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없는 원숭이 - 동물학적 인간론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문예춘추(네모북) / 2006년 2월
구판절판


...몸 전체에서 체취를 없애는 작업도 자주 이루어진다. 우리는 의학적 치료나 위생에 필요한 횟수보다 훨씬 더 자주 몸을 씻고 목욕을 한다. 체취는 사회적으로도 억압되어, 화학적으로 냄새를 없애는 체취 방지용 화장품이 대량으로 팔리고 있다. 이런 통제는 대부분 그것이 제한하는 현상을 좋지않다거나 버릇없는 짓 이라거나 교양없는 짓으로 몰아붙여 반박할 수 없게 하는 간단한 전략을 사용한다. 이런 제약의 참된 본질은 성적 신호를 제한하는 것이지만, 사람들은 거기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고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위적인 도덕규범이나 성에 관한 법률의 형태로 보다 공공연하게 통제하기도 한다. 이런 통제는 문화에 다라 다양하지만, 중요한 관심사는 모두 똑같다. 즉 낮선 사람을 성적으로 흥분시키는 것을 막고, 정해진 짝이 아닌 상대와 성적 상호작용을 갖는 것을 줄이는 것이 이런 통제의 목적이다. -111쪽

그러나 이런 통제는 그리 쉽지 않다. 그래서 이 과정을 돕기 위해 다양한 수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중고등학교에서 스포츠와 격렬한 신체활동이 장려되는 것은 그것이 성적충동을 줄여줄지도 모른다는 헛된 희망 때문이다. 이런 생각과 그것이 실제로 적용된 사례를 주의 깊게 조사해보면, 대부분 참담한 실패를 거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운동선수들은 성적 활동성에서 다른 집단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체력을 많이 소모하는 대신 신체가 건강해지기 때문에, 잃고 얻는 것이 서로 상쇄된다. 성욕 억제에 도움이 되는 유일한 방법은 처벌과 보상이라는 해묵은 제도뿐인 것 같다. 성행위에 탐닉하면 벌을 주고, 성욕을 자제하면 상을 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충동을 줄이는 게 아니라 억압할 뿐이다. -11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