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찍으며 생각한 것 -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자서전
고레에다 히로카즈 지음, 이지수 옮김 / 바다출판사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컨대 우리 세대는 세상에 대한 위화감을 어쩔 수 없이 느끼고는 있지만 새로운 가치관도 불안을 해소할 방법도 찾지 못한 채 그저 끙끙 앓기만 했습니다. 적어도 저는 그랬습니다. 완성된 사회 시스템에 의문을 품지 않고 취직 활동을 해서 일반 기업의 샐러리맨이 되는 사람이 대부분인 가운데 이처럼 끙끙 앓던 사람들이 사는 시대에 ‘학생운동‘이라는 흡수처가 없다면, 그들이 향할 곳은 ‘오타쿠‘나 ‘신흥종교‘뿐인 것도 시대적 필연이지 않을까요. - P130

한국 서울 교외에 있는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은 일제 강점기 때 민족 독립운동에 몸을 던져 체포당한 정치범들이 투옥되었던 형무소 유적인데, 전쟁의 비참함을 전하는 시설로는 그다지 잘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습니다. 지하 고문실에서는 형사 드라마의 한 장면처럼 일본 경찰 인형과 애국 열사 인형이 나무 책상을 사이에 두고 앉아 일본 경찰이 열사의 손톱 밑을 송곳 같은 것으로 찌르는데 스위치를 켜면 비명을 지르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그다지 리얼하지 않습니다. 인형의 만듦새가 나쁘다거나 컴퓨터 그래픽이 더 리얼하다는 뜻이 아니라 보는 쪽의 상상력을 자극하지 않습니다. 아우슈비츠에서 신발로 쌓은 산을 보고 ‘인간이란 무엇인가‘생각하게 되는 것처럼 사고의 깊이를 촉구하지 않습니다. 이는 제가 가해자 측인 일본인이기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일본인은 지독하구나‘이상의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물론 피해의 극심함을 호소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그걸로 문제 없을지도 모르지만, - P150

전쟁을 어떤 식으로 다음 세대에게 설명할지를 결정할 때 피해자 쪽으로 기울어진 이야기가 큰 비중을 차지하면 거기서 사고가 멈추어 일종의 배타주의와 적대주의만 부추기게 되지 않을까요. 이는 입장을 바꾸어 히로시마나 나가사키에 대해 이야기할 때도 할 수 있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 P151

저는 만약 일본 사회가 참된 의미로 성숙한다면, 그때는 일본인이 자신의 손으로 헌법을 고쳐 쓰고 제9조는 국민투표로 다시 선택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을 말하자면 의사와 긍지와 각오를 가지고 제9조를 다시 한 번 선택하는 것입니다. 단 그때는 미군 주둔 문제는 물론이고 쇼와 천황의 전쟁 책임까지 포함하여 도쿄재판도 일본인 스스로 다시 열어야 합니다. 가해의 책임을 제대로 되묻는 것입니다. 거기에는 시민도 휩쓸린 무차별 폭격을 반복한 미국의 전쟁 범죄 책임을 묻는 일도 당연히 포함됩니다. - P153

중교학자 야마오리 데쓰오씨는 책에 "‘일본인은 죽으면 모두 부처가 된다‘고 하는데 죽은 인간을 벌하지 않는 그 감각이 중국이나 한국과는 명백하게 다르다"고 썼습니다. 확실히 일본에서는 죽은 자를 채찍질하는 일은 윤리적으로 그르다고 여깁니다. 죽으면 어떤 악인이든 부처님이라는 일본인의 사고방식이 이른바 에이급 전범이라도 영령으로서 다른 전사자와 한데 묶어 버리는 것입니다. - P153

의미 있는 죽음보다 의미 없는 풍성한 삶을 발견한다. 영화가 그런 주장을 소리 높여 하는 게 아니라 영화 그 자체가 풍성한 삶의 실감으로서 존재할 수 있을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