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완성 - 하버드대학교 ‘인생성장 보고서’ 그 두 번째 이야기
조지 베일런트 지음, 김한영 옮김 / 흐름출판 / 2011년 6월
절판


우리를 진짜 인간으로 느끼게 해주는 것은 과거의 애착 관계들에 대한 해마 기억이고, 이 기억에는 감정이 실려 있다.-33쪽

아편은 어미와 분리된 새끼 동물을 달래주는 유일한 화학물질이다. 그리고 만성적인 중독자가 표현했듯이, "헤로인을 맞으면 절대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다. 마치 애인이 있는 것과 같다."-54쪽

...치유에 영향을 준 가장 중요한 사건은 사랑해주는 배우자를 찾은 것이었다. 종교를 통한 교육으로는 사랑하는 법을 배우지 못한다. 사랑은 우리의 유전자로부터, 체내의 화학작용으로부터, 그리고 우리를 사랑하고 우리의 사랑을 허락하는 사람들로부터 배울 수 있다. -60쪽

믿음이 없는 사람은 과거가 없다. 희망이 없는 사람은 미래가 없다. -70쪽

희망은 슬픔을 없애주지 않는다. 희망은 단지 우리에게, 겨울의 정원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사랑의 씨앗이 다시 움틀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일러준다.-82쪽

용서는 '우리에게 부당하게 해를 입힌 사람에게 분개, 부정적 판단, 무관심한 행동을 할 권리를 자진해서 포기하고 그를 향해 연민, 관대함, 심지어 사랑이라는 과분한 속성들을 마음에 품는 것'이다. 놀랍게도 용서를 받을 때보다 남을 용서할 때 마음에 더 큰 평화가 찾아온다. 역설적이다.-117쪽

..불행하게도, 웃기려고 노력할 때처럼 용서하려고 인지적으로 노력하면 할수록 용서하기가 더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용서하거나 용서를 받는 것은 의식적 명령이 아니다. 용서, 사랑, 눈물, 웃음은 지시된 감정이 아니라 지시를 내리는 작은 기적이다.-120쪽

..성숙할수록 용서하는 능력은 꾸준히 늘어나고, 승리해서 최후의 승자가 되는 것의 중요성은 감소한ㄴ다. ...용서할 주 ㄹ아는 능력은 3~90세에 걸쳐 꾸준히 증가한다는 것이 최소한 두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124쪽

사실 복수는 너무 달콤해서 때로는 용서가 복수로 행해지기도 한다. 너무 신속하고 피상적인 용서는 도덕적 우월을 통해 상대를 지배하려는 공격적 욕구를 반영할 수 있다. 재치와 날카로움을 겸비한 극작가 오스카 와일드는 "적을 항상 용서하라. 그보다 더 적을 괴롭히는 것은 없다."고 충고했다.-132쪽

나는 빵을 먹지 않아. 그래서 밀은 나에겐 아무런 소용이 없는 존재야...그건 나에게 정말 슬픈 일이란다. 그러나 너의 머리카락이 금빛이니...난 금빛으로 빛나는 곡식을 볼 때마다 널 생각할 테니 말이야. 그리고 밀밭 사이로 스쳐 지나가는 바람소리에도 귀 기울일 테지 - 어린왕자의 여우-161쪽

어렸을 때 박탈당한 사랑은 유년기의 교육이나 주일학교에서 복구되는 것이 아니라 배우자의 이타적인 사랑을 경험함으로써 형성된다.
사랑은 학습되는 것이 아니다. 사랑은 호흡하고 흡수할 수밖에 없다. 사랑은 지식이 아니라 변연계의 산물이다. -164쪽

성인들이 나이가 들면 그만큼 종교적 보수성은 약해지고 영적으로 보다 관대해진다고 나타났다. 다시 말해 성숙해지면, 단지 신의 기대에 부응해야만 신을 기쁘게 할 수 있다는 가부장적 이론이 용서로, 무조건적 사랑을 중시하는 모성적인 영성으로 바뀌어간다.-170쪽


가장 행복한 유년기를 보낸 사람들, 성년기의 가정생활이 가장 만족스러운 사람들, 그리고 긍정적 감정을 가질 만한 사람들이 가장 영적이라는 것을 의미할까? 아니, 오히려 정반대다. 종종 가장 절망한 사람들이 친구로부터 약간의 도움을 받아 가장 영적인 사람이 된다. 헬렌 켈러, 그리고 극작가 유진 오닐은 냉대를 받고 부정적 감정으로 둘러싸인 유년시절을 보냈지만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인간은 부서진 채 태어나고, 수선하면서 살아간다. 신의 은총이 그 접착제다.
-198쪽

호모사피엔스는 포식자에게 취약했기 때문에 아프리카 사바나에서 가장 사회적인 동물군이 되었다. 현생 인류는 '이기적'유전자와 적자생존을 통해 살아남았을 뿐 아니라 타인을 위해 사리사욕을 절제하는 초월을 통해 살아남았다.-22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