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리스티네, 변신에 도취하다 ㅣ 크리스티네, 변신에 도취하다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남기철 옮김 / 이숲에올빼미 / 201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것은 신데렐라 스토리다.
세계 3대 전기 작가로 알려진 슈테판 츠바이크는 오스트리아 어느 시골 마을 우체국에 일하는 여직원을 주인공 삼아 <크리스티네, 변신에 도취하다>라는 매력만점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는 능청맞게 주인공을 단순하게 “여자”라고 부르며 객체화를 시도한다. 마치 자신이 전혀 모르는 사람의 이야기를 하듯이. 작가는 이 잿빛 금발의 아가씨가 가난 때문에 상상하지 못했던 세계를 체험하면서 자신에게 잠재해 있던 자아와 매력을 찾는 과정을 조용하게 들려준다. 슈테판 츠바이크는 이미 제목에 중요한 키워드를 조용하게 배치했다, “변신”이란 단어는 미운오리 새끼가 어떻게 백조로 변신해 가는지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선택이다.
전쟁(1차 세계대전)은 우리의 주인공 28세의 크리스티네 호프레너 양의 젊음을 앗아가 버렸다. 가장의 부재로 인한 가난은 그녀와 그녀의 어머니를 생계 전선으로 이끈다. 고향 마을에서 어느 누구도 관심을 가지지 않던 크리스티네는 오래전 미국으로 건너가 성공한 클라라 이모의 초청으로 스위스 휴양지 엥가딘에서 백조로 거듭난다. 미국에서 성공한 부유한 이모의 재력은 자신감 없고, 촌스러웠던 크리스티네를 단박에 사교계의 여왕으로 ‘변신’시킨다. 그런데 이 이야기, 왠지 걱정이 앞선다. 하늘을 날던 이카루스의 경우처럼 추락에 대한 우려가 솟아난다. 자신이 것이 아닌 타인의 도움으로 올라탄 ‘호화와 사치’의 롤러코스터에서 내릴 시간이 되면, 신데렐라의 마법이 풀리는 자정이 되면 어쩌나. 이런 우려와 걱정은 독자가 소설에 몰입하게 만드는 결정적 요소다.
호텔의 모든 이들로부터 사랑받던 크리스티네의 추락은 갑작스럽게 찾아왔다. 내심 자신의 애인으로 점찍은 독일 엔지니어 에드빈이 크리스티네에게만 관심을 갖자, 만하임 출신의 카를라는 크리스티네의 발밑을 무너뜨리기 위한 치밀한 준비에 들어간다. 그리고 카를라는 아주 적절한 시기에 사교계의 별로 부상한 크리스티네가 별 볼일 없는 시골 처녀라는 사실을 폭로한다. 젊음과 이모 부부의 재력으로 평생 누리지 못하던 성공을 즐기던 여자의 추락은 그래서 더 비참하다. 설상가상으로 오랜 병고로 고통 받던 어머니마저 세상을 뜬다.
문제는 이게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는 점이다. 스위스 호텔에서의 잊을 수 없는 추억은 제 자리의 삶으로 돌아온 여자에게 증오와 분노의 씨앗일 뿐이다. 허상의 별천지를 체험한 여자는 도저히 예전에 삶에 적응할 수가 없게 되어 버렸다. 주변 사람들을 모두 호텔에서 만났던 빛나는 젊음과 부유한 재력을 갖춘 사교계의 인사들과 비교하면서, 어쩔 수 없는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린다. 이거 너무 빤한 진행 아닌가?
바로 이 지점에서 소설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 넣는 캐릭터가 등장한다. 여자의 형부 프란츠의 오랜 전우 페르디난트가 그 주인공이다. 첫눈에 반한 여자와 남자는 빈의 어느 허름한 싸구려 호텔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절망적인 사랑을 키워 나간다. 국가로부터 철저하게 버림받은 상이용사 페르디난트는 젊은 시절의 패기와 총기를 모두 잃어버렸다. 이 가난한 연인들에게 정상으로 가는 탈출구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럼 그들에게 남은 선택은?
조국 오스트리아를 떠나 브라질의 망명지에서 생을 마감한 슈테판 츠바이크는 소설 <크리스티네, 변신에 도취하다>에서 오늘의 현실에 대한 놀랄만한 예언을 가득 담아낸다. 냉혹한 자본주의의 현실 속에서 하루가 다르게 심화되어 가는 양극화 현상은 이미 전후 오스트리아에서 그 실체를 드러낸다. 미처 몰랐던 상류 사회의 단맛을 본 여자에게 따분하고 지루한 일상은 지옥이었다. 변신, 도취 그리고 현실에 대한 자각은 그녀를 더욱 비참하게 만들 뿐이다. 재력, 배경 그리고 가문 같은 비본질적인 것으로 평가받는 상류사회에 대한 츠바이크의 날선 비판도 매력적인 관전 포인트다.
츠바이크가 그리는 멋진 드레스와 미용으로 대변되는 허영의 세계에 초대된 여성의 심리묘사에 그만 탄복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츠바이크가 오랜 시간을 공들여 저술한 이 미완성 소설의 진가는 희망이 보이지 않는 세대의 불안의 초상이다. 예상대로 그들은 일탈을 꿈꾸며, 새로운 출발을 위한 범죄를 모의하는 과정에서 자기합리화를 나선다. 당대를 살던 젊은이들의 절망이 느껴졌다. 하긴 자신의 꿈을 실현시킬 수 있는 일자리 부족으로 고통 받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과 그들이 다를 게 무엇이던가. 그런 시대의 결핍에 대한 교집합 때문인지 책을 읽는 동안 <크리스티네, 변신에 도취하다>에 그만 흠뻑 빠져 버렸다.
69년 전에 망명지에서 외롭게 죽은 위대한 작가가 남긴 유고 더미에서 불사조처럼 살아남아 40년 뒤에 세상의 빛을 보게 된 작품과의 만남은 그리고서도 또 30년을 기다려야 했다. 그래서인지 더 의미 있는 독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