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는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은 돈을 벌면서 중산층으로 올라가는 동안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중산층이 될 수 있도록 중산층의 수준을 끌어내리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27쪽
1834년 뉴햄프셔에 사는 재철공이자 전자 모터의 발명가인 토마스 데븐포트는 충전된 레일에서 나오는 전기로 달리는 차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그 감격적인 순간은 대중들의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킨 철도 시대에 사용하기에는 증기 기관이 좀 더 믿을만하다는 사고 때문에 그만 수십 년 동안 역사 속에 묻히고 말았다. 20세기 초반에는 전기차를 생산하는 회사들이 한 다스나 있었다. 1987년 필라델피아의 Electric Carriage&Wagon사는 뉴욕 시에서 운행하게 될 일단의 전기 택시 부대를 제조했다. 한동안은 미국이 전기차를 사용할 것 같았다. 그러나 1908년 천재적인 헨리 포드가 휘발유로 달리는 모델 T란 자동차를 전기차의 반값으로 시장에 내놓으면서 결정적으로 우리의 미래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145쪽
근본적으로 미국인들은 도시화에 대해 아시아인과는 다른 시각으로 봅니다.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자면 제퍼슨 시대의 이상, 즉 농업을 이상적인 산업으로 생각했던 시대에서부터 그런 생각이 비롯됐다고 볼 수 있겠죠. 즉 내 땅을 가지고 필요하다면 완전히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 말입니다. 미국인은 자립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189쪽
미국의 작은 마을들보다 월마트의 영향력이 더 극명하게 나타나는 곳은 없다. 월마트는 사실상 미국의 시골 마을들을 자사 전속 고객층으로 흡수해왔다. 시골에 사는 소비자는 닭다리 하나를 사건, 자루걸레를 사건, 망치 하나를 사건, 아마 월마트에서 쇼핑을 할 것이다. 미국의 작은 마을의 삶에 월마트가 끼친 영향은 잘 기록되어 있다. 아이오와 대학의 경제학자인 케네스 스톤은 월마트가 시골 지역사회에 불러온 변화를 상세하게 기록해서 명성을 얻었다. 아이오와의 주요 대로들이 파괴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한 그의 연구는 월마트의 사업 계획을 둘러싼 수많은 논쟁을 뒷받침해주는 근본 원리가 됐다. 월마트는 1982년 처음 아이오와에 쳐들어왔다. 그리고 그 후 10년 동안 아이오와 주 전역을 휩쓸었다. 스톤의 연구에 따르면 아이오와 주는 1983년에서 1993년 동안 2300개의 소매상점을 잃었는데 그 중 37퍼센트는 식품점이었고, 43퍼센트는 남성 의류점이었고, 33퍼센트는 철물점이었다. -213쪽
암모니아를 만드는 데 세계 전력 공급량의 1퍼센트가 들어가고, 화석 연료의 4퍼센트를 연소시키고 있다. 암모니아는 냉각제, 청정액과 연료 제작에 사용되지만 주용도(거의 89퍼센트)는 비료를 만드는 데 쓰이고 있다. -271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