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딸은 어디 있을까]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우리 딸은 어디 있을까? 그림책은 내 친구 31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글.그림, 이지원 옮김 / 논장 / 2011년 11월
장바구니담기


아이들 그림책들을 보다 보면 작가 별로 뚜렷한 특성들이 있음을 볼수 있는데 몇몇 분들은 정말 자기만의 색깔이 강하게 드러나는 책들을 선 보이는데 그 중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도 그런 분들중 한 분인것 같다.
매번 책을 만날때마다 참 간단 명료하면서도 아이들에게 수 많은 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책도 그런 면에서 참 높은 점수를 주고 싶은 그런 그림책이다.




이번 책은 종 잡을수 없는 아이들의 특성에 대해서 다양한 동물들을 비유하면서도 이야기를 하고 있다.
특히나 이 책이 눈길을 끌었던 것은 동양의 느낌이 물씬 풍기는 바느질이란 소재를 활용해서 한 눈에 봐도 정성이 가득한 그런 책임을 아이들도 느낄수 있어 더욱더 눈길을 끌지 않았나 싶다.
다른 책들과는 조금은 다른 듯한 일러스트에 아이들은 궁금증이 일어 그림인줄 알면서도 손으로 그 질감을 촉감을 만져보고 싶었던지 손으로 만져보는 것을 볼수 있었다. 그 만큼 일러스트가 살아 있는 듯한 그런 느낌을 받았나 싶었다.


이 책은 아이들이 조그만 공간이라도 있으면 숨는 것을 좋아한다는 아이들의 특성을 숨기 좋아하는 딸을 찾아보는 이야기로 되 있다. 맨 처음엔 마감 처리가 잘 안되 실밥이 풀린 듯한 손수건에 딸의 모습이 그려진 달팽이처럼 숨는 걸 좋아하는 딸이 어떤 숨바꼭질을 할지 아이들의 궁금증을 한껏 불러 일으키며 시작을 한다.


하루에도 수십번 변하는 아이들처럼 새처럼 즐겁다가 물개처럼 슬펐다가 토끼처럼 얌전하다가 때론 악어처럼 거칠기도 하고




물고기처럼 조용하다가 수탉처럼 시끄럽다가 가끔은 사자처럼 으르렁거리지만 또 아기 양처럼 순하기도 하고 하마처럼 서툴기도 하지만 다람쥐처럼 잘하기도 하는 속으로는 섬세하고 부드럽지만 겉으로는 단단하고 숨기를 좋아하는


우리 딸은 나에게 이 모든 것이에요...< 본문 발췌>


한장 한장 넘기다 보면 어느새 우리 아이의 모습이 그려지는 하루에도 종잡을수 없게 많은 변화를 보이는 아이들의 모습을 여러 동물들을 보여주면서 아이들의 특성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어 이 책이 더욱더 특별하게 다가오는 지도 모르겠다.
세상의 모든 아이들에겐 이 세상에서 내 아이가 제일이야! 라며 엄지 손가락을 추켜세워 주는 우리 부모들이 있다.
그 아이들이 커가면서 보여주는 수 많은 모습들에 간혹 당황스럽기도 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라 갈팡질팡하게 만들기도 하는 우리 아이들의 모습이 이 한권의 책 속에 고스란히 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그런 그림책이다.


마지막의 아이의 사진이 휠체어를 타고 있는 모습이 더욱더 많은 생각과 공감이 가게 한다.
마음이 아픈 아이도 몸이 아픈 아이도 건강한 아이도 결국엔 모두 사랑받고 사랑받아야 할 소중한 아이들이라는 것을 말을 하고 있는 책이다.
다소 몸이 불편해도 사람의 본연의 모습은 다 똑같음을 보여 주고 있다.
아픈 사람들은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다를거라는 편견은 잘못 된 거라고 아이들에게 마음으로 이야길르 하고 있는 이 책..
그래서 더욱더 소중하게 다가오는 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아이들이 봤을 때와 우리 어른들이 봤을 때가 많은 차이점이 있는 그런 책인것 같다.
아이들은 아이들 나름의 느낌이 있을 것이고 우리 어른들은 또 아이들과는 조금 다른 그 무언가가 있는 그런 책일것 같다.
아이들은 책 속의 아이를 따라 자신의 모습을 볼수 있을 것이고 우리 어른들은 내 아이가 보일 것이고..
비록 아이들 책이지만 이렇듯 많은 느낌과 생각할 거리가 다양한 그림책 만나보기가 쉽지 않은데 이 책이 그런 책이지 않았나 싶다.





<사진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