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거두고 보존하다.

   兼收幷蓄(겸수병축)

 

송나라 때 성리학 집대성자 주자(朱子)가 올린 글 중에 나오는 구절이다. 주자는 이 글에서 소인이 나오면 군자는 물러날 수밖에 없고, 군자와 가까워지면 소인은 멀어질 수밖에 없으니 함께 거두고 보존하여 서로 해로움을 주지 않을 수는 없다고 했다. 군자와 소인은 함께할 수 없다는 말이다. 고지식한 계급관과 당파성에 입각하여 인간을 군자 부류와 소인 부류로 나누는 군자소인론을 지금에 와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하지만 이런 봉건적 기준을 배제하고 이 대목을 음미하면 정말이지 도저히 함께할 수 없는 부류가 우리 주위에 분명히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더욱이 공교롭게 이런 부류들이 내세우는 사람과 사물에 대한 판단 기준이란 것이 봉건 시대 계급관과 당파성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사욕(私慾)으로 오염된 채 말이다. ‘겸수병축겸수병채’(兼收幷采), ‘구수병축’(俱收幷蓄)으로도 쓰며, 각종 서로 다른 내용의 사물을 받아들이고 보존한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기유의상봉사(己酉擬上封事)

 

* 주자(주희)

 

 

 

 

 

 

중국사의 오늘 :

195775

인민일보에 마인초(馬寅初)신인구론이 발표되었다. 마인초는 이 글에서 인구가 큰 자원이긴 하지만 동시에 큰 부담이므로 맹목적으로 증가를 주장해서는 안 되고 조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인구 억제 주장은 신맬더스 인구론이란 오해와 정치권에 의한 박해를 받기도 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질책 2013-07-05 2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선생님의 좋은 글을 매일 읽게 되어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곳 서재에 쓰신 글들은 며칠 전부터 거꾸로 거슬러가며 읽다가 방금 전에 1월의 첫 글까지 모두 읽게 되었네요. 읽으면서 너무나 좋은 말들이 많아서 배울 점이 많아서 유익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사기 읽기를 좋아하는 제 친구에게도 이곳의 글에 대해 알려주었더니, 이에 대해 서로 좋은 이야기를 많이 나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저는 사기와 자치통감과 같은 일부 책들에 대해서만 일부 읽어본 적이 있을 뿐 아는 것이 별로 없었는데, 다행히 제가 관심을 가진 분야에 대해 이렇게 좋은 글을 써 주시고 계신다니 정말 감사할 따름입니다. 며칠 전에는 다른 곳의 블로그가 있다고 직접 설명해 주셨는데도 이곳의 글을 읽느라 찾아보지 못했는데, 이제 그곳의 좋은 글들도 읽으러 가보려고 합니다. 즐겨찾기를 해서 보기 좋게 꺼내두었으니 자주 와서 읽고 삶의 좋은 교훈으로 삼도록 할게요. 감사합니다.

김영수 2013-07-08 07: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매일매일 올리려니까 부담이 여간 아닙니다.
좋은 지적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