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야상곡 인문 서가에 꽂힌 작가들
안토니오 타부키 지음, 박상진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케이지 지구는 상상하던 것보다 훨씬 형편없었다. 어느 유명 사진작가의 사진들에서 그곳을 본 적이 있었기에 인간의 비참한 상황에 직면할 준비야 되어 있다고 생각했으나, 사진은 어디까지나 피사체를 정방형에 가둬둔 것이다. 프레임 바깥의 피사체는 언제나 또다른 무엇이다. 게다가 그 피사체는 너무 지독한 냄새를 풍기고 있었다. 아니, 너무나 많은 냄새를 풍기고 있었다.

"유럽인은 어떤 식으로든 다 가톨릭교도들이죠. 기독교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어쨌든 실제로는 다 같은 거지요."
그 사람은 마치 음미하든 `실제로는`이란 말을 반복했다. 그의 영어는 매우 우아했다. 여느 대학에서 그러듯 말과 말 사이에 간격을 두면서 약간 길게 늘여서 접속사들을 발음했다. "프랙티컬리...액츄얼리." 그가 말했다.
"참 희한한 말들입니다. 영국에서 흔하게 들은 말들입니다. 당신네 유럽인들은 이 말을 자주 쓰지요." 그러고는 오랫동안 말을 잊시 않았지만, 그의 말이 끝난 건 아니었다. "저는 그게 비관주의인지 낙관주의인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누구든 평생에 한 번쯤 주아리 호텔에서 묵을 일이 있을 것이다. 그 당시에는 특별히 행복한 모험이겠거니 하고 여기지 않을 수도 있으리라. 하지만 돌이켜보면, 사실 돌이켜보는 한에서는, 냄새라든가 색깔이라든가, 세면대 밑에 보이는 종을 알 수 없는 곤충과 같이 직접적인 육체적 감각이 어느 정도 여과되고 나면 경험은 모호해져서 한껏 더 나은 이미지로 남게 마련이다. 지나간 현실은 늘 실제로 그랬던 것보다는 나쁘지 않은 법이다. 기억은 가공할 만한 위조자인 것이다. 그럴 의도가 없더라도 왜곡은 거듭 일어난다. 우리의 환상 속에는 여러 호텔이 가득하다. 조지프 콘래드나 서머싯 모의 책들에서, 키플링이나 브롬필드의 소설을 각색한 미국 영화들에서, 우리는 벌써 여러 호텔을 만난 바 있다. 마치 그곳에 가 본 듯 친근하다.

"사실 말이지만 내 취향도 몹시 까다롭습니다. 최상품이 아니면 돈을 안 씁니다." 내 말에 무게감을 싣기 위해 일단 말을 끊었다. 동시에 그에게만 진심을 털어놓는다는 느낌을 주기 위해서이기도 했다. 마치 어떤 영화 속에 들어간 기분이 들었고, 나는 제법 게임을 즐기고 있었다. 슬픔은 뒤늦게 올 것이었다. 난 그걸 알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