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싯다르타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8
헤르만 헤세 지음, 박병덕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내가 중학교 땐 공부 좀 하고, 책 좀 본다는 애들은 헤르만 헤세 작품들을 기본으로 읽었던 것 같다. 나도 어쭙잖이 흉내를 내 본다고, 나름 헤르만 헤세의 작품들은 다 찾아 읽었는데, 그 때 읽지 못햇던 것이 바로 <싯다르타> 였다. 난 제목이 <싯다르타>여서, 부처님의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막상 읽고 보니 부처의 이야기는 아니더라고. 물론 부처가 잠깐 등장하긴 하지만.
그 때 읽고 지금 다시 읽었더라도 물론 좋았겠지만, 과연 그 때 내가 이 작품을 읽었다면 지금처럼 재밌게 읽지는 못했을 거란 생각이 든다. 간만에 한 줄 한 줄 아껴가며, 한 줄 한 줄 천천히 곱씹어 가며 읽은 책 이었다.
도대체 소설가의 역량은 어느 정도여야 하는가? 한 명의 소설가를 넘어, 철학자의 풍모마저 풍기는 헤르만 헤세라는 사람에게 경이로움을 느낀다. 삶을 바라보는 나의 시각과 맞아 떨어지는 기막힌 타이밍 덕분인지는 몰라도 어렵게 느껴졌던 불교 사상이나, 시크릿 류의 책에서 언급되는 개념들 뿐 아니라, 더 나아간 심오한 사상들이 싯다르타의 영적 성장 과정을 통해 - 물론 너무 도식적인 느낌이 살짝 있긴 했지만- 쉽게 와 닿았다. 소설이라기 보다는 한 권의 철학 책에 가까운 작품이었다.
이 책을 십 년 후나 이십 년 후에 다시 읽게 된다면 또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지 문득 궁금하다. 시시하게 느껴질까? 아님 더 깊은 여운을 얻게 될까? 헤르만 헤세의 <강물의 노래를 들어라>..
*책 접기
'자기를 초탈하는 사색을 하는 가운데 경이로움에 마음을 열어 놓는 것'
'오 친구, 존재하는 것은 오로지 앎뿐이며, 그것은 도처에 있고, 그것은 아트만이고, 그것은 나의 내면과 자네의 내면, 그리고 모든 존재의 내면에 있는 것이지. 그래서 난 이렇게 믿기 시작하였네. 알려고 하는 의지와 배움보다 더 사악한 앎의 적은 없다고 말이야.'
'감각과 사유...두 가지 가운데 어느 하나도 경시되거나 과대평가 되어서는 안되었으며, 그 두 가지로부터 가장 내밀한 것의 비밀스러운 소리들을 들어야 할 것이었다. 그는, 그 소리가 얻으려고 노력해 보라고 명령하는 것 이외에는 아무것도 얻으려고 노력하지 않으리라고, 그 소리가 멈추어 있으라고 권하는 장소 이외에는 그 어느 곳에서도 멈추어 있지 않으리라고 마음 먹었다.... 이처럼 외부의 명령이 아니라 오로지 그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 이처럼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일 만반의 태세를 갖추는 것, 그것은 좋은 일이었으며, 반드시 필요한 일이었다. 그것 말고는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았다.'
'제가 만약 카마스와미였다면, 쌀 구매 계획이 수포로 돌아간 것을 안 즉시 잔뜩 화가 치밀어서 황급히 되돌아와 버렸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정말로 시간과 돈을 잃어버리는 결과를 자초하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좋은 나날을 보냈으며, 배움을 얻었으며, 기쁨을 누렸으며, 분노나 성급함 때문에 제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손해를 입히는 일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언젠가 추후에 나올 수확물을 사기 위해서, 또는 그 밖의 다른 목적으로 그 곳에 다시 갈 일이 있으면, 그 곳의 친절한 사람들이 저를 다정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맞아줄 것입니다. 그러면 그것으로 그 당시에 성급하고 불쾌한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데 대한 보답을 받는 셈입니다.'
'자기가 지금 마치 어린아이처럼 이토록 확신에 넘쳐서, 이토록 두려움 없이, 이토록 기쁨에 가득 차 있는 것은 바로 그 자아의 죽음 때문이 아닐까?.......... 너무 많은 성스러운 구절이, 너무 많은 제사의 규칙들이, 너무 많은 단식이, 너무 많은 행위와 노력이 자기를 방해하였던 것이다....이런 사제 기질속으로, 이런 교만한 마음속으로, 이런 정신적 성향 속으로 자기의 자아가 살며시 파고 들어와서는 거기에서 단단히 자리를 잡고 앉아 무럭무럭 자라나고 있는 동안, 자기는 단식과 참회로써 그 자아를 죽이려고 하였던 것이다.'
' 이 강물은 흐르고 또 흐르며, 끊임없이 흐르지만, 언제나 거기에 존재하며, 언제 어느 때고 항상 동일한 것이면서도 매순간마다 새롭다.'
'아주 몇 안되는 너더댓 명의 사람에게만은, 이 강이 장애물 노릇 하는 것을 그만두었던 셈인데, 그 까닭은 그들이 이 강의 소리를 들었으며, 그들이 이 강물 소리에 귀를 기울였기 때문이예요.... 고요한 마음으로, 기다리는 영혼, 활짝 열린 영혼으로, 격정도, 소원도, 판단도, 견해도 없이 귀 기울여 듣는 것을 배웠다.'
'그러니까 일체의 소리들, 일체의 목적들, 일체의 그리움, 일체의 번뇌, 일체의 쾌락, 일체의 선과 악, 이 모든 것들이 함께 합해져서 이 세상을 이루고 있었다. 이 모든 것이 함께 합해져서 사건의 강을 이루고 있었으며, 생명의 음악을 이루고 있었다....그가 고통의 소리에도 웃음 소리에도 귀 기울이지 않고, 자신의 영혼을 어떤 특정한 소리에 묶어두거나 자신의 자아와 더불어 그 어떤 특정한 소리에 몰입하지 않고 모든 소리들을 듣고, 전체 단일성에 귀를 기울일 때면, 그 수천 개의 소리가 어우러진 위대한 노래는 단 한개의 말로 이루어지는 것이었으니, 그것은 바로 완성이라는 의미의 옴이라는 말이었다.'
'하지만 찾아낸다는 것은 자유로운 상태, 열려 있는 상태, 아무 목표도 갖고 있지 않음을 뜻합니다.'
'그러나 나에게는, 이 세상을 사랑할 수 있는 것, 이 세상을 업신여기지 않는 것, 이 세상과 나를 미워하지 않는 것, 이 세상과 나와 모든 존재를 경탄하는 마음과 외경심을 가지고 바라볼 수 있는 것, 오직 이것만이 중요할 뿐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