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95퍼센트가 거짓말을 한다.
규칙이 적고 허용적이어도 아이들은 거짓말을 한다.
5퍼센트의 희망을 위해 그렇게 싸웠던 건가ㅜㅠ

여러 나라에서 반복되어 수행된 연구 결과는 일관되게 청소년의 95퍼센트가 부모에게 거짓말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누구나 저지르면서도 이렇게 보편적으로 비난받는 잘못이 또 있을까? 청소년은 부분적인 진실만 얘기하며 부모가 알고 싶어 하는 핵심 정보를 생략하거나, 화제를 바꿔서 피하는 방식으로 거짓말한다. 만만한 주제를 골라 관심을 돌리는 것이 흔한 전술이다. 그리고 가끔 임시방편으로 노골적인 거짓말을 한다. 거짓말의 단골 주제는? 술과 공부에 대한 거짓말이 가장 흔하다.
...

규칙이 많아도 따뜻하고 친절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고, 필요하다면 규칙에 대해 협상할 수 있는 민주적이고 권위 있는 부모에게 거짓말을 덜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규칙이 불명확한데 부모님이  반대할 것 같을 때 절반의 거짓말을 섞는 것으로 보인다. 해당 주제를 피하거나, 부분적인 정보만 얘기하거나, 하나의 문제로 부모님을 산만하게 만들어 다른 문제를 건드리지 못하게 한다. - P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경우가 아니라면 아이들은 불안하다. 정답은 정해져 있다.

양육방식에 따른 네가지 부모 유형

1. 많은 규칙과 경계를 정했지만, 이에 대해 자녀에게 얘기해 주고 충분한 시간과 관심, 사랑을 기울이는 권위 있고 민주적인 부모. 이런 부모는 꽤 엄격한 편이지만, 자녀는 일반적으로 그렇게 불합리하지 않다고 느낀다. 이런 부모가 있다면 복권에 당첨된 것과 같다. 이 경우 자녀는 부모의 규칙을 지키고 그들에게 거짓말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자녀는 부모의 권위를 인정한다.
2. 허용적인 부모 역시 자녀에게 자신의 모든 시간과 관심, 사랑을 기울이지만, 아이의 버릇을 바로잡으려고 하지는 않는다. 부모가 아이에게 굴복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아이는 자기 방식대로 하게 된다. "우리는 친구보다 더 친구 같은 사이야" "우리, 함께 해볼까?"라고 말하는 부모도 이런 유형에 속한다. 부모가 이런 유형이라면 아이는 스스로 의욕이 생기지 않는 이상 학교생활을 잘하기 어렵다. 규칙이 없으므로 반항할 일이 없어서 부모와의 분리가 더 어려울 수도 있다. 원래 별로 제한이 없는 부모가 어디까지 받아줄 것인지 한계를 시험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그런 부모의 경계를 넘어선다는 것은 이미 안전지대에서 벗어났음을 의미할 수 있다.
3. 권위주의적인 부모는 단호하고 엄격하다. 재미는 물론 따뜻함, 애정이 거의 없다. 그들은 규칙, 학업, 악기 연습에 관심이 많다. 아이들이란 부모가 시키는 대로 하는 존재라고 믿는다. 그들은 확실히 자녀를 사랑하지만, 그 사랑은 순종을 요구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4. 방임하는 부모는 자녀를 돌보는 데 소홀해서 그들을 보호하기 위한 규칙을 제대로 정하지 않는다. 차갑고 무관심하다. 그들은 처벌할 때를 제외하고는 아이를 거의 무시한다. 사실 처벌도 제때 하지 않는다. 규칙이 명확하지 않거나 규칙을 지키라고 요구하지 않으므로 규칙을 어길 때가 아니라 아이가 그들을 짜증 나게 할 때 처벌한다. 아이들은 종증 관심을 끌려고 장난을 친다. 일반적으로 방임은 가장 빈곤한 유형의 양육이고 심할 때는 학대가 된다. 부모가 이런 유형이라면, 제발 가족밖의 성인과 대화를 시도하기를 권한다. - P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먹는 것도 우리 몸에겐 일이다. 매일 먹는 시간 사이를 벌임으로 단식을 하는 걸 저자는 권한다.

먹는 시간을 제한하면 과학적으로 좋다. 언제 먹느냐가 무얼 먹느냐만큼 중요할 수 있다. 한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음식 섭취 가능 시간대를 12시간 이상에서 8시간으로 단순히 좁히기만 했는데도 대사 건강이 좋아졌다.

염증은 음식 섭취에 대처하는 자연스러운 보호 반응이다. 이물질이 몸에 들어오면 mTOR가 염증을 일으킨다. 아침부터 밤까지 식사를 하고 간식을 먹는다는 건 종일 mTOR를 켜놓는다는 뜻이다. 그러면 성견이나 성인이나 건강에 좋지 않다.
하루 몇 시간씩 우리 몸을 쉬게 해주자. 음식 섭취 가능 시간대를 좁히는 건 좋은 전략이다.
12시간 안에 한끼나 두끼 이상은 먹지 않는다. 음식 섭취 가능 시간대는 하루 4~6시간 정도가 가장 좋다. 나머지 시간에는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 간식도 금물이다. 물, 불랙커피, 무가당 차를 마시는 건 괜찮다. - P3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은 과당이 일으키는 독성 때문이고 치료법이 있다. 저자는 ‘과당연관 지방간질환‘으로 바꿔 말하자고 제안한다. 과당 없이는 못 사는 식음료 회사에서는 혐오할 이름이지만 꼭 필요한 제안이다.

NAFLD에는 치료법이 없다는 거짓말은 사실 치료법은 간단한데 의사가 아무런 조치도 내리지 않는다는 데 그 문제점이 있다. 몸이 감당 합 수 있는 소랑으로만 과당을 섭취하면 되는데, 의사들도 NAFLD에는 치료법이 없다는 거짓발을 믿는다.

한 논문에서는 이렇게 짓는다. "(과당, 포도당 같은) 단순당을 과도하게 소비하면 mTOR 신호가 활성화되어 간에서 하는 포도당 합성, 지방 생성, 지방산 흡수, 이화작용을 조절해서 간에 지질 침착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질병의 명칭을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대신 ‘과당-연관 지방간 질환‘으로 바꾸면 어떨까 한다. 원인을 사람들이 제대로 알면 이 질병에 덜 걸릴 듯싶다. - P1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당과 (에틸)알코올은 우리 몸이 보기에 비슷하다. 그래서 술 안 마시는 사람도 지방간이 생긴다.


정제 탄수화물과 당의 하루 최소 섭취 요구량은 0g이다. 우리 몸은 생물학적으로 반드시 당을 섭취하지 않아도 된다. 당분을 대사하는 간의 용적은 작고, 한계가 있다. 조금은 괜찮아도, 무리하게 만들면 간에 나쁜 일이 벌어지고 만다. 한 의사는 당이 "에너지 이용 장애와 만성병"을 불러온다고 말한다.
에탄올과 과당은 서로 닮았다. 둘 다 간독소다. 둘 다 지방간을 만든다. 둘 다 중독성이 있다. 둘 다 염증을 일으킨다. 지난 수십 년간 둘 중 하나는 소비가 폭증했고, 다른 하나는 그대로였다. - P1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