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호의 곧은 붓(사관의 직필)

   董狐直筆(동호직필)

 

좌전선공(宣公) 2(기원전 607), ()나라의 권신 조천(趙穿)이 포악한 영공(靈公)을 죽였다. 이에 앞서 조천의 집안 형님뻘인 조순(趙盾)은 여러 차례 영공에게 바른말을 올렸으나 듣지 않자 나라를 떠나 망명길에 올랐다. 국경을 벗어나기 전에 영공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조순은 길을 돌려 되돌아왔다. 기록을 담당하고 있던 태사 동호는 조순이 그 국군을 시해했다고 기록했다. 조순이 이를 부인하자 동호는 그대는 정경(正卿)이란 최고 자리의 신하로서 국경을 넘어 망명하지도 않고 돌아와 국군을 죽인 자를 토벌하지도 않았으니 그대가 아니면 누구란 말이오라고 응수했다. 공자는 동호에 대해 사실을 감추지 않고 직필한 훌륭한 사관이라고 평가했다. ‘동호직필은 권력이나 권세에 아부하지 않고 있는 사실을 그대로 쓰는 사관의 정신을 칭찬하는 표현이 되었다. 오늘날 우리 언론들, ‘동호직필의 의미를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좌전

 

 

* 동호직필

 

 

 

 

 

 

중국사의 오늘 :

697626(당 무측천 신공 원년 6월 정묘)

무측천이 악명 높은 혹리이자 간신이었던 내준신(來俊臣)을 주살했다. 내준신이 죽자 그동안 그에게 피해를 입었던 사람들이 서로 몰려들어 그 살을 물어뜯고 눈알을 파내고 배를 갈라 심장을 들어내는 등 시체를 마구 짓밟아 진창으로 만들었다. 역대 간신들 중 그 최후가 가장 처참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종현 2013-06-27 1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盾을 사전에 찾아보니 '사람 이름 돈' 과 '방패 순' '벼슬이름 윤'으로 나옵니다. 좌전이나 기타 역사서에 盾을 '돈'으로 표시한 곳이 많은데 선생께서는 '순'으로 하셨습니다. 다른 근거가 있는 것인지요.

김영수 2013-06-27 1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별다른 근거는 없습니다.
관행에 따랐습니다.
현대 중국어에서 순은 '둔'으로 발음하니
조둔으로 해도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