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 3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3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박형규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지막장을 넘기면서 이책이 사랑과 가정만을 고찰하는 소설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내가 독해한 이책의 핵심은 위선과가식에 찌든 삶에서 벗어나려는 초월의지이다. 여기서 안나(자살)와 레빈(선善에 대한 간구)은 공통점을 지니며 작품은 세태와 인간분석을 넘어서 ‘진정한 삶‘에대한 통찰을 보여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다맨 2022-01-20 14: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관능과 정열에 이끌려서 본능적인 사랑을 했던 연인의 파국과, 정서적 교감을 중시하며 이상적인 사랑을 했던 남녀의 행복기가 배치되어 있는 소설로 이 책을 요약 정리하는 경우를 왕왕 본다. 일반적인 해석이기는 하나 이 경우 안나 카레니나라는 캐릭터를 지나치게 단순화, 축소화하는 독해라는 생각도 든다.
이 작품에서 적극적으로 부각되는 것이 사랑이라면 은근하게 강조되는 것은 죽음이다. 즉, 남녀의 정서적/육체적 결합 이후의 삶이란, 가식과 위선과 허위에 물들지 않는 진정한 삶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안나/레빈은 고민하고 두 사람 모두 죽음충동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여기서 죽음충동은 단순히 생애의 종착점으로 가려는 욕구를 넘어서서 자신의 삶과 일상을 돌아보게 만드는 성찰적 사유를 추동시킨다. 결국 안나는 죽음충동에 따르면서 위선적 삶을 스스로 끝내고, 레빈은 죽음충동에 이끌리면서도 신을 믿으면서 선善을 행하는 삶이야말로 가치 있는 인생이라는 점을 깨닫는다.
이렇게 보자면 ˝안나 카레니나˝는 단순히 파국기와 행복기가 교차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넘어서 안나/레빈이라는 두 인물을 통해서 ‘인간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라는 심오한 문제를 독자에게 제기하고 있다. 죽음을 통해서라도 거짓과 기만에 찬 삶을 벗어날 것인지, 아니면 죽음충동에 시달리면서도 참다운 인생의 길을 모색해서 어릿광대 같은 삶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인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