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디더블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6-4 리졸리 & 아일스 시리즈 4
테스 게리첸 지음, 박아람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스릴러 소설에 대한 서평을 쓸 적의 고민 하나. 어떻게 하면 최대한 원작을 스포일링시키지 않으면서 좋은 서평을 쓸 것인가! 보통의 일반소설의 경우에는 살짝살짝 맛보기 식으로 내용을 소개할 수가 있지만 끝까지 내용을 알면 절.대. 안 되는 스릴러 소설에서는 그게 불가능하지 않은가 말이다. 자, 그렇다면 방법은 몇 가지로 축약이 될 수가 있겠다. 그 중에서도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등장인물들에 대한 치밀한 분석일 것이다. 그렇다면, 의사 출신의 작가 테스 게리첸이 빚어내는 현란한 스릴러 <바디더블>의 두 주인공인 마우라 아일스와 제인 리졸리의 캐릭터 분석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어느 희대의 연쇄살인사건을 다룬 <바디더블>의 시작은 훗날에 벌어질 끔찍한 사건들에 대한 불길한 암시와 전조로 시작된다. 그리고 유능한 시체부검 의사이자 병리학자로 스탠포드 대학 출신(아마 테스 게리첸 자신의 ‘페르소나’인 듯) 냉철한 지성의 소유자 마우라 아일스를 등장시킨다. 그리고 리비어(Revere) 출신의 보스턴 경찰(Boston Police Department) 소속의 여성 민완형사 제인 리졸 리가 만삭의 몸으로 차례로 출현한다.

여기서 재밌는 사실 하나는, 여성 작가가 두 명의 여성 메인 캐릭터들을 장기판의 말들처럼 심사숙고해서 이동시키면서 여성 희생자들만 살해하는 범인을 뒤쫓는다는 점이다. 사실 이 소설 <바디더블>에서 남자들의 역할은 대개의 경우 사건을 은폐하려거나 혹은 사건현장에서 삽질을 하는 등의 보조적인 역할에 지나지 않는다.

<바디더블>은 미스터리에서 시작해서, 스릴러로 진화해 가는 과정을 독자들에게 시전해 주고 있다. 자신과 외모나 성격 그리고 모든 면에서 일치하는 애너의 살인에서 비롯된 이야기는 들 줄과 씨줄처럼 얽히고설키는 이합집산의 묘미를 더해주고 있다. 다양한 사건들이 등장인물의 교묘하게 짜인 심리묘사를 통해, 결말로 나아간다.

어떻게 보면 평면적 대입일 수도 있겠지만 자신의 출생의 비밀을 알기 위해 뛰는 마우라 박사의 심리적 불안정은 필연적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그녀는 만나는 남자들에 대해 상상의 나래를 펼치지만, 과거의 실패한 결혼으로부터 오는 트라우마는 그녀의 방어기제만을 작동시킬 뿐이다. 아쉬운 점 중의 하나가, 극 초반에 그녀가 의지하는 남성으로 나오던 대니얼 브로피 신부의 존재가 어느 순간 사라져 버린다는 점이었다.

다음으로 영화 <에일리언>의 열혈 여전사 리플리를 떠오르게 하는 여경 제인 리졸리(이름도 비슷하지 않은가). 소설에서도 우스갯소리로 언급이 되지만, 코엔 형제의 영화 <파고>에서 역시 살인사건을 해결하는 만삭의 민완형사 캐릭터가 그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었다. 이 두 주인공은 공통의 과제인 사건해결을 위해 뛰면서, 같은 동지애를 느끼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는 갈등하기도 한다. 아마 작가 테스 게리첸이 여자가 아니었으면 간과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주인공 마우라의 사십 여년 인생만큼이나 긴 세월 가운데 벌어지는 연쇄살인의 끈을 추적하는 재미가 이 소설 <바디더블>의 묘미였다. 개인적으로는 소설의 무대로 등장하는 자마이카 플레인, 네이틱, 브라이튼, 브루크라인 등의 익숙한 지명들이 한결 더 친근함을 형성시켜 주었다. 초복을 맞이하는 이 여름, 서늘한 서스펜스와 숨 막히는 스릴러를 원한다면 테스 게리첸의 <바디더블>이 제격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