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몇 촌일까? - 쉽게 배우는 가족 호칭책
문정옥 지음, 백정석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절이 되면 증조할머니께서 계신 큰할아버지와 큰할머니 댁으로 친척들이 모두 모입니다.  

우리 할아버지의 형제분들이 모두 7남매이시니 친척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이면 굉장히  

큰 대가족이 됩니다. 이때 친척 간 호칭과 촌수를 잘 알아 알맞는 호칭을 불러드려야 하는데 

이것은 여간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ㅠ.ㅠ

 

태어나서 어른이 되어 결혼을 하면 아이들을 낳지요. 그러면 그 아이들이 자라서 어른이 

되고 또 결혼을 합니다. 그럼 또 아이들이 태어나겠지요, 이 아이들이 또 어른이 되어 

결혼을 하고 아이들을 낳고 이 과정이 계속 반복 또 반복되어 친척이 많아지게 됩니다. 

증조할머니와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 그리고 할아버지의 일곱 형제분들과 그분들 자손들... 

이 많은 친척들은 앞의 과정으로 형성된 것입니다. 

자라서 어른이 되고 결혼을 하여 아이를 낳고 또 그 아이가 자라 어른이 되고 결혼을 하고 ...   

                        

이제 나와 가족, 친척들을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  

 << 우리는 몇 촌일까? >> 책을 펴 볼까요~~

온겨레와 온나라를 따라 임무를 수행하러 함께 떠나면 쉽게 배울 수 있어요.  

                             자, 출발합니다.

가족나무를 받기 위해 충주에 도착한 온겨레와 온나라를 따라 가면 확대가족과 핵가족, 

가족의 형태와 증조할아버지 -> 할아버지 -> 아버지로 이어지는 가족 나무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이제 충추에서 청주로 가서 아빠의 삼촌, 작은할아버지를 만나 항렬을 배웁니다. 

'항렬' 생소한 말이죠, 항렬이란 방계 가족 간에 손위나 손아래 사람을 구분하기 위해 

만든 것이랍니다. 우리나라는 성을 제외한 자신의 이름 중 한 글자는 같은 글자를 써서 

동일한 항렬을 나타내는 풍습이 있어요, 이는 항렬자를 사용해서 이름을 지으면 나와  

다른 친척 간의 세대를 쉽게 구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요즘에는 항렬자를 넣어 이름을  

짓는 일이 조금씩 사라지고 있지만요. 

 

혈연으로 이어지지 않아도 한 가족이 될 수 있음을 고모와 고모부 가족을 보고 알게  

되지요. 

입양을 통해서 가족이 되어 행복한 가족을 만들어 가는 고모와 고모부, 한별이 ^^ 

모두 행복해보입니다~~ 

 

한 부모 가족과 한 부모 가족이 만나 한 가족을 이루면, 친척과 재혼한 가족도 내 친척이 

됩니다. 재혼으로 새롭게 하나 된 가족 모두가 내 친척입니다^^  

고모네집과 작은 아버지네집을 통해 다양한 가족들의 모습을 알 수 있었습니다. 

 

경주에 도착한 온겨레와 온나라는 이모네 가족을 만나요. 

이모부는 프랑스 사람입니다. 이모네는 어떤 가족일까요? 딩동댕~~ 맞아요, 이모네 가족은  

다문화 가족이랍니다. 서로 이해하며 사랑을 가꾸어가는 이모네는 다문화 가족입니다^^ 

가족은 이렇게 여러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있을 수 있어요, 어떤 모습을 가지고 있든 가족은  

그 안에 이해와 가족 구성원 서로간 배려, 사랑이 있음을 온겨레와 온나라와  함께 임무를  

수행하며 배웠습니다. 오호! 어느새 임수를 수행하다 보니 어려운 친척간 호칭과 촌수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을 다 읽고 울 아이 "음~~,  아버지의 사촌 형제들이 모두 나에게 오촌이었네.

이제 친척간 촌수 하나도 어렵지 않아요, 엄마 ㅎㅎㅎ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임서영 2017-08-22 1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유리가족이좀더친해지고십긴한데좀더다른가족이너무너무아주아주많이싸우는것같아요.서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