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 브레이디, 리빙레전드 쿼터백. 뇌의 노화를 막기 위해 뇌과학자를 고용해 훈련했다.

알츠하이머병이 아니더라도 나이가 들며 판단력저하, 두뇌의 노화를 걱정하는 이들이 많다. 두뇌만 늙지 않는다면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직종이 많은데, 사고력 및 판단력저하로 많은 사람들이 은퇴를 강요당한다. 그런데 놀랍게도운동선수들 중에서도 이를 걱정하고 대비하는 사람이 있다.
미식 축구 쿼터백으로 활동한 톰 브레이디(Tom Brady)는 2023년 현재 45세인데, 미식축구 슈퍼볼의 최다 우승(일곱 차례 기록의 보유자다. 미식 축구는 매우 격렬하기에 이 종목 선수들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전성기를 구가하다가 은퇴하는 경향이 있는데, 43세의 나이로 우승하고 MVP에 뽑히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었다. 브레이디 본인은 운동 능력을 유지하는특별한 비법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이 내용을 『TB12 방법이라는 책에서 자세히 기술했다.3브레이디는 미식 축구를 하며번 돈으로 뇌과학자및 의사들을 개인 트레이너로 고용했다. 이들은 무엇을 먹어라, 무슨 음식을 피하라, 근육을 어떻게 단련하라 같은 조언그 이상을 한다. 근육이 전부가 아니기 때문이다. 쿼터백은 수많은 선수들의 움직임을 인지하면서 찰나의 순간에 정확한판단을 해야 한다. 나이가 들면 순간 판단력이 조금씩 감퇴한다. 그러니 40대에도 성공적으로 쿼터백을 맡은 선수는 무척 드물었다.
브레이디는 다른 선수들과는 달리 의학의 힘을 빌 려서 두뇌를 젊게 유지하는 훈련을 그의 일과에 포함시켰다. 그중 하나가 컴퓨터 화면에서 공을 관찰하는 게임이다. 처음 에는 세 개의 공이 움직인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공이 많아진다. 나중엔 움직이는 공이 너무 많아져서 조금 어 지럽다. 그리고 끝에 그는 애초부터 있었던 공을 알아맞혀야 한다. 이런 종류의 게임을 매일 스무개정도 하는 훈련이 반 복된다. 이러한 두뇌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한 곳이 ‘브레인 HQ‘ 라는 회사인데, 원래 기억력 감퇴 및 사고력 저하로 고생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상품을 만들었다. - P3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픈 기억은 좀체 지워지지 않는 이유

인간의 뇌에는 천억 개의 신경 세포가 있는 반면 바다 달팽이는 이만 개밖에 없으니 연구가 그만큼 용이하다고판단했다. 우선 아가미를 움직이고, 기억하는 신경 세포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봤다. 그리고 한 신경 세포에 전기 신호를 주고 그 옆의 신경 세포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을 봤다.
무해하다고 느끼는 신호를 반복적으로 보내면 점차 옆 신경세포에 전기 신호가 덜 간다는 것을 관찰했다. 반면에 유해한아픈 자극을 경험하고 나서는 신경 세포에 전기 신호가 더 빨리 효율적으로 전달됐다.
신경 세포가 옆 세포에게 전기 신호를 전달하려면시냅스를 지나야 한다. 그러니 학습과정에서 시냅스에 변화가 생긴다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을 거치면서 바다 달팽이도 단기 기억과 장기 기억이 있다는 것을알아냈다. 그리고 시냅스 차원에서 그 차이점을 발견했다. 단기 기억의 경우에는 시냅스에 구조적인 변화가 오지 않았다.
단 몇 분 동안은 구조적 변화 없이 전기 신호가 잘 통했다. 그러다가 곧 원래대로 돌아왔다. 단기 기억이 시간이 지나면서소멸되는 현상이었다. 그런데 바다 달팽이가 복습을 통해서 장기 기억을 형성하면 시냅스의 구조가 변했다. 신경 세포들간 연결이 더 강화된 것이다.
훗날 그 자세한 원리를 여러 연구팀에서 발견했다. 장기 기억을 하려면 시냅스에서 단백질 합성이 필요하고, 그렇게 새로 만들어진 단백질들이 시냅스의 구조를 바꾸는 것 이 밝혀졌다. 그리고 이런 현상이 바다 달팽이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인간과 같은 포유류를 대상으로 뇌 속 해마에서의 LTP(기억의 장기강화)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기억을 형성하는 데 해마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포 수준에서는 시냅스 구조 변화가 LTP를 가져온다는 개념이 널리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 P3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부 잘하는 방법! 그 시절 선생님들은 이걸 알고 말씀하셨을까..

