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 - Philosophy + Film
이왕주 지음 / 효형출판 / 2005년 8월
장바구니담기


에리히 프롬은<존재냐 소유냐>에서 두 종류의 인간을 구분한다.

하나는 존재지향의 인간이고 다른 하나는 소유지향의 인간이다.

존재지향의 사람들은 단지 '어떤 것이 있다' 는 사실만으로 놀라움, 기쁨, 행복을 느낀다.

그들은 길가에 피어난 한 송이 꽃을 그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즐거움을 느낀다.

그 꽃이 반드시 내 방 안에 꽃혀 있어야 한다거나 내 정원에 피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또 누군가를 사랑해서 그 혹은 그녀와 살 수 있다면 더 없이 좋겠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어쩔 수 없이 떨어져 살아야 한다면 그런 조건을 받아 들인다.

그 혹은 그녀가 같은 하늘 아래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행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유지향적인 사람들은 단순히 '어떤 것이 있다는 것'에 만족하지 않는다.

그것이 내 것이라야 한다.
내가 소유하고 지배하고 군림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럴 수 없는 것은 내게 아무런 의미도 없다.

피어 있는 꽃이 아름다우냐 아름답지 않으냐는 중요하지 않다.

그 꽃이 내 것이냐 네 것이냐만이 문제일 뿐이다.

누군가가 내 마음에 든다면 잠자리를 하거나 함께 지내거나 결혼을 하거나 어쨋든 내 것으로 만들어 놓아야 한다.

그래서 소유지향적인 사람들의 마음은 늘 소유와 지배의 욕망으로 시달린다.

(중략)



-1쪽

그는 피아노를 위해 땅을, 에이다를 위해 피아노를, 에이다의 행복을 위해 에이다를 포기한다.

그러나 여기서 베인스가 포기하는 것은 그것들에 대한 소유권뿐이다.

우리는 무엇인가를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그것을 소유하지 않아도 행복할 수 있다.

같은 하늘 아래 어딘가에 그것이 있다는 그 사실만으로도 가슴 뛸 수 있는 것이다.





-2쪽

사랑은 궁극적 선택이다.

우리는 사랑을 위해 무엇인가를 할 수 있지만 무엇인가를 위해 사랑할 수 는 없다.

사랑은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 궁극적 목적이다.

그리고 그것은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행동하는 것이고 그에 따르는 희생과 대가를 치르는 것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사랑한다고 믿으면서 선택 앞에서 망설이고 사랑한다고 말하면서 소유 앞에 주저한다.

<피아노>의 주인공 에이다는 그런 어정쩡한 위선 속에서 머뭇거리는 우리를 피할 수 없는 물음 앞에 서도록 한다.

'사랑을 위해 당신은 가장 소중한 것조차 포기할 수 있는가?'



-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