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나의 중국 친구에게 - 베이징에서 마주친 젊은 저항자들
홍명교 지음 / 빨간소금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0년대 이후 중국의 진보적 학생들은 한국의 1980년대 민주화운동이나 노동자운동에 관한 책과 영화로부터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다. 조영래의 ‘전태일 평전‘과 구해근의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의 중국어 번역본을 대학생과 활동가가 많이 읽는다. 전자는 해적판이고 후자는 정식판인데, 실제로는 두 책 모두 PDF파일로 돌아다닌다. - P21

"이 중에서 마르크스주의자는 얼마나 될까? 있긴 할까? 이들은 ‘마르크스 탄생 200주년 기념 전시‘와 사회 모순 사이의 간극을 어떻게 생각할까?"
두 번째 전시 구역의 풍경은 특히 어색했다. 거대한 폭의 그림을 지키는 보안 노동자들 때문이었다. 시꺼먼 얼굴로 고개를 푹 숙이고 그림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그들의 표정은 활기차게 웃고 떠들며 단체사진을 찍는 공산당원들과 달랐다. 마르크스가 제1인터네셔널(국제노동자협회)로 짐작되는 회의장에서 연설하는 모습을 그린 거대한 그림 앞에 오랫동안 서 있던 쉐린이 내게 다가와 속삭였다.
"저 보안원들은 다 임시직일 거야."

전시 공간 끝에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의 국가주석 역임 당시 사진들이 연이어 있었다. 쉐린은 장쩌민과 후진타오는 사진이 2장씩이지만, 시진핑 사진은 5장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 P137

텐진에 가면 화려하고 스펙터클한 설계로 세계적 명성을 떠친 빈하이 도서관이 있다. 개관 당시 도서관에서 배포한 사진에는 책장에 책이 가득 꽂혀 있었다. 빈하이 도서관에 갔을 때 카메라를 갖고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서 의아했다. 안에 들어가서 그 이유를 알았다. 진짜 책은 없고 책 표지 사진만 가득했다. 그러나 이 도서관에 수백 권씩 꽂혀 있는 책이 하나 있었다. 바로 시진핑 선문집이었다. - P137

그즈음 일면식 없는 친구가 위챗으로 말을 걸어왔다. 당나라 시인 이백의 시 ‘여산의 노래를 빈 배 끄는 어사 노씨에게 보내노라‘의 첫 구절에서 따온 ‘초나라 미치광이랍니다‘라는 닉네임을 가진 여성이었다. 알고 보니 고향이 초나라가 있던 장시성이었다. - P187

나이 든 농민공들에게 체념과 절망이 깊게 배어 있었다. 학생들은 노동자들과 관계를 맺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하나같이 그런 아이러니와 분노를 느꼈다. 하지만 학생들은 인생경험이 적었고,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했다.

문제는 이것만이 아니었다. 한번은 노동자와 함께하는 영화상영회를 열어 가유희사라는 홍콩 영화를 봤다. 장국영, 주성치, 장만옥이 주연한 영화로 1992년 한국에서도 개봉한 적 있다. 결혼 관련 내용으로 어렵지 않고 유쾌하면서도 교훈적인 영화라 나쁘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다. 그런데 영화를 함께 보던 여성 노동자들이 하나같이 집중하지 못했다. 절반 이상은 도중에 자리를 떴다. 왜 그런지 알 수 없었다. 나중에 한 노동자가 말했다. "우리 그냥 전쟁 영화 보자."
15년쯤 전에 만들어진 홍콩 멜로영화조차 지루해할 정도로 집중력이 떨어졌던 것이다. 이제 스마트폰 게임은 야학의 최대 경쟁자가 돼버렸다. 문득 노동조합 집회 내내 스마트폰만 쳐다보는 한국의 노동자들이 떠올랐다. - P208

20-30대만 돼도 중국의 대다수 노동자들은 퇴근하기 무섭게 허름한 숙소 침대에 누워 게임을 하고 싶어 하지, 야학 수업을 듣고 싶어 하지 않았다. - P208

흔히 한국 언론은 중국 여론을 보도할 때 가장 극단적인 현상이나 목소리만을 옮기곤 한다. 섬뜩하고 충격적인 이야기가 차분하고 중립적인 이야기보다 훨씬 전파력이 강하며, 그 전파력에 기대 페이지뷰와 트래픽을 늘려야 이득이기 때문이다. 이는 계획적이라기보다 무의식적이고 습관적이다. 이런 트래픽 장사는 다시 대중 여론에 영향을 미쳐 상호 증폭을 반복한다. - P261

"난 그게 항복이라고 생각하지 않아. 너희는 충분히 유의미하게 싸웠고 전 세계에 이런 모순을 알렸잖아. 하지만 지금은 역량을 보존하고 미래를 기약해야 하지 않을까?" - P228

개혁개방 이후 자본주의 체제로 이행하는 국가신자유주의 개혁 과정에서 중국은 노동자를 극한 착취의 늪에 빠뜨렸다. 동시에 중국 사회주의 역사가 남긴 집단성과 자기희생이라는 주체성은 착취를 감내케 하는 기제로 작동했다. 하지만 개혁개방 이후 한 세대가 지나 출현한 신세대 농민궁에겐 기성세대가 지녔던 집단주의적 열정과 희생정신이 없다. 그들은 시장화된 사회의 거대한 사막 위에서 아무런 보호막 없이 생존해야 한다. - P3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