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앤디파트먼트에서 배운다, 사람들이 모여드는 <전하는 가게> 만드는 법 - 배우고, 먹으면서 배우는 가게
나가오카 겐메이 지음, 허보윤 옮김 / Epigram(에피그람)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기가 안 좋으면 사람들은 물건을 사지 않습니다. 그리고 물건을 갖고 싶어 하는 욕망에도 질적 변화가 생깁니다. `제대로 된` 물건을 사고 싶어 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이지요.

옛날에 한 유명 디자이너는 "자신의 명성으로 물건을 팔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상품에 디자이너의 이름을 붙여 판매하는 것은, 상품을 본래의 생활용품으로 대하지 않고, 디자이너의 명성이라는 가치를 담은 물건으로 전락시키는 일이므로 그리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지속하기`는 제작자가 지속적으로 만들어낼 물건이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금방 단종될 것이 분명하다면 롱 라이프 디자인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인간은 단명할 물건에 둘러싸여 살아갈 수 없습니다. 물건과 함께 긴 시간을 보내면서 여러 가지 추억을 쌓아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제작자가 계속 만들고 싶어 하지 않는 물건은 어딘지 모르게 외로워 보입니다.

돈이 많지 않으면 행복하지 않다는 생각이 팽배한 세상이다 보니 일단 많이 파는 것이 모든 일의 대전제입니다. 장사치든 정치가든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거래든 사업이든 파는 행위의 최전선은 바로 파는 장소입니다. 그러므로 판매하는 곳에서 강한 의지를 가지고 "당신에게는 팔지 않겠습니다."라고 단호하게 말할 수 있고, 그래서 무엇이든 돈만 지불하면 간단히 손에 넣을 수 있는 세상이 아니라는 것을 알린다면, 사회는 크게 달라질 것입니다. 극단적인 말이었지만 매장의 자세가 그 정도로 중요하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저희 가게도 이익을 우선시하지는 않지만, 이익에 대해 냉철하게 생각합니다. 롱 라이프 물건을 팔면서 가게가 롱 라이프 하지 못한다면 말이 안 됩니다. 대단한 돈벌이가 안 된다고 해도 유지는 할 수 있는 수준이면 괜찮아요. 그러나 적자인 채 재고만 쌓여간다면 가게를 지속할 수 없습니다.

저는 매장이 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하는 가게`에 사람을 모으기 위해서는 매력이 있는 공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필수적입니다. 적자냐 아니냐의 여부는 가게 규모와 그다지 상관없습니다. 가게 규모가 작아도 얼마든지 적자가 날 수 있습니다.

오늘날 생활용품점의 현실은 참담합니다. 생활용품이라고 부르기 어려운 잡화를 팔면서 `라이프스타일 스토어`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합니다. 무조건 싸면 그만인 유행품과 잡화 체인점에 우리의 미래를 맡길 수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