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성 자살 클럽
전봉관 지음 / 살림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최근 근대 조선의 수도였던 ‘경성’(서울)을 공간적 배경으로 한 소설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연애사건, 살인사건 그리고 기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책들이 출간되고 있는데 이번에 자살이라고 하는 어쩌면 금기에 해당하는 주제를 다룬 전봉관 작가의 <경성 자살 클럽>이 출간됐다.
최근에 읽은 어느 책에서 보니, 죽음은 현실에 대한 자각이라는 표현을 읽을 수가 있었다. 그런데 그 죽음 중에서도 자살은 극한 상황에 처한 개인이 취할 수 있는 가장 극단적인 표현방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이 책에서는 모두 해서 10개의 자살사건을 다루고 있다. 대한제국을 병탄한 일본이 지배하고 있던 수도 경성에 악머구리 끓는 듯한 문제들이 이 주제를 통해 폭발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에필로그에서 저자가 밝혔듯이 7:3의 비율로 여주인공들의 에피소드들이 압도적이었다. 남자들이 민족과 조국의 해방을 위한 대의 혹은 입시문제 등으로 자살을 택했다면, 여자들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가 연애와 관계된 정사(情死)였다. 아무래도 그러다 보니 다른 책에서 다룬 연애사건과도 겹치는 부분이 있는 것 같다. 다산북스에서 나온 <경성을 뒤흔든 11가지 연애사건>과 윤심덕-강명화 그리고 홍옥임 스캔들이 그것이다.
특히 조혼(早婚)과 전래의 인습으로 인해, 자각된 신여성들과 유부남 남성들 간의 연애 그리고 특히 시어머니와 며느리간의 갈등은 새로운 천년이 된 오늘날에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점들이다. 새로운 학문과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기존의 가치관들과 질서들이 해체되고, 재결합되는 그야말로 엄청난 격변의 과정 가운데 내던져진 우리의 꽃다운 청춘들에게 세상살이는 필연적으로 버거울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게다가 언제 끝날지 모르는 억압적인 일본의 제국주의적 지배는 삶에 대한 허무주의를 양산해내고 있었다. 이런 역사적 배경들이 바로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그들을 내몬 것이 아닌가 조심스럽게 추측해본다.
물론 21세기에 사랑하는 사람으로부터 실연당했다고 해서, 극단적인 방법을 취하는 이들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당시와 요즘의 사랑에 대한 관념이 그만큼 변했다는 방증이 아닐까? 우선, 조혼 풍습으로 인해 괜찮은 미혼 남자들을 만나는 것 자체가 어려웠고, 실연이라고 하게 되면 그 후유증이 엄청났다. 물론 당시 경성에도 자유연애주의 풍조가 만연해 있긴 했지만, 어쩌면 그들에게 연애는 자신의 일생을 걸만큼 중요한 일이였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10개의 에피소드 중에서 가장 인상 깊게 읽은 부분은 바로 8번째 <입시지옥>이다. 식민지 조선에서의 폭발적인 인구 증가와 공부를 해야 성공할 수 있는 의식전환으로 인해 모든 조선의 부모들의 교육열은 가히 상상을 초월했다. 게다가 취학연령의 아동들의 수에 비해 턱없이 모자란 학교의 수 때문에, 예닐곱 살 먹은 미취학 아동들이 보통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시험을 치러야 하는 지금으로서는 도저히 믿을 수가 없는 상황도 벌어졌다.
그런 상황들이 거의 10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전혀 개선될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는 현실은 참 답답하기만 하다. 물론 그 당시와는 다른 이유의 과열된 입시경쟁이지만 그 본질은 예나 지금이나 달라진 게 없는 것 같다.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의열단 출신의 나석주 의사의 의거는 비록 그가 목표한 것을 이루지는 못했을지라도 일본 제국주의의 심장부에 폭탄을 투척함으로써, 식민통치자들의 간담을 서늘케 한 쾌거였다. 그리고 모든 의사 표현 수단을 빼앗긴 약자들의 마지막 저항방법이라 볼 수 있는 테러리즘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됐다.
근대 조선의 경성을 거닐며, 과거로부터 많은 것을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멋진 시간여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