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노 갓파의 인도 스케치 여행
세노 갓파 지음, 김이경 옮김 / 서해문집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나에게 인도란 나라는 어떤 나라일까? 이 책 <세노 갓파의 인도 스케치 여행>을 손에 들고 이런 생각을 해봤다. 힌두교, 어마어마한 인구대국, 타지마할, 카주라호, 아잔타석굴, 카레, 카스트제도, 중국에 버금가는 만만디……. 수많은 신들을 믿는 다양성의 나라 인도를 이런 몇 마디로 정의할 수가 있을까? 인도를 한 번 찾은 사람들은 그 마력에 빠져 두 번 세 번 연달아 찾게 된다고 한다. 아니면 극단적으로 인도를 혐오하게 되거나.
그런데 작가 세노 갓파는 1978년 그리고 5년 뒤인 1983년에 다시 인도를 찾은 것으로 보아 후자에 속하는 것 같다. 그래픽 디자이너 출신으로 무대미술가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세노 갓파는 자연의 풍광도 풍광이지만 그 안에 살아 숨 쉬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보통의 관광객들에게는 그다지 관심이 없는 대상들일 수 있는 사람들에게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게 그의 스케치를 통해 여실히 들어 나고 있었다.
그는 길가에서 노점을 펼치고 있는 이들에게 주목을 하고 그들의 모습을 스케치한다. 그야말로 콩나물시루처럼 사람들이 매달려 타고 가는 버스도 그의 스케치 대상이다. 또 이 책에서 계속해서 반복해서 등장하게 될 숙소에 대한 묘사 또한 일품이다. 일반 배낭여행자와는 달리 게스트하우스나 유스호스텔 같이 저렴한 숙소가 아닌 일반 호텔 혹은 이름난 호텔에 투숙하는 세노 갓파는 자신이 묵었던 호텔들을 하나하나 스케치하는 수고를 아끼지 않는다. 하루의 일정이 끝나면 자신이 묵을 숙소로 돌아와 마치 엄숙한 일과를 반성하듯, 실내의 온도를 재고 방값이 얼마며 호텔 객실 넘버를 달고 내부 묘사에 열중하는 그의 모습이 떠오르는 느낌이었다.
개인적으로 꼭 가보고 싶은 타지마할 관광을 끝내고, 델리로 가는 길에 탔던 타지 익스프레스 기차 안의 스케치에선 그의 편집증적 면모가 적나라하게 들어난다. 아마 줄자를 들고 재었는지 열차 내부의 객실의 폭과 넓이 등이 아주 자세하게 기입되어 있었다. 작가는 어느 나라에서 자신의 방식대로 여행을 하다가 스파이로 몰려서 경찰서에 끌려간 적도 있다고 했는데, 정말 누가 보면 스파이라고 의심할 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콜카타(캘커타), 갠지스 강의 바라나시, 미투나 상으로 유명한 카주라호, 타지마할의 아그라로 이어지는 세노 갓파의 첫 번째 인도여행은 델리에서 끝이 난다. 인도하면 떠오르는 카스트 제도에 대한 이야기로 한 달 반 정도의 여정을 매조지 짓는다. ‘카스트’는 혈연 혹은 종족을 뜻하는 포르투갈어에서 유래했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았다. 거의 3,000년에 가까운 역사를 거쳐 형성된 철저한 계급의식은 건국 30년이었던 1978년에도 여전히 많은 문제들을 안고 있었다. 특히 이성적으로는 타파해야 할 악습이라는걸 모두가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그러지 못하는 이율배반적인 모습을 세노 갓파는 적시한다.
아울러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는 저자는 인도에서 현지 음식을 먹는데 주저 하지 않는다. 자신을 특별한 미식가가 아닌 일개 먹보라고 자칭하면서, 노상에서 파는 밀크티를 비롯해서 차파티 같은 인도인들이 즐겨 먹는 음식들을 섭렵한다. 비록 나그네이긴 하지만, 그네들의 삶을 체험해 보고자 하는 그의 노력이 절절하게 느껴지는 순간들이었다. 물론, 언제나 그렇듯이 선의가 좋은 결과만을 불러 오는 것만은 아니어서 장장 3일 동안 배탈이 나서 고생하기도 한다. 이 얼마나 인간적인 모습이던가, 세노 갓파 식 현지화를 위한 적응통(適應痛)이라고 해야 할까.
세노 갓파의 두 번째 인도 행은 남과 북을 관통하는 대장정이다. 델리를 기점으로 해서 파시들이(인도의 조로아스터 교도들을 부르는 표현) 경제권을 장악한 뭄바이(봄베이)를 거쳐, 데칸 고원을 중심으로 하는 남부여행에 나선다. 하이드라바드-첸나이(마드라스)-마두라이를 거쳐 세 개의 바다(벵갈만, 아라비아해 그리고 인도양)가 만난다는 카냐쿠마리 다시 말해 인도의 최남단을 찾는 세노 갓파. 세 개의 바다의 접점이라는 상상만으로도 짜릿했다. 여전히 천일염으로 소금을 채취하고, 금속 농기구라고는 낫 외에는 거의 전부를 인간의 노동력으로 쌀을 생산하는 과정들을 면밀하게 그려낸다.
오늘날 선진기계화가 최우선시 되는 사회에서, 모두의 노동력으로 비록 소출이 적을 진 몰라도 모두가 생산에 기여를 하며, 평화롭게 살아가는 모습이야말로 진정한 공동체의 모습이라고 세노 갓파는 조용하게 말하고 있다. 느리다는 것이 마치 큰 범죄라도 되듯이 하루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우리네 삶과는 전혀 다른 신의 영속적인 신의 세계가 펼쳐지고 있었다.
세노 갓파는 코친-마이소르-방갈로르-아잔타-엘로라-우다이푸르-자이푸르를 거쳐 인도의 최북단 히말라야 언저리의 스리나가르에서 4월의 흰 눈을 보며 긴 여정을 맺는다. 바보와 연기는 높이 올라가는 것을 좋아한다는 표현으로 자신의 행동을 희화화하긴 했지만, 그 높은 힌두사원들의 고푸람에 오르기도 하고, 발로 하는 여행이야말로 진짜 여행이라는 믿음으로 발바닥이 다 익는 역경 속에서도 방갈로르의 스라바나 벨라골라 마을의 고마테시와라 상을 보러 나서기도 한다.
그에 스케치에 대해 책을 읽는 내내 궁금한 점이 하나 있었다. 세노 갓파의 세밀한 스케치를 보면 제법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은데 그 많은 그림들을 여행 도중에 모두 스케치를 했단 말인가? 아니면 초벌 스케치를 하고, 나중에 찍은 사진을 참조하면서 다시 그렸을까 하는 점이 참 궁금했다.
느릿한 시간을 사는 인도인들의 눈에 평범한 관광객이 아닌 세노 갓파의 비상한 호기심은 색달라 보였을 것이다. 세노 갓파가 말한대로 타인의 삶에 개입하고 싶어 하지 않는 일본인들과는 달리, 공동체 의식이 강한 신실한 힌두교도들은 간섭정신과 시니컬한 유머는 책의 다양성의 확장에 큰 몫을 해주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동안 인도에 가지고 있던 편견과 선입견을 모두 떨쳐 버리게 되었다. 아니 그런 생각들은 모두 인도가 가지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과 다양성이라는 이름으로 대체되어졌다. 그나저나 이런 에세이를 읽고 나면 생기는 역마살이 다시 도질 것 같아 두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