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브란트의 유령
폴 크리스토퍼 지음, 하현길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베르메르와 더불어 네덜란드가 자랑하는 거장 렘브란트의 이름이 들어가 있는 <렘브란트의 유령>라는 책의 제목을 보면서, 책을 읽기에 앞서 그의 작품을 소재로 한 미스터리물이 아닐까 하고 짐작해 보았다. 물론 나의 이런 예상은 반은 맞았고, 반은 틀렸었다. 우선 그의 그림이 소재가 사용된 건 맞는데, 치밀한 한 편의 미스터리라기보다는 할리우드 액션영화를 보는 느낌이 들었다. 최근의 추세대로, 이 책도 아마 나중에 할리우드에서 판권을 사들여서 영화화에 나서지 않을까 싶다.

미국 출신의 여주인공 핀 라이언은 런던의 어느 경매회사에서 일하고 있지만 그녀의 자아실현이라기보다는 모델 같은 몸매와 멋진 외모가 돋보이는 캐릭터이다. 물론 여느 미녀 인텔리답게 냉정한 것은 기본이고. 그에 맞는 파트너로 영국 왕족 출신이라는 빌리 필그림이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피터르 부하르트라는 미지의 네덜란드 출신 인물이 핀과 빌리에게 희한한 유산상속을 남기게 되면서 그들의 세계를 누비는 모험이 시작된다.

미국의 아이비리그에서 역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는 저자 폴 크리스토퍼(물론 예명이다)는 역사교육을 직업으로 삼는 이답게, 다양한 역사의 사실들을 독자들에게 현란하게 제공해 주고 있다. 우선 소설의 단서가 되는 렘브란트의 그림에 있어서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전 유럽의 미술품들을 싹쓸이했던 나치 특수부대를 거론하면서 미스터리를 촉발시킨다. 이런 미스터리만으로는 성에 차지 않는지, 작가는 괴한들의 습격이라는 고전적인 방법으로 긴장을 고조시킨다.

런던에서 네덜란드로 날아가, 어느 정도 비밀의 실마리를 찾은 주인공들을 이번에는 동남아시아로 이끈다. 명나라의 세 번째 황제였던 성조 영락제 치하에서, 대원정에 나섰던 실제인물 정화 제독의 잃어버린 보물 이야기를 네덜란드가 세계 바다에서 호령하던 시기에 교묘하게 중첩시키면서 점점 더 독자들의 흥미를 끌기 시작한다. 게다가 여전히 위험과 스릴 넘치는 남중국 해상의 해적 이야기들까지 더해지면서 <렘브란트의 유령>는 가속도를 붙이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일본이 남태평양을 석권했던 태평양전쟁 시기의 일본 해군이 비밀리에 잠수함에 실어 숨겼다는 막대한 양의 금괴 이야기는 현대판 보물섬으로 우릴 인도하기에 이른다.

확실히 폴 크리스토퍼의 <렘브란트의 유령>은 재밌는 소설이다. 동서양의 역사를 아우르는 작가의 박식한 설명에, 미스터리 액션 극으로 갖추어야 하는 거의 모든 요소들 그리고 선남선녀의 주인공들에 이르기까지 부족한 게 없어 보인다. 우리의 생활터전인 현대의 대도시에서 출발해서, 열대의 정글에 이르는 다양한 코스들도 다채롭다.

하지만 작가는 주인공들의 내면세계에 대한 묘사 대신 스케일을 택하면서, 소설의 전개와 구성에서는 탁월한 능력을 보여 주었지만 깊이와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는 독자들이 핀과 빌리 그리고 나머지 등장인물들이 어느 순간에 ‘아, 이래서 그랬구나’하는 공감대 형성에는 좀 부족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가까운 예로 결말 부분에 가서 갑자기 등장한 피터르 부하르트와 그의 딸이 ‘분명한’ 핀 라이언과의 만남은 급작스럽고, 너무 가볍게 처리된 게 아닐까. 그리고 주인공인 핀과 빌리의 인물 묘사에 있어서도 입체적이지 못하고 너무 평면적인 전개가 좀 아쉬웠다. 아마 인문학자 특유의 사실에 입각한 묘사가 문제였을까?

개인적으로 이 책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캐릭터는 바로 동남아시아 해적들의 무대에서 혁명가를 꿈꾸는 칸이었다. 보르네오 출신으로, 미국의 최상류층만 입학이 가능하다는 필립스 아카데미 그리고 하버드 대학 출신의 인텔리 해적으로 나서게 된 그의 인생유전도 기구하지만 해적하면 떠오르는 냉혹하고 잔인한 이미지보다는 현대판 로빈 후드 같다는 생각이 자꾸만 들었다. 어느 순간 이야기 속에서 사라졌던 칸이 막판에 한건 올리는 장면은 아주 인상적이었다.

한 권의 책에서 미스터리, 음모, (아주 강하진 않지만) 칙릿 스타일의 로맨스, 액션, 모험, 그리고 적당한 교양 등의 다양함을 원한다면 꼭 한 번 볼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