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오늘은 해맑은 어린아이의 웃음을 띈 부처님을 만나 보시죠. 유명한 서산 마애 삼존불이에요. 흔히 '백제의 미소'로 불리죠. 다가가서 볼을 쓰다듬어주고 싶은 생각 안드세요? 정말 보면 볼수록 정감가는 부처님이에요.

 

이 부처님을 보면 '종교란 무엇인가?'란 생각이 들어요. 종교하면 어떤 느낌(생각)이 드세요? 저는 왠지 무겁고 칙칙한 느낌이 들어요. 겁주고 떨게 만들어 복종하게 만든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에요. 종교는 사람을 자유롭고 평화로우며 따뜻하게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요? 종교가 사람을 위해 있어야지, 사람이 종교를 위해 있어서는 안되지 않겠어요? 이 부처님을 보면 저절로 마음이 열리고 따뜻해져요. 한갖 돌에 새긴 조각이지만 그 어느 종교의 가르침보다 훨씬 더 몸과 마음을 순화시켜 주는 것 같아요. 이런 조각을 남긴 그 이름 모를 석공은 당대의 어느 위대한 학자나 고승보다 훨씬 더 뛰어난 인격자였을 것 같아요. 아마 부처님이 환생하신 것인지도 모르겠어요 ^  ^

 

이제 안내 표지석의 한자를 한 번 보도록 하죠. 오른쪽부터 읽어야겠죠? ^ ^ 서산(瑞山) 용현리(龍賢里) 마애여래삼존상(磨崖如來三尊像)이라고 읽어요. 서산과 용현리는 지명이고, 마애여래삼존상은 돌 벼랑에 새긴 진여(眞如: 진리)에서 온[來] 세 분의 존경받는 부처님 형상이란 뜻이에요. 가운데 있는 부처님은 본존불(本尊佛: 우리가 알고 있는 석가모니)이고 왼쪽에 서있는 부처님은 보살(菩薩)이고 오른쪽에 반가부좌로 앉아 있는 부처님은 미륵(彌勒)이에요.

 

는 상서로울서, 은 뫼산, 은 용룡, 은 어질현, 는 마을리, 는 갈마, 는 벼랑애, 는 같을여, 는 올래, 은 석삼, 은 높을존, 은 형상상이에요.

 

이제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배운게 많군요. , 磨,, 崖, , , 만 보도록 하죠 ^ ^ 

 

(굳을견)의 줄임 글자와 (조개패, 여기서는 화폐의 의미. 고대에는 조개껍질이 화폐대용으로 사용됐었죠)의 합자에요. 지조가 굳고 행실이 바르며 재주가 많아 화폐[]처럼 귀하게 널리 쓰이는 사람이란 뜻이에요. 이 의미를 줄여서 어질다라고 표현한 것이죠. 은 음도 담당하는게 소리값이 약간 변했죠.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賢明(현명), 聖賢(성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磨는 靡(나눌미)의 줄임글자와 石(돌석)의 합자에요. 곡식을 갈아 껍질과 알곡으로 나누는[靡] 돌로 만든[石] 물건, 즉 '맷돌'이란 의미에요. 이 의미를 줄여 '갈다'란 뜻으로 사용하고 있는 거죠. 磨가 들어간 예는 무엇을 들 수 있을까요? 磨擦(마찰), 硏磨(연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崖는 岸(언덕안)의 줄임 글자와 圭(홀규, 여기서는 흙이 중층으로 쌓였다는 의미로 쓰였어요)의 합자에요. 흙이 층층으로 쌓인[圭] 높은 언덕[岸]의 낭떠러지라는 의미에요. 崖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斷崖(단애), 絶崖(절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본래 보리를 그린 거에요. 춘궁기에 굶주림을 면해 주는 곡식이기에 신이 보내온 선물이란 의미에서 오다라는 뜻으로도 사용하게 되다 그 의미로 굳어졌죠. 그럼 보리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그렇죠, ()으로 표현해요.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近來(근래), 往來(왕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술유)(마디촌, 은 손을 그린거에요. 여기서는 그 의미로 사용됐죠)의 합자에요. 손으로 공손히 받들어야 될 술이 담겨있는 술잔이란 의미였어요. 손님 접대나 의식 행사에서 사용하던 술잔이란 의미였죠. ‘()란 의미는 술잔을 공손히 다룬다는데서 연역된 의미죠.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尊重(존중), 尊敬(존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사람인)(코끼리상)의 합자에요. 사람들이 코끼리 그림을 보고 상상한 코끼리의 모습은 -- 코끼리를 쉽게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긴 거죠 -- 실제 모습과 비슷하다란 의미에요. 이런 의미를 줄여서 형상이라고 사용하고 있는 거에요.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想像(상상), 銅像(동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이제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안보고 쓸 수 있도록 허벅지에 열심히 써 보시오.

