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사 시간에 세계사 공부하기 ㅣ 지식의 사슬 시리즈 1
김정 지음 / 웅진주니어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제 우리 역사와 세계 역사를 한 울타리 안에서 엮어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책을 읽고 얻은 가장 큰 수확이지요 ㅎㅎㅎ
우리 역사를 배울 때 우리 역사만 따로 똑 잘라와 공부한다는 것은 사실 반쪽 공부임을
압니다. 그러나 어쩌겠습니까? 학교에서 배울 때 '국사'라고 해서 우리나라 역사만을 위주로
공부했던 것을요.
그래도 요즘 학생들은 다행이네요, 이리 통합적으로 전체를 아울러서 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책이 있으니 세계 역사 흐름 속에서 우리 역사를 바라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국사 시간에 세계사 공부하기 ~~
제목부터 마음에 쏙~~듭니다. 당연한 이야기죠, 국사 시간에 세계사의 흐름을 모르고
공부한다면 엉터리 반쪽 공부로 결국 역사가 암기 과목이 될 수 밖에 없는 원인이 됩니다.
지나간 과거 세계사적 시대의 흐름을 이해하고 우리 역사는 이랬다~ 하면 외우지 않고도
좀 수월하게 알게 될 것을 머리 부분 떼고 또 꽁지 부분도 떼고 우리나라, 우리 선조는 이랬다~
하면 그냥 외울 수 밖에요.
역사 공부를 힘들게 하는 엉뚱한 길이죠 ㅠ.ㅠ
이 책은 국사와 세계사를 함께 알아갈 수 있도록 안내를 해줍니다.
1부에서 한국사의 출발과 고대 세계
2부에서 고려,조선과 중세 세계
3부에서 개화기와 근대 세계
4부에서 남북한과 현대 세계로 나누어 시대순으로 안내합니다~~
자연스러운 안내 속에서 동북아시아를 호령했던 자랑스런 우리 역사 '고구려'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광개토 대왕이 후연을 격파하고 요동을 포함한 만주 벌판을 차지할 때 중국은 여러 나라로
분열되어 힘을 모으지 못했던 시기였고, 고구려의 위기는 중국을 통일한 수나라로 인해
시작되어 결국 수나라에 이어 당나라와 신라와의 나당연합 세력에 무너지고 말았다는 것이죠.
적의 분열은 우리에게 기회였고 그들의 통일은 우리에게 큰 위협이 되었군요.
그래요, 우리 역사만을 따로 떼어 놓고 보아서는 역사의 큰 산을 볼 수 없습니다.
국지적인 영향이 컸던 이전과 다르게 산업혁명 이후 산업, 교통, 통신 수단이 발달하면서
세계가 유기적으로 움직여 서로간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본격적으로 근대 사회로 갑니다.
근대사회라~ 하면 시민혁명, 신항로 개척에 이어 식민지, 제국주의 등이 떠오르는데...
우리나라는 중세 말기에 새로운 사회 기반 세력을 키우지 못하였기에 우리 스스로 근대화에
성공하지 못했고 그 결과, 일본의 식민지로 전략하고 말았습니다. 동아시아 3국, 조선, 일본,
중국의 개항 이후 상황을 책에서 꼼꼼이 살펴 그 동안 품었던 의문 하나를 풀었습니다.
조선시대 역사책에서 왜구로 불리던...
조선통신사가 오기를 청하여 융숭한 접대를 했으며 우리의 선진 문물과 교류하기를 바랐던
일본이 어느 사이에 우리나라를 집어 삼킬 만큼 성장했을까에 대한 의문이었죠!!!
그 답을 찾았습니다. 일본은 개항 이후 자주적으로 정치 개혁을 이루어 근대화에 성공했고
메이지 유신입니다. 우리는 근대적 개혁을 자주적으로 이루지 못하고 일본의 목적이 있는
간섭으로 시작되어 일본의 목적대로 되었다는 것입니다.
결국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진리에 도달합니다.
노력 없이는 공짜로 얻을 수 있는 것은 없었습니다.
영, 정조 사후 세도 정치로 이어져 매관매직과 부패로 어지러운 상황 속에서 고종 대신
나랏일을 맡았던 흥선대원군 역시 세상 돌아가는 흐름을 역행하여 되려 뒷걸음질 치고
말았고, 근대 사회를 힘들게 지나 맞이한 현대도 일제로부터의 해방이 우리의 힘으로 이룬
것이 아니었기에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대립인 냉전의 희생물로 민족의 비극 6,25 전쟁을
겪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그 폐허 속에서 우리는 다시 일어났습니다.
세계 최빈국에서 이리 성장한 나라는 없지요.
이제 이 책의 마무리에서 우리가 맞이할 미래의 모습이
분단 현실에서 우리가 만들어 갈 새 역사의 나아갈 길이
'통일'임을 짚어 줍니다.
갑자기 아이가 올 봄에 두서없이 쓴 통일 글짓기 내용이 생각나 웃게 되네요~~
북한의 자원 활용과 빼어난 절경이 보고 싶어 통일을 해야한다고 줄곧 강조한 아이의 빈약한
생각에 다른 관점의 단단한 근거를 읽고 배울 수 있어 '역사 여행을 끝마치며' 마무리까지도
흡족한 그리고 혹여 생각나지 않는 부분은 책장을 얼른 열고 찾아보고 싶은 사랑스러운
책입니다^^
학생뿐만 아니라 역사에 관심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읽어두면 좋을 책입니다.
웅진주니어의 지식의 사슬 시리즈 시작,
<< 국사 시간에 세계사 공부하기 >> 멋진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