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의 보수 일기 - 영국.아일랜드.일본 만취 기행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11년 4월
절판


실제로 평소에도 인간을 사고하게 하는 것은 공포의 힘이다. 입시에 떨어질지도 모른다, 일자리를 잃을지도 모른다, 재산이 줄어들지 모른다, 병이 날지 모른다. 그런 공포에 등을 떠밀려 사람은 공부를 하고, 자격증을 취득하고, 검사 수치를 알아보는 것이다. 어디서 읽었는데 사람의 화제는 거의 대부분 공포가 테마라고 한다. 날씨가 나빠질지도, 추워질지도, 월급이 깎일지도, 애인에게 차일지도, 기미가 생길지도, 애가 유괴될지도, . ..종류와 대소의 차이가 있을지언정 모두 공포라는 것이다. -58쪽

기념품이란 물건은 어디나 지조가 없다. 스톤헨지 초콜릿, 스톤헨지 머그, 스톤헨지 티셔츠, 스톤헨지 스노볼... -109쪽

세로선이 천장 꼭대긱에서 교차하며 죽 늘어선 것을 보고 있노라니 누군가가 머리통을 위로 끌어당기는 듯한 착각이 들었다. 기독교 문화권의 하늘에 대한 집착과 동경은 동양인의 상상을 뛰어넘는다. '하늘이 지켜보고 계신다.'가 아니라 '주님 곁으로'인것이다.
성당 안에서 보는 스테인드글라스가 또 무섭다. 빛을 통과시켜 본다는 데 종교적 의미가 있겠지만, 나도 모르게 참회하고 싶어지는 박력이 있다.
안마당을 둘러싼 회랑. 오랜 세월에 걸쳐 더해진 기념물. 그 모든 것이 고딕이라 돌아보다 보면 위압감에 피로가 왈칵 몰려든다. -118쪽

여행을 가면 그 사람의 실무 능력과 인생관이 여실히 드러난다. -164쪽

타라의 언덕은 아일랜드 사람의 마음의 고향이라 불리는 곳이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아일랜드계인 스칼렛 오하라의 아버지가 자기 농장에 타라라는 이름을 붙인 것도 그 때문이다. 스칼렛도 마지막에는 '타라로 돌아가자'고 결심하고.-165쪽

기호품이라는 존재는 문화 그 자체다. 살아가는 데는 결코 필요하지 않지만 필요하지 않기에 필요하다는 점에 인간이라는 동물의 특질과 부조리함이 드러나는 데다가, 동물인 인간을 불투명한 막으로 덮어 '인간'이라는 다른 존재로 바꿔준다. 그 부분을 야만이라느니 낭비라느니 몸에 나쁘다느니 하는 말로 물리적으로 깎아내면 속살이 날로 드러나 껄끄러워진다. 너무 과하게 씻으면 좋지 않다. 때를 너무 많이 벗겨내면 면역력이 떨어져 감기에 걸리지 않던가. 인간은 몸에 나쁜 것을 좋아하는 동물이고, 그것이 인간을 인간답게 한다. -177쪽

다양한 미술관과 박물관을 보면서 든 생각인데, 전시는 '되는'전시와 '글러먹은'전시로 나뉜다. 영국의 전시는 매우 '되는'전시인데, 더블린은 '글러먹은'쪽이다. 즉, 관객의 관람 템포와 감각을 생각하지 않는다.
'되는'전시는 관객의 시선과 심리 상황을 읽는다. 내용에 완급이 있고, 본 것이 관객의 마음속에서 한 편의 드라마로 연속되도록 구성된다. 그렇게 때문에 별 대단한 물건을 전시하지 않아도, 어떻게 보여주느냐에 따라 감동이 있고 어떻게 진열하느냐에 따라 전시품 하나하나가 돋보인다. 그런 전시를 관람한 뒤에는 카타르시스가 있고 좋은 전시회를 봤다는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영국은 그런 의미에서도 매우 노회하고 위엄을 부여하는 재주가 있는데, 더블린은 권위주의와는 거리가 먼, '그냥 있는 대로 죄 갖다 늘어놨다'싶은 꾸밈없는 서글서글함이 있다.-19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