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심삼일의 이유를 뇌과학자는 이렇게 설명한다.

운동을 안 하고, 좋지 않은 식습관을 가진 사람들이 이론을 몰라서 그러는 것은 아니다. 우리 뇌에서 이성적인 사고를 억제하는 무언가가 있기 때문이다. 어떠한 큰 계기가 있지 않는 한, 사람들은 생활 습관을 바꾸지 않는다. 평소 하지 않던 행동을 습관화하는 것은 모두에게 힘든 일이다. 조금 시도하다가 포기하기 십상이다.
이를 뇌과학 차원에서 설명하면 이렇다. 17장에서 소개했듯이 뇌가 어떤 행동을 지시하고, 또 새로운 것을 배운다는 것은 결국 신경세포끼리 연결된 회로에 전기가 흐르면서 진행된다. 전기 신호가 잘 전달될 때 우리는 어떤 행동을 하거나 무엇을 배우는 과정을 쉽다고 느낀다. 하지만 처음 해보는 행동이나 처음 보는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는 이를 담당하는 뇌의 신경망에 전기 신호가 비효율적으로 흐른다. 그것을 우리 뇌는 이를 ‘불편하다‘ 내지는 ‘고통스럽다‘고
해석한다. 너무 힘들고 고통스럽다고 느낄 때 우리 뇌는 각종 호르몬을 통해서 포기하자는 마음이 들게 한다. 새로운 시도 가 거의 대부분 작심삼일로 끝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17장에서 소개했듯, 이 신경망 사이에 전기 신호가 전달되는 효율은 반복 학습할 때마다 증가한다. 신경세포 사이의 틈인 시냅스의 구조가 더 효율적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공부를 하거나 악기를 연주한 사람들은 이를 경험으로 알고 있다. 처음 수학을 접하고 힘들어 하지 않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덧셈, 뺄셈을 배우고 구구단을 외워야 하는 초등학생, 방정식을 접하는 중학생, 그리고 미적분을 배우는 고등학생 시절을 떠올려 보라. 하지만 매일 조금씩 반복 학습을 할 때마다 수학이 편안해진다. 수학적 사고를 담당하는 뇌의 신경망이 더 효율적으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그것을 업으로 하겠다는 사람들이 나타난다. 매일 그 일을 하는 사람들은 더 이상 그것이 괴롭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 P451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3-08-29 06: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렇네요. 유익한 공부였어요. 이미 인간들의 DNA에 생존본능과 결부되어 크리티컬 패스라는게 있자고 하더라구요. 이는 이성이 아닌 본능이지요. 힘들고 고통스러운 것은 기피대상입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