 

   어질현, 올래, 높을존, 형상상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往(    ), 賢 (    ),  (    ), (     )

 

 

혹시 타타타란 노래 아시나요? 타타타는 如來와 관련 있어요. 如來를 산스크리트어로는 타타아가타(tatha-gata)라고 해요. 타타아가타는 타타(tatha-)와 가타(gata)’ 혹은 타타(tatha)와 아가타(agata)’의 합성어로 봐요. 결합 방식에 따라 해석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어요. 타타아(tatha-)는 여시(如是) 또는 여실(如實)이라는 뜻이고, 가타(gata)가다’라는 뜻이에요. 타타(tatha)는 진실이란 뜻이고아가타(agata)도달한다’, ‘오다라는 뜻이에요.

 

그래서 타타아가타는 지금까지의 부처들과 같은 길을 걸어서 열반의 피안에 간 사람, 또는 진리에 도달한 사람이라는 뜻이 되요. 따라서 타타아가타의 번역어인 여래(如來)여실히 오는 자’, ‘진여(眞如)에서 오는 자라는 뜻으로, 다시 말하면, ‘진여세계에서 와서 진여를 깨치고 여실한 교화활동 등의 생활을 한 뒤에 사라져 가는 이라는 뜻이지요. 흔히 석가모니를 여래(如來)라고 부르죠. 그런데 원시불교시대에 석가모니가 여래를 복수형으로 많이 사용하였고, 윤회에서 해탈한 진인(眞人)에 대하여 제3인칭 제3자적으로 사용하였을 뿐, 1인칭으로서 자신을 호칭할 때 여래라고 한 경우는 없었다고 해요. ()이라는 말도 당시 사람에게는 희귀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여래(如來)라는 말은 더욱 더 이상적인 사람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다고 해요. 후세에는 여래(如來)와 불()을 구별없이 사용하게 되었죠. (이상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6312 참조)

 

오늘은 여기까지. 타타타 노래를 들으면서 헤어질까요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장(壯: 웅장하다)하던 금전벽우(金殿碧宇: 화려한 건물) 찬 재 되고 남은 터에 이루고 또 이루어 오늘을 보이도다 흥망이 산 중에도 있다 하니 더욱 비감 하여라"

 

가곡 '장안사'에요. 혹 들어 보셨는지요? 흥망의 비감을 노래한 것인데 일정강점기에 지어진 가사라 더욱 애조를 띄죠. 오늘 소개할 곳이 바로 이 장안사 노래에 딱 들어 맞는 곳이에요.

 

普願寺址(보원사지). 넓을보(普) 원할원(願) 절사(寺) 터지(址), 보원사 터에요. 한때 1000명의 승려와 100개의 암자를 거느린 대사찰이었는데, 지금은 폐허 위에 돌탑과 당간지주 돌확 비석만 있을 뿐이죠. 세속과 무관할 것 같은 흥망이 산중의 절에도 있으니 '더욱 비감'해요.

 

普願은 '생사고해에 허덕이는 일체 중생을 널리 구제하기를 기원한다'는 의미에요. 규모가 컸던 절집에 딱 맞는 이름 같애요. 이곳에 남아있는 돌탑을 보면 이곳의 절이 꽤 융성했던 곳이구나 하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어요. 규모가 꽤 크고 짜임새있게 만들어 졌거든요. 얼핏보면 불국사의 석가탑을 연상시켜요.

 

기단부에 있는 한 부분을 찍어 봤어요. 얼굴 모습을 보니, 다음 시간에 볼 마애삼존불의 얼굴과 많이 닮은 것 같더군요. 무척 정감있게 느껴졌어요.

