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김없이, 남김없이>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숨김없이 남김없이
김태용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소설이 소설을 말하다. 언어가 언어를 말하다
김태용의 소설은 소설을 실험하고 언어를 실험한다. 독자의 흥미를 끌고 눈을 확 잡아끄는 특별한 사건이 없다. 그의 말을 빌린다면 '서사'가 별로, 아니 사실상 거의 없다. 그런데, 작가는 그렇게 진행되는 작법에도 당연히 서사가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고 한다. <숨김없이 남김없이>를 차분히 읽다 보면 그 말이 사실임을 어렵지 않게 눈치채게 된다.
소설 <숨김없이 남김없이>에 대한 리뷰 혹은 독후감을 작성하는 일에 본문을 인용하기 시작하면 아마도 소설을 거의 그대로 옮겨야 할 지도 모른다. 다시 말하면 작품에 대한 인용으로 일관하는 리뷰는 되려 소설베끼기에 다름 아닐 것이다. 그만큼 이 소설은 서사에 대한 이야기거리가 아니라 소설이 무엇인가, 무엇일 수 있는가에 대한 이야기거리로 넘쳐나고 있다.
우선 작가는 말꼬리 이어가기를 실험한다. 소설은 아주 작은 '서사'(전통적 의미에서라기보다는 실험적 의미에서의 서사)가 담겨 있는 단락 하나 하나를 바꾸는 경우에만 줄 바꾸기를 할 뿐, 한 단락 내에서는 전혀 행을 바꾸지 않고 이어간다. 쉼표와 마침표만 존재하고 나먼지의 문장부호는 찾아보기 힘들다. 책을 펼쳐들고 읽어나가는 일은 마치 크고 작은 한 덩이의 고기 조각을 보는 듯도 하고, 한 웅큼의 종이뭉치를 집어드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당연히 일련의 의식의 흐름을 독자가 쉼없이 따라오도록 만든다. 어느 순간에는 호흡이 느리기도 하고, 또 다른 순간에는 수십의 계단을 오르는 것 같이 휴~하고 한숨을 내쉬어야 할 만큼 숨이 가쁘기도 하다. 그런데도 도무지 쉴 틈이 없다. 이어지는 문장을 따라가지 않고는 작가의, 혹은 작품의 내면을 들여다 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 모든 이해작업을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은 말이, 표현된 문자가 끝말잇기처럼 연이어 지기 때문이다.
또 다른 문자 표현 실험도 있다. 마치 클립을 이어가듯 작가는 동일한 진술을 반복, 점층(?)으로 이어간다.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1, 1+2, 1+2+3, 1+2+3+4,...1+2+3+4+.....7+8....이런 방식이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앞문장에 더 보태는 방식으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니다. 이번에는 반대로 뒤의 .....+7+8 부분을 지워버리기도 하고 중간 부분인 ...4+5..를 뭉텅 빼버리기도 하면서 동일한 진술을 많게는 10회 이상 반복한다. 그런데 그 실험은 우리로 하여금 기억에 대한 반복과 의미더함을, 혹은 망각 혹은 의미축소를 경험하게 만든다. 매우 특이한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작가는 지시, 인칭대명사로만 거의 모든 등장인물을 제시한다. '그', '그녀'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의 어머니임을 암시하는 늙은 여인만 '그녀'의 틈바구니에서 빠져나와 노파임을 패러디한 '미파'로 불리울 뿐, 대개는 단순 인칭대명사로 일관한다. 그런데 여기서 특이한 점은 '그'와 '그녀' 둘러싼 자질구레한(하기야 많지도 않기에 잡다한 것은 아니고 몇몇의..) 물건, 혹은 사물들--의자, 책상, 매트리스 등--에 대해서는 통상의 이름을 불러준다는 점이다. 즉, 배경이 되기도 하고 등장인물들의 행위를 촉발하기도 하는 사물들은 그 본래의 역할을 어느 정도 수행하는 통상의 이름으로 지칭되고 있다. 아마도 작가가 이 사물들에 대해서는 이름 그 자체를 부르면서도 다양한 그'것'들의 역할을 조명하는 게 아닌가 싶다.
또 있다. 어쩌면 이것이 이 소설이 궁극적으로 우리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메시지일 수도 있는데, 소설이 소설 아닌 장르되기 , 혹은 다른 장르를 차용한 소설작법을 실험하고 있다. 물론 작가는 '소설'의 장르적 특성 자체를 부인하거나 문학의 장르적 구분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왜 소설이 '그냥 소설'이어야만 하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묻는 작업을 하고 있음이다. 단순히 표현기법으로서의 시, 혹은 아포리즘 첨가가 아니라 '시적 소설되기' 소설적 시되기'라 이름 지을 수 있는 기법을 여러가지로 실험, 시도해보는 것이 작가의 의도가 아닐까 싶다.
그리하여 김태용의 <숨김없이 남김없이>는 구성상 순서로 마지막 장을 '끝장'으로 매김하고, 여타의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마무리하면서 '끝'이라는 글자를 일부러 붙여놓기까지 했지만, 이는 새로운 체세포분열, 혹은 감수분열을 예감케 하는 반어적 의도가 아닐까 싶다. 그래서 이 소설은 숨김없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숨김을, 남김없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남김을 우리에게 강하게 암시하고 다음을 기다리게 한다. 그러다보면 도대체 언제쯤에나 다 드러날 지, 다 닳아없어질 지조차도 모를 정도로 우리를 이끌고 다닐게 분명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