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찮은 인간 호모라피엔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하찮은 인간, 호모 라피엔스
존 그레이 지음, 김승진 옮김 / 이후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철학을 지금까지 배운 것과 조금 다르게 해석하는 책을 읽는다면 어떤 생각이 들까?

 

  철학은 어떻게 살아갈 지를 고민하게 하는 학문으로 생각을 했다. 그래서 나는 내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겠다는 개략적인 설계는 그려놓았다. 그런데 그 설계가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는 책을 접하게 되었다. 바로 『하찮은 인간, 호모 라피엔스』다. 원제가 『지푸라기 개(Straw Dogs)』인데, 이는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천지는 어질지 않아 만물을 짚으로 만든 개와 같이 여긴다)'에서 나온 제목이다.

 

  책은 인간 중심의 철학에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반론을 제기한다. 인간 중심의 철학이란 인본주의(Humanism, 휴머니즘)을 말하는데 이 책을 통해 인간 종 중심주의(Anthropocentrism, 앤스러퍼센트리즘)라는 부정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는 용어도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호모 라피엔스(Homo rapiens)란 호모 사피엔스를 '약탈하는 종'으로 패러디한 용어다. 즉 현생 인류를 약탈하는 종으로 보고 지구를 파괴하는 하찮은 존재로 규정한다.

 

  철학에서 인류가 각종 선과 도덕을 추구하고, 동물중에 유일하게 생각하고 이성을 가진 존재라는 발상 자체가 위선이라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든 것이 원제에서 표현한 '지푸라기 개'의 개념이다. 인류가 자기 의지대로 세상을 구성하는 존재가 아닌 하찮은 지푸라기 개에 불과한 존재라는 것이다.

 

  과학자이자 생태학자, 그리고 미래학자로 가이아 가설을 창시한 러브록은 지구를 자기 조절이 가능한 거대한 생명체로 본다. 그래서 가이아의 관점에서 보면 인간의 삶은 곰팡이균의 삶보다 더 큰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오히려 지구 전체를 가장 많이 파괴하는 파종성 질환을 퍼뜨리는 병리조직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앞으로 전개될 미래는 인류의 멸망, 지구의 파괴, 지구의 만성적 감염, 공존(인류와 지구가 서로 도움을 주는)하는 4가지의 시나리오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현실성이 있는 시나리오는 인류의 멸망이다. 전쟁, 기아, 질병 등 가이아가 자기 조절을 통하거나, 인류 스스로 이러한 해법을 찾으면서 말이다. 이 가설이 사실이라면 암울한 미래가 온다는 이야기인데, 보다 나은 미래를 꿈꾸는 철학적인 사고 자체는 쓸데없는 것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기막힌 표현이다.

 

  더욱 더 기막히게 하는 것은 도덕을 부정하는 글에서다. 비정상적인 상황에 직면했을 때 도덕이라는 가치를 실현할 수가 있을까 라는 반문으로 '도덕을 정상적인 상황에서만 적용할 수 있는 편의품'으로 정의해 버린다. 아래 글을 읽어보면 틀린 말이 아니라는 것을 곧 깨닳게 된다.

 



  인간은 도덕 관념에서 보자면 비난해야 마땅한 조건에서 번성한다. 한 세대의 평화와 번영은 이전 세대들의 부정과 불의를 바탕으로 존재한다. 자유 사회의 섬세한 감수성들은 전쟁과 제국의 열매다. -p144
 


 

  고대 그리스시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 까지 무수히 많은 철학이 존재하였지만 인간중심의 철학이란 함정, 즉 인간만이 유일한 만물의 영장이고, 인간만이 특별한 존재라는 그 자체가 기만이라는 것이다.

 

  저자 존 그레이는 인간중심의 철학의 모순을 동양사상에서 해법을 찾는다. 노자와 장자에게서 말이다. 그는 아무런 목적 없이 사는 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가 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러면서 동물적인 본능을 가진 인간으로 호모 루덴스가 되면 어떠냐고 반문하면서 책을 맺는다.

 

  철학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한 책이다. 까다로운 철학이론을 간략하게나마 접해볼 수 있는 기회를 얻어 좋았다. 하지만 '더 읽어 볼 만한 것들'에 소개한 책들은 차라리 내용 본문에 각주로 처리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덧붙이자면 우리나라에서 번역 출간된 책은 한국판 제목과 출판사, 연도 등을 같이 명기하면 더 좋을 것 같다.

 

  저자가 책을 맺는 대목을 인용한다. 책의 결말을 단 세 문장으로 깔끔히 정리했다는 느낌이 든다.

 



   동물들은 삶의 목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런데 자기모순적이게도, 인간이라는 동물은 삶의 목적 없이는 살 수가 없다. 그냥 바라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삶은 생각할 수 없는 것일까? -2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