 

아, 돌탑 부분의 한자를 소개 안했네요? 五는 다섯오, 層은 층층, 石은 돌석, 塔은 탑탑이라고 읽죠. 普願寺址五層石塔은 '보원사지오층석탑'이라고 읽어요 ^ ^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寺,五,石은 배웠으니 빼도록 하죠 ^ ^

 

普는 並(아우를병, 나란할병)과 日(날일)의 합자에요. 햇빛[日]이 사라져 일체의[並] 색깔을 구분할 수 없는 똑같은 상태가 되었다란 의미에요. 普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普遍(보편), 普通(보통)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願은 原(언덕원)과 頁(머리혈)의 합자에요. 자신의 높은[原] 목표가 달성되도록 상대에게 머리숙여[頁] 요청한다란 의미에요. 原은 음도 담당하죠. 願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所願(소원), 祈願(기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址는 土(흙토)와 止(그칠지, 止는 원래 발을 그린 거에요. 여기서는 발의 의미로 사용됐죠)의 합자에요. 사람이 발에 의지하여 서듯, 성이나 언덕을 쌓을 때 토대가 되는 땅이란 의미에요. 止는 음도 담당하죠. 址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城址(성지), 陶窯址(도요지, 자기 굽던 곳)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層은 屋(집옥)의 줄임 글자와 曾(거듭증)의 합자에요. 이층이상으로 된 집이란 의미죠. 曾은 음도 담당하는데, 약간 음이 변했죠. 層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層階(층계), 層層臺(층층대)를 들 수 있겠네요.

 

塔은 土石(토석)으로 만들기 때문에 土(흙토)가 들어가 있죠. 나머지 부분은 음을 담당해요. 본래 산스크리트어 Sutpa를 음역한 것이에요. 처음에는 卒塔婆(졸탑파, 중국어 발음으로는 '추따퍼'에요. 원음과 유사하죠?) 혹은 塔婆로 번역했다가 나중에 塔으로만 쓰게 됐어요. 塔은 본래 예불하는 장소라는 뜻이었는데 뒤에 사리를 보관한 건축물이란 의미로 사용하게 됐어요. 塔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石塔(석탑), 木塔(목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정리할 겸 문제를 한 번 풀어 볼까요?

 

1. 다음을 안보고 쓸 수 있을 때 까지 허벅지에 열심히 써보시오.

 

  넓을보, 원할원, 터지, 층층, 탑탑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祈(     ), (     )遍,  (         )臺,  城(     ),  石(     )

 

3. 다음 밑줄에 해당하는 한자어를 읽고 뜻을 말해 보시오.

 

    하던 金殿碧宇 찬 재 되고 남은 터에 이루고 또 이루어 오늘을 보이도다 흥망이 산 중에도 있다 하니

    더욱 비감 하여라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가곡 장안사를 들으며 마치도록 하죠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경허 스님이 주석하셨던 절집 현판을 보도록 하죠. 天藏菴(천장암)이에요. 天은 하늘천, 藏은 감출장, 菴은 암자암이에요. 菴은 지난 번 간월암에서 나왔던 庵과 통용해서 써요. 암자 이름이 '하늘이 숨겨놓은 곳'이네요. 무슨 의미일까요? 깊숙한 곳이란 의미도 있겠고(실제로 매우 깊숙한 곳에 있어요 ^ ^) 하늘이 세상을 위해 무언가를 숨겨 놓은 곳이란 의미도 있을 것 같아요. 진리를 간직하고 있다는 의미겠지요. 경허 스님이 이곳에서 득도하셨다고 하니 이 의미도 맞을 것 같아요 ^ ^ 이참에 경허스님께서 득도 하셨다는 방을 한 번 구경해 볼까요?

 

 1평이 채 안되는 눕기도 힘들 정도의 공간이더군요. 이곳에서 스님은 1년간 수행을 하셨다고 해요. 모기와 빈대가 많아 이들에게 물리고 뜯겨 온몸이 헐은 적이 많으셨다는군요. 불살생의 계율을 지키시다보니 그러셨겠지요. 아마 스님은 이곳에서 장좌불와(長坐不臥: 계속 앉아 있고 눕지 않음)의 수행을 하셨을 것 같아요. 스님은 한창 수행하실때는 잠을 물리치기 위해 송곳으로 살을 찌르기도 하고 칼을 갈아 턱밑에 놓기도 하셨다는군요.

