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가 이 가운데 어떤 일을 했든 간에 그런 삶은 너무나 공허했을 것이다. 가족이나 남편이 없는 여자는 이해받기는 커녕 깊은 의심의 대상이 되는 시대였기 때문이다.“
잭더리퍼를 백년 넘게 문화로 향유하고 누린 역사 밑에 깔린, 살해된 여자들이 있다. 그 여자들에게 이름도 있었고 삶도 있었다. 누구에게서 태어나 어떤 자식으로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어느 동네에 살았는지, 누구와 연애(결혼)했고 자식은 몇을 낳았던지, 일상은 어땠는지 모든 정황이 삭제되었고 살해된 매춘부 누구,로만 기록에 남았다.
책을 읽을수록 왜 이 책이 안 팔렸는지 이해가 된다.
여전히 여자에게 관심이 쥐뿔도 없기 때문이다.
구빈원에서 태어난 주인공을 통해 빈민의 삶과 사회의 병폐를 그려낸 고전 올리버 트위스트의 출생지, 혹은 조지오웰이라는 대작가 본인의 ‘체험 삶의 현장’으로서의 구빈원은 알려져 있지만 당시 노동 계급 여성에게 구빈원이 어떤 의미였는지 아직까지도 누구도 궁금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신세가 몰락해 오갈데 없어진 노동계급 여자가 어떻게든 안 가보려고 애를 써도.. 구빈원을 들락거리며 매춘이나 성 노동과 접점을 가지게 될 수 밖에 없는 사회구조에는 누구도 호기심이 없기 때문이다. 희생자들의 삶처럼, 책 또한 가부장의 승인을 받지 못한 스토리텔링이다.
내게는 시대극 내용의 연재물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사료와 고증이 적절하게 어우러진 논픽션이라 꽤 재밌다. 저자가 인물들의 구체적인 삶에 대해 더 알 수 없는 부분은 그렇다고 솔직히 끊는데, 그런 부분이 오히려 상상을 더 자극하기도 한다. 일이백년전 여자들 상황을 유추하거나 이해하기가 어렵지 않다는 게 이젠 끊어져야 할 저주일텐데.
여하튼 책은 이런저런 이유로 술술 읽히고 내용 특성상 오디오북 콘텐츠로도 괜찮지 않을까 싶다. 내가 영국근대사를 더 잘 안다면 책에 대해 더 성의껏 적을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못해… 이 책은 더 많은 사람들이 보면 좋을 거 같아 다 읽으면 리뷰를 꼭 적으려고 한다. 지금은 밑줄만 옮겨두려고 했던 건데 썽내게 되었지만...
나이 든 사람, 쇠약한 사람, 아픈 사람, 버려진 사람, 신체 장애가 없는 사람 모두가 각자 다른 사정으로 구빈원에 들어왔을 텐데도 똑같이 멸시당했다. 흔히 가장이 돈을 벌지 못하면 가족 전체가 구빈원 신세를 질 수밖에 없었다. 한 가족은 입소와동시에 남녀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공간에서 지내야 했다. 아주 어린아이는 어머니와 함께 지낼 수 있었지만 일곱 살이 넘은 아이들은 부모와 떨어져 구빈원 내 학교에서 지냈다. - P67
1880년 남편을 떠나 집을 나왔을 때 폴리는 앞으로 자신이 어떤 일을 겪을지 잘 알았을 것이다. 그러니 그것은 엄청나게 과감한 행보였다. 노동자계급의 별거가 그리 드문 일은 아니었지만, 여자 쪽은 "도덕을 중요시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착실한 아내로서 누리던 지위를 박탈당했다. 불화의 원인이 누구에게 있는가는 중요하지 않았다. 어쨌든 아내가 남편을 떠나는 것은 여자의 잘못이었다. 좋은 아내는 "언제나 변함없이 선하고, 본능적이고 절대적으로 현명한 여자, 그리고 "자기발전이 아니라 자기절제"를 추구하는 여자였다. 아내로서 여자의 의무는 "절대로 남편 곁을 떠나지 않는 것"이었다. 어머니로서 여자의 의무는절대로 자식을 버리거나 방치하지 않는 것이었다. 가족을 두고 집을나가는 여자는 무능하고 부도덕한 여자, 그야말로 망가진 여자였다. - P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