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으로서의 문학
조영일 지음 / 비(도서출판b) / 2017년 12월
평점 :
품절


문학이 ‘돈을 벌어다주는‘ 직업이 된 시기는 짧았다는 것, 문학의 아카데믹화에 따른 창작인들의 교수화가 작가들의 생계 유지 필요성을 어느 때보다 높였다는 것, 중요한 것은 국가적인 지원이 아니라 대학(교수)-출판사-문예지의 담합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근본적, 총체적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것.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다맨 2020-10-13 1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영일은 국가가 문인들을 지원하는 정책에 대해서 지극히 분석적이고도 냉정하게 평가한다. 그 한 대목을 가져오면 이렇다.
˝출판시장과 교육시장의 가장 큰 차이는 후자의 경우 일단 자리만 잡으면 평생 생계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 전자의 경우 매순간 불확실한 자신의 위치를 감당해야 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물론 그들 중에는 문단과 시장의 동시인정을 받는 사람도 있지만, 교육기관에 자리를 잡은 사람들과의 비교에서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은 불안한 상황을 견딜 최소한의 힘마저도 빼앗아갑니다.
문학을 포함하여 예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술가의 자존심이 아닐까 합니다. 남들이 보기에 쓸데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신이 하는 일이 다른 어떤 것보다 중요하다는 것에 대한 믿음 같은 것 말입니다. 그것을 상실하면 예술적 불안은 작품으로 승화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가를 파멸에 몰아넣기까지 합니다. 이런 사정을 딱하게 여겨 예술인을 지원해야 한다느니 하여 기구를 만들지만, 정작 그런 기구를 운영하는 것은 교육시장에 있는 사람들로 기본적으로 예술적 불안으로부터 자유로운 이들입니다(33~34쪽).˝

내가 보기에는 조영일은 문인지원 제도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다. 교육시장(이는 까놓고 말하면 대학교수이다)에서 자리잡지 못하고 출판시장에서도 외면받은 이들이 마지막으로 선택하는 것은 지원금 제도이다. 문제는 이 지원금의 수혜자를 선별하는 작업조차 ‘예술적 불안으로부터 자유로운 교수화된‘ 창작자들이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일시적인 지원금을 받아보았자 이것이 천 부 가량의 단행본 출간에는 도움이 될지언정 생계 유지에는 별 도움이 안된다. 지원금 신청자(이 구조에서 선택받지 못한 등단자들, 전국의 문창과 국문과 졸업생들 등등)들은 국가의 도움을 받고자 고투하는 반면에 교육시장의 정착자들은 소수의 신청자들을 구제하는 것만으로 자신의 임무를 마땅히 수행했다고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