전달하고 싶은 내용이

사람의 이야기, 인간이 사람답게 사는 -혹은 살기 위해 용을 쓰는- 이야기들이라

예쁘고 달달한 솜사탕처럼 먹고 나면 오히려 입이 텁텁한 책이 아닌

구수한 보리차처럼 차분하게 가만가만 갈증을 적셔주는 책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지금 이 시대를 함께 사는 사람이지만 세대에 따른 경험이 차이 때문인지

동일한 사건도 다르게 기억하거나 아예 관심이 없어 '있었던 일'인지조차 몰랐던

그러나, 찬찬히 들여다보면, 사회면/정치면의 한 귀퉁에서 조그맣게 소리를 내던,

우리사회의 결핍된 모습들을 저자의 개인적인 경험의 창 넘어 들여다보는 과정으로

'결핍'이 단순히 무엇인가가 부족하거나 없는 상태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나에게 무엇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신념과 목적이 흐릿하고 

그저 하루하루 뿌리없는 개구리밥처럼 물 위를 떠돌다가 강한 햇살에 말라버리는

혹은 말라가고 있는지도 모르고 있는 '자각'과 '감수성'의 부재였구나- 싶었다.


남을 돌아볼 겨를도 없이, 

헉헉대면서 하루치의 주어진 몫을 다하고

다시 다음 날의 몫을 다하기 위해 밥을 먹고 잠을 자는 반복적인 일상을

문득 돌아서서 제대로 응시하는 그런 여유와 관조가 결핍되어

남은 고사하고 나의 마음까지 제대로 들여다보지 못한 점을 씁쓸해 하고 있을때,

저자가 발굴(!)해낸 일상의 아름다움과 그 빛나는 순간을 만들어내는 사람들에게

고마움과 깊은 유대감을 느끼게 되었다.


제 몫을 다하는 기능적인 존재로서가 아니라,

그 몫을 다 하며 주변에 따스한 기운을 은은하게 전파하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남과 나를 여겨본 지가 언제였던가- 새삼 곱씹어 보게 되기도 했다.



#결핍의힘 #북바이북 #인문에세이 #최준영 #리뷰어스클럽 #서평이벤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풀 파워 - 고기와 우유보다 당신을 건강하게 해줄 자연식물식
김동현 지음 / 들녘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기만 좋아하는 육식파는 아니어도, 

고기 없는 일주일을 생각하면 슬픔이 차오르는 고기러버로서, 

채식을 '곁들일' 생각만 했기 때문에 이 책을 읽는 내내 충격과 경악을 느꼈다.


그동안 '상식'이라고 생각했던, 탄수화물-지방-단백질의 균형잡힌 식단에서

고기, 생선에 더해 계란과 유제품까지 다 빼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주장에 더해,

나에게는 꽤나 과격하게 들리는 자연식물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저자가

애초에 건강염려증 및 당시 저자의 직업적 상황에 따른 돈 절약하기에 더해

갑자기 늘어난 체중을 관리하며 마른 몸매에 대한 선호에 따른 살 빼기의 이유로

자연식물식을 시작했다는 솔직담백한 고백(?)도 흥미로웠다.



채식에 대해 관심이 생겨 이 책을 읽겠다고 선택했지만

완전한 채식, 즉 비건으로 전향(?)할 생각은 여전히 없었던 나에게

채식보다 더한 자연식물식은 정말이지 극한의 식단으로 보였다.


심지어 채식을 하며 식도락에 한정과 제약을 느낀 사람들의 열망과 욕구로

채식전용 레스토랑과 식재료 마켓이 성장하고 있는 시대의 변화에도

-그리고 그 흐름이 이미 트렌드가 된 미국에서 살았음에도-

결혼-임신-출산-양육을 하고 있지 않지만, 직장 생활과 친교 활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7년간 1일 2식에, 날마다 똑같은(!!!) 야채, 통곡물, 과일, 견과류를 먹는 것을 

무려 3년이나(!!) 지속하고 있는 저자의 삶이 놀라웠고

그것을 이해해주고 자연식물식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주변 사람들의 모습에도 신선함을 느꼈다.



나의 기준으로는 준 영양학자에 가까워 보이는 

저자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자연식물식'의 유효성에 대한 근거가 가득하고

식물로도 충분히 -그리고 저자의 주장에 따르면 몸에 좋고 올바르게- 

모든 영양소를 섭취하며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스스로의 자발적이면서 행복하게까지 보이는 수 년간의 실천으로 보여주어

고기러버의 마음은 슬픔으로 차오르지만, 또 납득의 끄덕임을 하게 만든다.


책을 읽으면서 깨닫고 느꼈지만

비건이나 자연식물식을 '신념'으로 시작하든 건강에 대한 관심과 실천으로 시작하든

지속적으로 특정한 식단을 기꺼이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들이 업데이트하며 발표하는 연구 결과를 관심있게 알아보고 함께 공부하며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자신의 몸에 일어나는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하는 

노력과 일관성, 그리고 본인의 의지와 주변의 지지가 필요하다. 


