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은 성석제 선생의 <이 인간이 정말>을 읽고 있다.
선생의 소설을 읽으면서 예전에 느꼈던 감정이 스물스물 피어 오르는 것도 느낄 수가 있었고, 정말 지대 뽑아 올려 주셨다!!!,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소설이라는 장르의 힘도 느낄 수가 있었다. 특히 지금 읽고 있는 <유희>편에서는.
모두 8개의 단편으로 구성된 소설집인데 이제 절반 가량을 읽은 모양이다.
장마 소식으로 계획했던 외출이 취소되면서 대대적인 청소에 들어갔다.
일단 책방에 들어찬 책들에 대한 정리를 시도했다. 그리고 장렬하게 실패해 버렸다.
꼬맹이가 책놀이를 하는 줄 알고, 책으로 나를 포위하는 바람에... 그렇다 핑계다.
어찌 됐든 책 한 줄을 없애서 통로를 조금 확보했다.
어제 정리를 시도하면서 느낀 점은 참 사두기만 하고 안 읽은 책들이 많구나 하다는 점이었다. 이럴 수가 있나 그래.
나의 책읽기 패턴을 분석해 본다. 이러저러한 통로를 통해 해당의 책의 존재를 알게 된다. 제법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과정이다.
그런 다음, 도서관에서 빌리거나 새책으로 혹은 중고서적으로 책을 구입한다. 요즘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법이 바로 마지막이다. 도서관은 그놈의 코로나 때문에 더 이상 자유롭게 이용할 수가 없게 되었다. 참 그지 같다.
새책을 사들이는 건 정말 그동안 사두고 안 읽은 책 때문에 점점 양심의 가책이 쌓여 가는 그런 느낌이랄까. 아니 집에 그렇게 안 읽은 책들이 넘쳐 흐르는데 또 새책을 사겠다고? 양심이 없는 거니 너는? 에라-
일단 2020년 앞으로 남은 반년 동안에는 집에 싸둔 책 읽기 집중하도록 하자.
우리가 읽을 책이 없어서 못 읽는 건 아니잖니. 그리고 읽은 책들 중에서 소장각인 책들은 상자에 싸서 잘 보관하기. 단점은 필요할 때 바로 바로 찾을 수가 없다는 점. 그렇다면 라벨링을 해두기라도 해야 한다는 걸까? 그것도 다 귀찮은 일이로다.
아, 읽다만 책들에게도 관심을... 최근에 시작해서 시마이 하지 못한 책들도 끝내도록 하자.
그나저나 <스팍스의 앵무새>는 어디로 간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