내가 우리 아이들에게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때 자주해 주는 말이 있다. 내가 평생 공부를 하며 제일 도움이 됐던개념이 단기 기억과 장기기억이 따로 존재한다는 것이었다고, 우리가 처음 무엇을 배우고 그것을 기억하려 할 때, 그것들은 단기 기억으로 존재한다. 그것은 몇 분 후에 사라질 수있는 기억이다. 이 때문에 한 번만 공부해서는 며칠 후 있을시험을 제대로 대비할 수 없다. 배우고자 하는 것을 두 번, 세번 반복할 때 단기 기억이 장기 기억으로 확실하게 변하게 된다. 그래서 예습 복습이 강조되는 것이다. 나는 이 사실을 과학자들에게 많이 들어왔기에 이 개념이 내 뇌의 해마에 각인되었다. 그것이 새로운 것들을 꾸준히 배워야 하는 내 직업에상당한 도움이 되었다. - P3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겹살을 먹지 마세요˝에 우리 몸이 반응하게 되는 더 나쁜 선택

왜 탄수화물의 지위가 폭락했을까? 흰 쌀밥이나 포테이토칩을 자주 드시는 분들은 다 아는 사실이 있다. 배가금방 다시 고파진다는 것이다. 먹고 먹어도 계속 먹을 수 있는 것이 포테이토칩이다. 왜 그럴까? 정제된 탄수화물은 우리입에서 금방 포도당으로 변한다. 이렇게 해서 혈중 포도당이올라가면 우리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한다. 이렇게 분비된인슐린이 하는 일은 우리 세포로 하여금 포도당을 아주 빨리 흡수하도록 지시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그 높던 혈중 포도당 농도가 금방 떨어진다. 이것을 뇌가 감지하면서 우리는 금방 다시 허기를 느낀다. 그래서 포테이토칩 봉지에 다시 손이 간 다. 그 결과는 무엇인가? 탄수화물을 폭식하는 것이다. 채소 를 이처럼 폭식하는 경우가 있는가? 삼겹살을 이처럼 폭식할 수 있는가? 우리 몸은 지나친 탄수화물 섭취 때문에 생기는 에너지를 지방질로 저장한다. 그리고 동물성지방은 우리 몸 의 LDL 수치를 높이며 우리 심혈관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물론 동물성 지방과 탄수화물 섭취를 동시에 줄이 면 최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배고픈 것을 참지 못한다. 이것은 의지가 약해서가 아니라 본 능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이제 아침식사로 빵에 잼 대신 크 림치즈를 발라 먹는다. 동물성 지방이 많은 크림치즈가 내 탄수화물에 대한 욕구를 조금이라도 억제해 준다면 절반의 성
공으로 간주하겠다는 생각으로 아침 식사를 즐긴다. 그리고 꾸준한 운동으로 몸 안에 쌓인 지방질을 줄이고자 노력한다. 배고픈 것은 못 참아도 적당한 운동은 즐거이 할 수 있기 때 문이다. - P3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몸은 에너지 창고로 지방을 좋아한다.
채식주의자도 지방 과다가 될 수 있다.

탄수화물만 많이 섭취했는데도, 지방질이 생긴다. 왜 그럴까? 영양분을 저장해 둬야 나중에 배고플 때 에너지를 꺼내 쓸 수있는데, 우리 몸은 탄수화물로만 저장하는 것을 싫어한다. 탄수화물은 물에 잘 녹기 때문에 물 분자를 주렁주렁 달고 다닌다. 그래서 에너지 함량이 같다면, 탄수화물은 지방질보다 부피가 두 배 정도 더 크다.
아프리카 사바나에서 진화해 온 우리의 조상을 상상해 보자. 식사를 하고나서, 이제 다음 사냥감을 찾아 뛰어다녀야 한다. 또 맹수들을 피해 도망가는 데에도 에너지를 써야 한다. 그런데 탄수화물과 같이 부피가 큰 물질에 에너지를저장하다 보면 몸이 커질 테고, 따라서 뛰어다니기 힘들게 된다. 탄수화물로 에너지를 저장한 몸은 그 결과 맹수에게 잡아먹히기 쉬워지면서 자연 선택에 의해 죽어 나갔을 것이다. 반면에 지방은 탄수화물에 비해 같은 부피 내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니 언젠가부터 남는 탄수화물이 있으면 그 에너지를 지방으로 합성해 저장하는 동물들이 진화하게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