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처 - 2009 제9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작품집
박민규 외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올해로 9번째를 맞는 황순원문학상 수상작품집을 읽었다. 그런데 내가 황순원 작가에 대해 아는 게 뭐지? 거의 없었다. 어려서 교과서에서 읽었던 <소나기> 정도가 그에 대해 아는 지식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래서 인터넷을 도움을 빌려 황순원 작가에 대한 짧은 검색을 해봤다. 그도 어느 유명작가의 글처럼 누구나 다 읽었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되짚어 보면 거의 읽지 않은 이름만 아는 아주 유명한 소설들을 집필했다.

한편, 황순원문학상은 변하지 않는 인간성과 한국인의 정체성 그리고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계승 발전시켜 나간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고 한다. 두 차례의 예심과 한 차례의 본심을 통해 최종작 10편 중에서 이번 가을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라는 걸출한 장편으로 독자들을 찾은 박민규 작가의 <근처>가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참고로 황순원문학상은 중편 혹은 단편들을 그 수상 대상으로 삼는다고 한다.

책의 표지를 보면서 개인적으로 느낀 점은 최종 본심에 오른 작가들의 이름이 아주 낯익다는 것이었다. 수상자 박민규 작가를 필두로 해서, 김경욱, 배수아, 그리고 은희경 작가에 이르기까지 신예 작가들보다는 기성 작가들을 대상으로 한 문학상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신인 작가들에게는 기회를 주지 않는 걸까? 아니면 그들의 역량의 기성작가들의 그것에 비해 월등하게 떨어진다는 반증일까하는 궁금증이 일었다.

역시 수상작답게 박민규 작가의 <근처>는 탁월한 구성과 함께 짧은 시간 안에 캐릭터를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몰입시켜야 하는 중단편의 특성을 잘 살려낸 것 같다. 시한부 삶을 선고하고 받은 낙향한 주인공의 신산한 삶에 대한 신속한 묘사가 아주 인상적이었다. 그리고 타임캡슐이라는 기발한 소재를 통해, 학업과 취업이라는 기나긴 세월을 단박에 뛰어넘으면서 바로 우울하기 짝이 없는 현실 앞에 캐릭터들을 불러 모은다.

그리고 다가오는 죽음을 관조적으로 바라보면서 “메멘토 모리”(memento mori)를 끊임없이 독자들에게 주지시키는 작가의 글발에 감탄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암으로 죽어가는 육신의 소멸을 조용하게 받아들이는 주인공 앞에, 잊혔던 친구들을 차례로 배열시키면서 20년이라는 세월을 뛰어넘어 버린다. 결말 부분에 배치된 ‘나’의 감성적 환영은 그야말로 한 방에 날아가 버린다.

최근의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어느 사건을 연상시키는 김경욱 작가의 <신에게는 손자가 없다>의 키워드는 복수다. “이 도시에서 수백 개의 수도계량기가 동파된 월요일 아침”으로 시작되는 개별 사건들의 배후에 가려진 추악한 진실을 조용한 어조로 하나씩 들려준다. 자신과는 전혀 상관없다는 식의 냉철한 서술이 언제 어디서고 일어날 수 있는 일상의 비극을 극대화하고 있었다. 기대했던 통쾌한 복수가 생략돼서 좀 아쉬운 감이 없진 않았지만 역시 중단편의 마스터 김경욱 작가답다는 느낌이 진하게 풍겼다.

개인적으로 가장 기대했고 마음에 들었던 작품은 바로 강영숙 작가의 <그린란드>였다. 아니 ‘그린란드’라니, 덴마크령으로 캐나다 북쪽에 있는 그 섬나라 말인가? 정말 천국보다도 더 낯설게 들리는 그 지명이 주는 마력에 그만 빠져 버렸다.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화자는 근근하게 직장생활을 이어가면서, 남편과 그의 친구들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준다. 대한민국 평균 중상층 이상의 몰락하는 삶의 이야기가 리얼하게 그려진다. 우정인지 객기인지 구별이 되지 않을 그런 의리로 똘똘 뭉친 남정네들은 결국 서로 보증을 서고 돈을 빌려 주면서 자신의 아내들로부터 소외를 당하기 시작한다. 아니 그들이 마누라들을 소외시켰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남편들은 어느 날 갑자기 모두 사라져 버린다. 도대체 그들은 어디로 간 걸까? 개썰매를 끌며 북극광과 오로라를 즐기러 ‘그린란드’로 튀어 버린 걸까?

한동안 우리나라 중편과 단편들을 접해 보지 못했었는데 이번 기회에 원 없이 중단편을 즐길 수가 있었다. 앞으로도 황순원문학상의 순항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