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항과 최해가 의기투합하다.
沆瀣一氣(항해일기)
송나라 사람 왕당(王讜)이 편찬한 『당어림』(唐語林)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당나라 희종 때 장안에서 과거가 거행되었다. 전국 각지의 인재들이 앞을 다투어 올라와 시험에 임했다. 고시생 중에 최해(崔瀣)는 학문이 매우 뛰어난 인재로 급제를 자신했다. 당시 주시험관은 최항(崔沆)이었는데 최해의 문장을 보고는 한눈에 최해의 재능을 간파하고 당장 그를 급제자 명단 맨 위에 올렸다. 당당히 급제한 최해는 관례에 따라 주시험관인 최항, 즉 은사(恩師)에게 인사를 하기 위해 그를 찾아갔다. 좌주(座主) 최항은 문생(門生) 최해를 보고 같은 최씨라는 사실에 더욱 기뻐했다. 게다가 이름인 ‘항’과 ‘해’를 합치면 좋은 뜻의 단어가 되었다. 이에 사람들은 이 두 글자를 합쳐 ‘좌주문생(座主門生), 항해일기(沆瀣一氣)’라는 두 구절을 만들어 서로 의기투합하는 사람이 한곳에 모였다는 것을 비유하는 성어로 사용했다. 우리가 흔히 하는 말로 ‘찰떡궁합’이 이와 비슷한 어감을 준다. 서로의 재능을 알아보고 인정하는 것이야 얼마든지 좋은 일이지만, 나쁜 쪽으로 ‘항해일기’하여 세상에 해를 끼치는 일은 없어야 하겠다.
『당어림』(唐語林) 「보유기무종지소종」(補遺起武宗至昭宗)
중국사의 오늘 :
1792년 10월 25일(청 고종 건륭 57년 9월 병오)
건륭제가 ‘금분파병’(金奔巴甁)을 티베트로 가져가 라싸 대소사(大昭寺)에 모시게 함으로써 ‘금분파병’으로 달라이와 판첸 계승자를 뽑는 제도를 확정했다.
* 대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