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페리움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4-4 로마사 트릴로지 1
로버트 해리스 지음, 조영학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드디어 고대해 마지않던 로버트 해리스의 작품과 만나게 되는 기쁨을 바로 이 책 <임페리움>을 통해서 갖게 되었다. 나치 독일이 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하게 된다는 가설 하에 썼던 <그들만의 조국>과 <이니그마> 혹은 <아크엔젤>과 같은 다른 여타의 작품들에서 팩션이라는 픽션 장르에 대한 심오한 내공을 보여 주었던 그가 이번에는 로마 시대 그 중에서도 공화정 말기 격변의 시대로 독자들을 인도한다.

대개 공화정 말기를 배경으로 한 책들이 카이사르-폼페이우스 그리고 크라수스의 삼두를 주인공으로 다루는데 비해, 상대적으로 역사의 그늘에 있던 마르쿠스 툴리오 키케로를 로버트 해리스는 <임페리움>으로 시작되는 로마 3부작의 메인 캐릭터로 삼았다. 다른 삼두처럼 유서 깊은 귀족적 배경이나 혹은 최고의 군사적 위업 혹은 최고의 부를 가지지도 못한 지방 출신 기사 계급의 키케로가 성공에 대한 본능적인 욕망과 불굴의 의지 그리고 시기적절한 행운으로 로마 최고의 지위인 집정관(consul:콘술)에 이르는 파란만장한 과정이 이 책을 통해 소개가 되고 있다.

국가로서 로마는 고대사회에서 제한된 민주주의 방식이긴 하지만 해마다 선거를 통해 국정을 운영할 두 명의 집정관과 그 휘하의 법무관들 그리고 다수의 공직에 봉사할 인재들을 선출해냈다. 게다가 드물게 법치주의 원칙을 적용시키며 국가의 모습을 갖추어 왔다. 원로원 의원들로 구성된 배심원들에 의한 재판은 필연적으로 많은 수의 변호사들을 필요로 했다. 이런 시대적 배경이, 그리스에 유학하면서 수사학과 웅변술을 마스터한 키케로가 정부가 개인에게 부여한 공적이며 정치적인 힘(임페리움)을 추구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

이 소설에서 키케로와 짝을 이뤄 소설의 화자로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실존했던 키케로의 가노(家奴)인 티로다. 티로는 그가 전래의 속기술을 체화시켜 독자적으로 개발해낸 자신만의 방법으로 키케로의 일거수일투족을 기록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우리가 티로가 키케로와 상하관계에서 점차 없어서는 안 될 꼭 필요한 인물로 진화되어 가는 과정을 알 수가 있다.

키케로는 시칠리아의 하급정무관으로부터 시작을 해서 전직 시칠리아 총독이었던 가이우스 베레스의 재판을 당대 최고의 변호사였던 원로 호르텐시우스를 상대로 해서 승리로 이끌어 내면서 세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그 후에는 폼페이우스와의 정치적 결탁을 통해 조영관과 법무관 선거에서 당선되면서 로마 중앙 정치무대에서 두각을 들어내기에 이른다. 집정관을 향한 그의 불타는 야망이 책의 2부 “집정관” 편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진다.

로버트 해리스가 <임페리움>에서 채택한 팩션 장르는 실제했던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해서, 카이사르나 폼페이우스가 주류로 헸단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조금은 부정적으로 그려져 왔던 키케로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로마 최고의 영웅으로 알고 있는 카이사르는 상대적인 모습으로 등장하게 된다. 이런 현상은 역사학적 관점에서 볼 적에도 매우 고무적인 것으로, 그동안 로마 당대의 역사가들에 의해 패악한 황제로 그려졌던 제정 두 번째 황제였던 티베리우스나 도미티아누스와 같은 황제들에 대한 평가가 다시 이루어지는 것과 그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가 있겠다.

이 책을 보면서 재밌게 느꼈던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어쩌면 그렇게 역사가 이천년 전이나 지금이나 계속해서 반복될까 하는 궁금증이었다. 당시 지중해를 휩쓸던 해적들이 로마의 외항인 오스티아를 습격하면서 시작된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결국 폼페이우스가 비상대권을 얻게 되고, 국가의 정상적인 법치 위에 초법적인 존재로서 군림하게 되는 과정은 9-11 이후, 공황 상태에 빠졌던 부시 행정부의 그것과 너무나 유사하게 느껴졌다. 또한, 민주주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선거에서도, 로마시대나 지금이나 되풀이되는 금품 관권선거 모습 또한 크게 다를 것이 없었다.

로버트 해리스는 당시 로마시대의 풍습과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철저한 고증을 통해 로마 공화정 당시의 모습을 성공적으로 재현해냈다. 게다가 키케로의 개인 비서인 티로의 시선을 통해 보이는 개개의 주인공들과 상황에 대한 탁월한 묘사는 팩션과 픽션 사이의 간극을 거의 느끼지 못하게 만들어 주었다.

주인공 키케로는 정말 얽히고설킨 정치권력 세계에서 변변한 재산이나 혹은 신분상의 유리한 위치 없이 오로지 개인의 부단한 노력과 시기적절한 승부사 기질을 발휘해서, 심지어는 같은 하늘을 지고 살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던 정적과도 필요하다면 대국적인 견지에서 연합해야 한다는 정치적 도박사로서의 모습도 보여 주고 있다. 로버트 해리스는 모름지기 정치가란 어떠해야 한다는 정치가의 전형을 <임페리움>을 통해 유감없이 그려 내고 있다.

<임페리움>에 이어 계속해서 출간될 로버트 해리스의 로마 시리즈 3부작에서 정치가로서 키케로의 삶이 어떻게 전개가 될지 벌써부터 많은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