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속에 또 다른 뇌가 있다
장동선 지음, 염정용 옮김 / arte(아르테)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생이 되어 처음으로 알게 된 학문 중에 인지과학이라는 것이 있다. 사람에 따라 인지과학, 뇌과학, 인지심리학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는 데다가 그 정의도 제각각이라 설명하기 쉽지 않지만, 내 나름대로 정의를 내리자면 이렇다. '인지과학'은 인간이 느끼고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것, 즉 세상을 인지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흥미를 느껴 관련 수업을 많이 들었고, 졸업논문도 이쪽으로 쓸 생각을 하고 있지만 참 쉽지 않다. 분명 일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렵고(철학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그 끝이 명확하지 않아 의문만 남을 때가 많으며(대개 "A라는 주장과 B라는 주장이 여전히 대립하고 있으며, 연구 중에 있다"라고 마무리한다), 글로만 이해하고 넘어가기엔 부족함을 느끼고('에이 설마. 진짜?') 직접 실험을 하기엔 버거움을 느끼게 된다(대학원생들의 도움을 받아 아이트래커라는 기계를 이용한 실험을 몇 번 해봤는데, 결과를 해석해내는 방법은 아직까지도 잘 모르겠다). 솔직히 말해 누가 인지과학에 대해 설명해달라고 하면 쉽게 입을 떼지 못할 정도라 내가 이 분야를 공부하고 또 알고 있다고 말하기에도 좀 민망하다(논문. 이대로 괜찮은가...)

 

그래도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언제부턴가 인지과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늘어났고, 그 영향으로 관련 서적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개중에는 전공자가 아니어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책들도 있다. 물론 일말의 관심도 없는 사람이라면 한 장을 읽는 것도 고역이겠지만(사실 관심이 있는 사람도 쉽지만은 않다), 나로서는 존재 자체가 반갑고 또 고맙다. 얼마 전에 읽은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가 그랬고, 이번에 읽은 <뇌 속에 또 다른 뇌가 있다>도 마찬가지였다.

 

이 책 <뇌 속에 또 다른 뇌가 있다>는 사람과 사람의 관계 맺기, 사람과 세상의 관계 맺기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목록부터가 "같은 것을 보고도 우리는 왜 다른 세상을 경험하는가"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어떻게 인지하는가" 같은 것임을 보면 알 수 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경험하고 의문을 가졌을만한 요소들인 만큼 호기심을 자극하고 채워주기에 충분하다.

 

또한 저자가 살면서 겪었던 경험과 의문이 그 속에 담겨 있어 이야기는 더욱 흥미롭고 이해하기 쉽다. 특히 저자의 아들 태오에 대한 이야기가 재미있는데, 또래의 아이들과 아기 코끼리를 보며 "태오야!"라고 말하는 아이의 모습은 귀여운 것은 물론 사람이 나와 너를 나누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의 시초로 손색이 없다. 커피 광고에 얽힌 저자의 웃픈 사랑고백이나 독한놈으로 불렸던 저자의 학창시절 이야기도 마찬가지다.

 

여기에 한동안 논쟁거리로 떠오르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원피스의 색깔이나 젖소 클리커 등의 이야기가 재미를 더한다. EBS를 통해 많이 알려진 보이지 않는 고릴라나 3의 법칙 같은 것들은 독자들을 책에 더 가깝게 끌어당긴다. 이 모든 걸 통틀어 독자들을 매료시키는 이야기가 가득하다. 정말이지 능력 있는 작가가 쓴 잘 짜인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이 책을 읽어야 한다거나 인지과학에 대해 알아야 한다고 말할 생각은 없다. 다만 이 책을 읽음으로써, 또 인지과학에 대해 약간이나마 알게 됨으로써 얻게 되는 것들은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고 살아가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확실히 알려주고 싶다. 그중 하나를 꼽자면 이 책의 첫 번째에 나오는 것처럼 우리가 같은 것을 보더라도 다르게 경험하는 이유에 대한 것이다.

 

우리는 때로, 그리고 자주 남들이 보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이 내가 경험하는 것과 다르다는 것을 잊어버리는데, 우리가 다를 수밖에 없음을 이해한다면 그 차이를 보다 수월하게 인정하고 존중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에 대해 안다면 최소한 분통을 터트리며 상대방과 절연을 선택하는 대신 마음을 다스리며 대화를 시도 해볼 수 있을거라는 것이 내 소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