 

스님의 방을 보면서 '나는 가진게 너무 많구나.'하는 반성을 하게 되더군요. 행복은 소유에서 오는게 아니라 존재에서 오는 것이라는 누군가의 말도 생각나구요. 스님의 방은 그 자체가 커다란 법문이었어요 ^ ^  

 

자, 이제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天은 一 과 大의 합자에요. 大는 사람을 그린 것이고 一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는 그 무엇이란 의미에요. 사람[大]위에 있는[一] 지극히 높은 곳이란 의미지요. 天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天地(천지), 天下(천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藏은 十十(풀초)와 臧(숨길장)의 합자에요. 풀[十十]로 덮어 숨겨서[臧] 안보이게 한다란 의미지요. 본래 臧으로만 표기했는데 후에 十十가 추가 되었어요. 臧은 음도 담당하죠. 藏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守藏(수장), 八萬大藏經(팔만대장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요기까지 ^ ^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을 안보고 쓸 수 있을 때까지 허벅지에 써 보시오.

  藏 감출장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地,  守(    )

 

3. 정좌하고 10분간 명상하시오.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오늘은 어제에 이어 왼쪽 주련의 한자를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죠. 이미 배운 은 빼고요 ^ ^

 

(날일)의 결합이에요. []가 떠오르기 전의 빛깔[]은 하얗다란 의미에요. 는 해가 떠오르기 전의 그 빛깔을 표시한 것이에요.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黑白(흑백), 白夜(백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말하다란 의미로도 사용하죠. 告白(고백)이 그런 의미죠. 해뜨기 전에 다시 말하면 늦기 전에 얼른 말해야 일이 성사된다란 의미에서 말하다란 의미로도 사용하게 된 것 같아요.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얼른 고백해야죠. 안그러면 떠나니까요 ^ ^

 

의 본래 글자는 이었어요. 은 구름의 모양을 형상화 한 것이죠. 후에 (비우)자를 더해 의미를 한층 더 확실히 표현했죠. 구름은 비를 몰고 오는 습기라는 의미로요.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雲雨之情(운우지정, 좀 야한 용어에요. 남녀간에 교합한다는 의미거든요 ^ ^;;), 雲霧(운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물수)(깃발류)의 줄임글자가 합쳐진 거에요. 깃발이 펄럭이듯 물이 흘러간다란 의미지요. 의 줄임글자는 음도 담당해요.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流行(유행), 行雲流水(행운유수, 거림낌없이 떠도는 것을 비유한 말이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본래 강이나 하천의 중류를 표현한 글자에요. 가운데의 은 수심이 깊어 물길이 계속 이어지는 중심부분을 표현한 것이고, 양쪽은 수심이 얕아 이따금 물결이 끊기거나 파도가 치는 가장자리를 표현한 것이지요.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水深(수심), 水害(수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양팔 저울을 그린 것이에요. 본래는 양쪽으로 똑같이 나누어 놓았다란 의미였어요.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兩班(양반), 兩面(양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집면)(수퇘지가)의 줄임 글자가 결합된 거에요. 사람이 사는 집이란 의미에요. 대개 집에서는 돼지를 기르기 때문에 로 의미를 보완했어요. 는 음도 담당하죠. 그런데 는 다르게 풀이하기도 해요. (사람인)자가 세 개 모여있는 것으로 보고 사람들이[] 모여있는 집[]을 나타낸 글자라고 설명하기도 하죠.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집이 화목해야 만사가 잘된다란 의미이죠), 家庭(가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허벅지에 손가락으로 써보시오.  

    흰백, 구름운, 흐를류, 물수, 둘량, 집가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보시오.

    (    ), (   ),   (    )和萬事成, (    ), (    ), (    )

 

3. 다음 밑줄에 해당하는 한자의 음을 말해 보시오.

