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울리는 곳간, 서울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모르는 동서남북 우리 땅 4
황선미 지음, 이준선 그림 / 조선북스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내 평생 서울에서 살아본 건 딱 2년 남짓한 군생활이 전부였다. 그것도 경복궁과 백악산에서. 외국친구들을 만나 조선왕조의 정전이었던 경복궁에서 살았다고 하면, 그럼 니가 프린스냐라는 우스갯소리도 많이 들었었다. 우리에게는 <마당을 나온 암탉>이라는 작품으로 널리 알려진 황선미 작가의 <어울리는 곳간 서울>은 바로 그런 나의 추억이 어린 공간, 서울을 그리고 있다.

 

아직도 옛 풍경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는 서울 북촌 마을에서 게스트하우스와 공방을 겸하는 명인당 집 딸 미래의 눈을 통해 본 21세기 서울의 모습은 호기심을 자아내기 충분한 서사를 담고 있다. 능라장의 후예답게 각종 장신구들을 만드는 실력을 가진 어머니와 매일 여는 포목점을 운영하는 아버지 밑에서 자란 미래는 이제는 사라져 버린 서울의 옛 모습들을 상징하는 대표선수 같다고나 할까. 서울이나 도쿄 그리고 뉴욕 같은 대도시들을 가볼 때마다 메트로폴리스가 가진 그런 특징 없는 모습에 실망하곤 했는데, 미래가 들려주는 서울의 숨겨진 모습이야말로 우리가 세계에 가장 자랑할 수 있는 그런 관광명소가 아닐까? 그렇다고 해서 지금 와서 관광객을 위해 파리의 에펠탑이나 뉴욕의 록펠러 센터 같은 랜드마크들을 만드는 것도 우습다는 생각이다.

 

콘크리트 정글이라고 불러도 무방할 정도로 자연미가 하루가 다르게 사라져 가는 서울에서 곳곳에 숨겨진 텃밭으로 농사를 지러 가는 미래와 친구들의 이야기도 자못 흥미진진하다. 그리고 보니 일전에 텔레비전 방송에서 도심농부를 컨셉으로 한 프로그램이 방영되지 않았던가. 관심을 가지고 보진 않아 잘 모르겠지만, 그런 참신한 아이디어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굳이 스티븐 호킹의 말을 빌리지 않아도 하찮게 보이는 꿀벌이라는 존재가 사라진다면 당장 인류가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는 말이 다시 한 번 환경보존이라는 과제가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게 해준다. 서울도심에서 양봉한 꿀로 만든 과자나 빵이라는 제품홍보가 엮인 상품이라면 소비자들이 더 호응을 하지 않을까?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시대는 지나가고, 이제는 제품 하나에도 스토리가 있는 그런 제품들이 소비자들에게 어필하는 시대가 아닌가 말이다.

 

미래네 게스트하우스에 묻게 된 미국 친구 조셉의 할아버지와 미래네 할아버지의 인연을 한국전쟁이라는 과정으로 엮는 과정은 좀 무리라는 느낌이 들었다. 한국전쟁 베테랑이 손자에게 이제는 말라 버린 우물이 있는 집을 찾아 전쟁터에서 무훈으로 받은 훈장을 전해 달라는 설정 말이다. 맥아더가 서울에 남아 있는 조선시대 궁전들을 전쟁 중에 지키는데 한몫했다는 훈훈한 이야기는 그가 중공군의 개입 때문에 한반도를 핵전장의 아수라장으로 만들 수 있는 발언을 했다는 사실 앞에서 그 빛을 발해 버리지 않았던가. 한용운이나 윤동주 같은 독립운동가와 친일문학가인 노천명, 이광수를 같은 반열에 올리는 구성도 그랬고. 하긴 삐딱하게 보기 시작하면 한이 없이 이 정도에서 그만 두자.

 

<어울리는 곳간 서울>의 전체적인 구성이나 전개는 괜찮았다. 이준선 씨가 맡은 일러스트도 과하지 않고 도시의 특색을 잘 잡아낸 것 같아 마음에 들었다. 그리고 스토리가 배어 있는 공간이야말로 세계인들에게 가장 호소력 있는 관광 상품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새겨들을 만했다. 좀 아쉬운 점들도 있었지만, 모름지기 세상사가 “칼레파 타 칼라”가 아니었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