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의 집
전경린 지음 / 열림원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엄마 전형적인 한국여자 타입이야."
"선배 엄마도 가출했어요?"
이렇게 시작되는 <엄마의 집>...
전형적인 한국여자 타입이란 도대체 어떤 걸까??
순진한건지..정말 모르는 건지..주인공은 전형적인 한국여자가 가출을 하는가보다..
어처구니 없지만, 아마 한국여자들이라면 누구나가 가출을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실제로든 비록 마음으로든 가출을 한다.
그러나 엄마라서.. 저자의 말을 빌리자면 살기 위해 낳은 내 아이들을 위해서
현실속에서는 차마 용기가 나지 않을 뿐이지...^^;ㅎ
그러면서 배우고 느끼고 가족이란 울타리 속에서 따스함이 주는 감동을
지키고 책임지고 그렇게 하루가 쌓이고 또 하루가 쌓이는게 아닐까?
책 내용을 대충 설명자자면...
재혼한 아빠가 그 여자의 딸을 무턱대고 호은에게 맡기고 사라져 버리고
모호한 관계속에서 함께 지내게 되는 과정에서 이런 저런
삶에 대한 얘기,기쁨,상처,사랑,이해,엉키는 감정들을 조용히 풀어가고 있는 얘기다..
읽는 동안 내내 이런 설정이 가능하기나 한 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어쨌든 소설이니까..아니 어쩌면 현실은 소설보다 더한 얘기들이 많을테지만..
이 이상한 관계가 왜 거북스럽지 않은지..책이라서 그런가?
미스 엔처럼 근육을 풀어 받아들이고 또 받아들이며 삶을 느끼고 가족을 느꼈다.
호은과 승지의 대화중 꿈이 뭐냐고...이런 저런 얘기 끝에
호는이 '정말 그 따위로 살다가 그 따위로 죽는거지..'라고 말하는데..
그 따위로 살다가 그 따위로 죽는다는게 왜 그렇게 매혹적인지..ㅎㅎ
아마도 책장을 한장 한장 넘길수록 내 안의 뭔가가 자꾸 자꾸 따스해지고
있어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해 본다.
얼마전<즐거운 나의 집>을 읽을때도 복잡한 그 가족관계속에서
정말 따뜻한 가족을 봤는데 이 책 역시 오히려 엄마와 딸의 대화를 보면서
부럽기까지 했더랬다..어쩌면 하나같이 책속에서 엄마와 딸은 잔잔한 대화가
가능한건지...그것만으로도 충분히 나에게는 기분좋은 가족이다.
저자와 비슷한 시기에 대표적인 작가들의 예전 작품이란게
운동권을 직접 느끼며 뼛속 깊이까지 아파해 봤던 사람들이라 그런지
조금은 무겁고 아프고 그랬었는데..다들 나이를 먹고 세월을 먹으면서
조금씩 세상과 타협을 하고 계시는지 다들 짜기라도 하셨는지..
답답하고 슬픈 느낌들이 많이 가벼워지고 따스한 느낌이 여기저기 느껴진다.
만고 내 생각일수 있지만서도 계속적으로다가 이렇게 따스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