 

  답답한 일상에 갇혀 지낼 때면 行雲流水처럼 홀연히 떠나고 싶은 마음이 든다.

 

오늘은 여기까지.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됐네요. 몸은 여기 있는데 마음은 자꾸 물따라 구름따라 떠나니...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개심사 주련(柱聯: 기둥이나 벽 따위에 장식으로 써 붙이는 글귀)중 쉬운 것을 하나 보도록 하죠. 대개 절집에 가면 주련이 있는데 행서체나 초서체라 읽기도 어렵거니와 내용도 쉽지 않아 감히 범접을 못하죠. 그런데 개심사 주련중에는 이 두가지를 다 극복할 수 있는 주련이 있어요. 그래서 저는 이 주련을 매우 해요 ^ ^ 더구나 내용도 운치 있거든요.

 

이 주련은 오른쪽 부터 읽어야 해요. 芳艸桃花四五里 白雲流水兩三家(방초도화사오리 백운유수양삼가). 은 꽃다울방, 는 풀초, 는 복숭아도, 는 꽃화, 는 넉사, 는 다섯오, 는 이(거리의 단위), 은 흰백, 은 구름운, 는 흐를류, 는 물수, 은 둘량, 은 석삼, 는 집가에요. 이런 뜻이에요. '어여쁜 풀 돋고 복사꽃 화사한 사오리 / 흰구름 이는 흐르는 물가엔 인가 두세채' 시 맛을 살리느라 약간 의역했네요^ ^ 동양화의 한폭을 보는 듯한 내용이죠? 단순히 봄날의 풍경을 그린 것이 아니라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고 무심 무욕으로 살아가는(살려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고 생각되요.

 

, 이제 한자를 하나씩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죠. 양이 많으니 오늘은 오른쪽 한쪽 구절만 보도록 하시죠. 는 전에 배웠으니 빼도록 하겠어요 ^ ^

 

十十(풀초, (풀초)의 원글자에요. 의 모양으로 쓰기도 하죠)(여기서는 (놓을방)의 의미로 사용됐어요)의 합자에요. 향기를 풍기는(내놓는)[] [十十]이란 의미에요. 은 음도 담당하죠.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芳年(방년), 綠陰芳草(녹음방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싹날철)이 두 개 합쳐진 거에요. 풀이 많이 싹트는 것을 표현한 것이죠. 그래서 는 온갖 종류의 풀이란 의미에요. 은 풀이 땅을 뚫고 나오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에요.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艸木(초목), 艸笠(초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나무목)(조짐조)의 합자에요. 조짐[]을 알려주는 목본과[]의 과일이란 의미에요. 복숭아꽃의 화사함과 그렇지 않음을 통해 농사의 풍흉을 점쳤다고 해요.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武陵桃源(무릉도원), 桃李(도리: 복숭아꽃과 배꽃)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흐드러지게 핀 꽃 혹은 꽃가지라는 뜻이에요. 十十의 합자에요. 十十는 본래 꽃가지가 늘어진 모양을 그린 거였는데 뒷날 풀초(十十)의 모양으로 변했어요. 도 본래 펴다라는 의미를 갖는 지금과는 다른 모양의 글자였어요(음은 지금과 같고요).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百花齊放(백화제방, 온갖 꽃이 피었다는 의미로 사상과 주장이 만개한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죠), 花卉(화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두 가지로 풀이해요. 하나. 네 개를 표시한 것이다. . 의 결합이다. 는 사방을 나타낸 것이고 을 나눴다는 표시로, 넷으로 나눠놓았다는 의미이다. 둘 다 일리가 있죠?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四方(사방), 四聲(사성) 등을 들 수 있겠네요.

 

, 이제 정리할 겸 문제를 한 번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꽃다울방, 풀초, 복숭아도, 꽃화, 넉사

 

2.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 (    ), 武陵(     ), (     ), (     )

 

3. (   )안에 들어갈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녹음방초가 시오리에 걸쳐 펼쳐져 있네 : (                   )十五里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은 나머지 한 쪽을 보도록 하죠 ^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양물감 2015-02-23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절에 가면 꼭 읽어보려고 하다 슬 눈돌려 회피하는데^^ 많은 도움됩니다.

찔레꽃 2015-02-24 09:04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