육식을 포기하는 일이 나에게도 일어날까? (먼산) 

그럼에도 가공 음식을 줄이고 식물성 식품을 식단에 더 들여놓겠다는 

생각을 실천으로 옮기는 동력을 제공한 책이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풀파워 #김동현 #들녘 #자연식물식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서평이벤트 

#가공되지않은음식 #식물성식품 #건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식채널 × 젠더 스펙트럼 EBS 지식채널e 시리즈
지식채널ⓔ 제작팀 지음 / EBS BOOKS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별의 이야기로 수렴하면 볼 수 없는, 시스템의 차별과 혐오의 자각과 발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식채널 × 젠더 스펙트럼 EBS 지식채널e 시리즈
지식채널ⓔ 제작팀 지음 / EBS BOOKS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학교에서 물건을 잃어 버리고 왔다.

이유는 책상 서랍 속에 물건을 넣어두지 않고 자기 책상 위에 올려두었기 때문에.

자리를 비우지도 않았다. 

자기 자리에 앉아 몸을 돌려 뒷자리의 친구와 이야기를 하는 동안 일어난 일이다.

그저 물건을 위에 두었을 뿐인데 친구들이 마음대로 쓰다가

제대로 돌려 놓지 않아서 결국 잃어버린 것이다.


하지만, 누구도 아이에게 사과하지 않는다.

아무나 쓰고 가져갈 수 있도록 책상 위에 물건을 둔 것은

다른 사람에게 빌미와 여지를 준 것이고 

무엇보다 자기 물건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것이 문제의 원인이 되었으므로

물건을 잃어버린 것은 아이의 잘못이 크다. - 라는 것이 결론이었다.

납득하고 이해할 수 있는가?


위의 상황을 읽으며 '어머! 도대체 선생님은 뭘 하셨대?' 

'남의 물건을 함부로 쓰면 안 되는 거지!' 라고 공감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을까 싶다.

(참고로 위 상황은 철저히 가정이다)


그런데 저 상황에서 몇몇 단어를 치환하면 과연 공감의 숫자가 유지될까?

아이를 여성으로, 물건을 잃어버린 것을 성폭력을 당한 것으로,

물건을 자기 책상 위에 올려둔 것을 짧은 스커트를 입은 것으로

시간을 낮에서 밤으로만 바꿔도 

위험한 상황 속에 스스로를 '방치'한 여성의 잘못에 무게감을 두거나

가해자의 '창창한' 앞날과 '순간의 실수'를 옹호하는 발언과 사고가

더 무거워지는 것이 슬프게도, 익숙하다.



차별은 색깔과 농도를 다르게 하며 희생제물을 찾는 괴물같다.

인간이 무리를 지어 살면서 구분짓기와 차지하기에 골몰하면서

특정 세력에게 힘(권력)을 몰아주는 방법은 유구하게 이어지고 있다.

열심히 노력해서 얻었다는 점은 인정해도 학벌과 재산의 정도로

삶의 모든 영역에서 사람을 차별하는 것에 동의할 수 있는가?


본인이 선택할 수 없는 인종, 출신지, 부모, 선천적 장애로 차별받는 것에는

거의 대다수가 -적어도 겉으로는- '옳지 않다'고 하면서 

왜 성별의 문제에서는 그것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까?




요즘 예상을 뛰어넘는 상상력으로 특정 포즈에 대한 '의도'를 의심하며

불매운동을 벌이고 소위 '공론화'를 하며 분노를 부추기는 모습을 보고

'젠더'라는 말을 꺼내는 것조차 금기가 되어가는 분위기로 흘러가는 것이

이상하고 이해할 수 없게 느껴지지 않는가?


이 책이 남성을 가해자,로 두고 여성을 피해자,로 고정시켜

여태까지 남성이 얼마나 여성을 착취해왔는가를 고발하고 비난하는 것이라는

편견이 생길까 -그래서 이로 인해 ebs 지식채널 거부 운동이 일어날까- 해서

분명히 말해두건데, '성별'의 안경과 편견을 벗고 상황을 들여다보면 

누구라도 용납할 수 없는 인권의 착취, 존재의 지움, 부당한 대우가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을 변화시키기 위한

생각과 행동에 불씨가 자연스럽게 피어오르는 내용들 가득하다.



차별과 혐오로 인한 불공정과 불의.

대상은 얼마든지 변한다. 

차별이 있는한, 내 차례가 될 가능성은 항상 있다.

우리는 우리 사회를 위해, 나를 위해 어떤 선택과 행동을 해야하는가?




#젠더 #ebs지식채널젠더스펙트럼 #EBSBOOKS #리뷰어스클럽 #서평이벤트

#오늘의키워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