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인간이 천재적인 예술가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광기와 비극.



이 책은 프랑스 인상파 화가인 폴 고갱의 삶을 모델로 쓴 소설로 극중에서는 스트릭랜드라는 주인공으로 표현된다. 우리는 종종 뛰어난 사람은 어려서부터 그 자질을 발휘한다고 믿는다. 모차르트가 그러하듯이 예술적 재능의 발현은 어려서부터 자연스럽게, 어떤 강제적인 교육도 받지 않고 나타나야 하는 것이다. 천재는 재능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들의 노력은 겉으로 드러나면 안 된다. 전혀 연습을 하지 않은 것처럼 노력조차 시도하지 않은 것처럼 자유분방하면서도 강렬한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그래야 그들은 천재구나, 따라갈 수 없겠구나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런 천재는 특히 예술 분야에서 두드러진다. 수학이나 과학 분야의 천재를 `똑똑하다, 부럽다` 정도로 느낀다면, 음악이나 미술 혹은 문학 등의 예술 분야의 천재는 `신비하다, 환상적이다`라는 감동을 안겨준다.



우리는 흔히 예술적인 천재들은 비극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에게 평범한 삶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고흐는 자살하지 않았으며, 베토벤은 귀가 멀지 않았고, 성격이 온화하고 차분했으며 다정하고 가족들과 함께 행복하게 살았다. 이런 이야기는 그 예술가들에게 우리가 가진 `환상`을 깨지게 만든다. 그들에게서 느끼는 천재성이 사그라지는 것이다. 당연히 그들은 비극적인 삶을 살아야 하고, 그럼으로써 그 예술 작품이 더 가치가 있게 된다. 이런 환경에서 그들은 예술 작품을 만들어냈구나, 역시 평범한 삶은 이런 것은 꿈도 못 꾸지. 어쩌면 이것은 평범하게 살고 있는 우리들과 천재를 가르기 위한 우리만의 `위안`이다. 우리는 그들처럼 노력하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려면 우리와 그들 사이에는 광기와 비극이라는 `벽`이 있어야 한다.



예술가의 광기어린 삶에 대한 이야기는 종종 작품에서 등장하곤 한다. 김동인의 <광염소나타>, <광화사>는 예술을 위해서라면 살인쯤은 용서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온다. 함께 읽어봐도 좋다. 덧붙이자면 달과 6펜스의 마지막 부분은 사족이 아닐까 싶다. 마지막 90페이지 정도는 없어도 깔끔하지 않나 싶다. 물론 작가는 타히티에서의 스트릭랜드(폴 고갱)를 보여주고 싶었겠지만 굳이 없어도 우리는 예술가로서 고갱을 알 수 있기 때문에.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5-06-04 13: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씀처럼 천재에 대한 오해는 우리의 환상에서 나왔죠.
모차르트의 천재성은 아버지의 강제적 교육과 애기 때부터 무수한 음악경연을 하며 쌓아온 실력에서 기반된 것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말하며(아이의 적성과 능력을 배려하지 않은 영재교육의 폐해는 어느 시대든 있었겠지요) 발자크, 베토벤 등의 원고들을 보면 그들의 노고가 생생하게 드러난다고 하죠^^ 괴테나 요네하라 마리 등은 `재능은 그 스스로 드러나는 것이다` 라고 말했는데, 그 말인즉 부단한 노력은 빛날 수밖에 없다란 뜻으로 저는 해석했습니다.

작품에 매진하다보니 인간관계에 대체로 서툴고 극단에 치우치다보니 삶이 비극적으로 향하는 게 안타깝죠.

방랑 2015-06-04 17:41   좋아요 0 | URL
네, 또 한가지 왜 천재들은 젊은 나이에 요절하는 것일까요. 그래서 더 많은 작품을 전하지 못함을 아쉬워하게 하는 것일까요. 젊은 나이에 요절한 기형도나 이상의 경우, 농담삼아 친구와 말한 적이 있어요. 우리가 이 나이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살아있음은 천재가 아니라서일까, 하고요.
물론 평범한 사람으로 소소하게 느끼는 고통과 행복을 즐겨야겠지만요.

좋은 댓글 감사드리며, 메르스로 번잡한 가운데 조심하시기를.

AgalmA 2015-06-04 18: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피카소 같이 장수한 예술가도 있는데, 천재와 요절을 우리가 너무 접목시키려하는 경향도 있다고 봅니다. 사건의 특수성이 있는 천재 예술가도 분명 있지만, 전쟁상황이나 시대적으로 제대로 된 의학이 없는 시대여서 요즘같으면 쉽게 고칠 수 있는 폐렴, 폐결핵 등으로 사망한 예술가도 무척 많으니까요.

분명 어느 시기에 빛나는 창작품이 나오기도 하지만, 예술가가 평생에 걸쳐 보여주는 예술의 경지를 보는 기쁨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우리도 지금에 안주하지 않고 열심히 책을 읽는 거겠죠^^

염려 감사드리며, 방랑님의 평안도 기원드립니다/

fledgling 2015-06-04 18: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괴테나 톨스토이도 80세 넘게 살았죠. 죽음으로 업적이 커보이는 과대효과도 없지않아 있다고 봅니다. 생전에는 인정받지 못하다가 죽고나서야 관심받고, 현 시대에는 마케팅으로 상업적으로 포장하는 경향도 있는 것 같습니다. 죽음이란 어쨌든 애도할 수 밖에 없는 감정이 포함되어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