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세계사 교실 7 - 새로운 변화와 도전이 시작되다 (1750년~1910년) 마주 보는 세계사 교실 7
이순이 지음, 김수현.이광익 그림 / 웅진주니어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근대'하면 근대 시대의 유럽의 모습만을 떠올렸지, 

산업혁명으로 시작된 이 근대 문명이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 

전혀 생각해보지 못했습니다. 음~ 생각하지 않았다는 말이 더 맞겠네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본격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준 근대 시대에 대해 

우리나라 근대사, 그리고 한국사와 연계된 일본, 중국의 근대사 일부만  부분적으로 알고  

있었을 뿐 그외 유럽 여러 국가들이 물밀듯이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들을 찾아가  

위협, 침략했을 것에 대해선 관심이 없었습니다.

다만 이 시기 우리나라는 개화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개혁의 방향을 둘러싸고 힘을  

모으지 못하고 결국 방향도 제대로 찾지 못해,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고 이후 광복을 위한  

투쟁, 독립운동에만 근대 시대 역사 공부로 촛점을 맞추었을 뿐입니다.

그런데 세상에... 산업혁명으로 힘을 키운 유렵 국가들이 원료 공급처와 새 시장의 개척을 

위해 아시아와 아프리카 대륙의 대부분 나라를 위협하고 침략하여 식민지화하는 과정을  

이 책에서 읽고,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 근대 역사 역시도 우리가 근대화 시기에  

겪었던 혼란을 겪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근대 역사에서 우리가 겪었던 여러 일들이 이들 아시아ㅡ 아프리카 대륙 여러 나라에서도 

다르지 않았음을 보며 정말 18~20세기 초 유럽인들이 이들 나라를 침략하며 내세운 주장대로  

그들의 문명이 진정 우월한가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기의 아시아와 아프리카는 유럽의 문물을 들여오고 근대화 개혁을 통해 유럽의 나라들, 

그들처럼 강해지기를 바랐는데 그럼 이는 유럽의 문물의 우수성을 인정함이 아닌가 그런  

생각에 빠지기도 했습니다. 

참 어렵습니다 ㅠ.ㅠ  

어느 문명이 더 우월하다는 기준이 무엇일까...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18~19세기 세계 역사를 보며 점점 더 어렵고 고민이 깊어집니다. 과학과 기술이 더 발달 

했다고 하여 이를 보고 더 우월하고 선진이라고 해야 하는지... 

그럼 저마다 제각각 전통 방식을 지키며 살아가는 세계 여기 저기 다른 문명을 어떻게 바라 

보아야 할지... 

아직 스스로 정답을 찾지 못했지만 높게 평가해야 할 부분은 나름 맥을 잡았습니다. 

이 시기의 새로운 상황에 맞서 안주하지 않고 변화를 위해 치열하게 노력하고 도전했다는  

점입니다. 침략을 당한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들이 이에 맞서 저항하며  

민주적이고 한층 더 발달된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목숨을 건 치열한 노력, 도전을 멈추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생각해보면 근대 선진 문물이라 우월성을 자랑하는 유럽인, 그들이 고대 세계에서 가장  

먼저 문명을 발달시킨 4대 문명 발상지와 거리가 한참 멀었음을 볼 때 세계 역사에서 

현재 어느 쪽이 우월하다는 의미가 없다는 나름 지금까지 결론입니다 ㅎㅎㅎ 

우리나라와 우리나라 인접 국가의 근대 역사를 넘어 세계 근대 역사를 두루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준 좋은 책이었습니다^^   

마주 보는 세계사 교실 7권,  이 책에게 고마운 마음이 듭니다. 

ㅎㅎㅎ 울 아이도 고마워하고 있습니다. 

마침 사회 시간에 배운 아프리카 지역 나라의 국경선 형태에 근대 시기의 역사가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이 서술형 문제를 보세요~  

 

 

  

아이의 집중이수제 사회 과목에서 배운 내용과 연계된 부분이 있어 읽어주었더니 더 알고  

싶은 마음에 중간고사 시험 공부 중에도 짬을 내어 읽고 있네요~  

이뻐해야하는지~ 시험 공부하라고 잔소리를 해야하는지~ 갈등하고 있습니다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